뻔랑은 너무너무 엉뚱해 중국 아동문학 100년 대표선 7
탕쑤란 지음, 김순화 옮김 / 보림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책을 읽자니 슬며시 웃음이 났다. 아이들이 가진 특성을 다 담고 있는 것 같아서였다. 부모의 바람은 아랑곳하지 않고 오로지 자기 하고 싶은데로 하고, 노는 데에만 관심이 있는 아이들을 보는 것 같았다. 때론 엉뚱하고 때론 기발하며, 때론 어이없어서 웃게 만드는 아이들. 그래서 더 귀여운 장난꾸러기 아이들을 보는 것 같았다.

 

이 책은 뻔랑이란 어린 늑대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뻔랑네 가족과 친구들의 이야기다. 중국어로 뻔랑이라는 말은 바보 늑대란 뜻이란다. 엄마, 아빠, 뻔랑 이렇게 셋인 뻔랑네 식구는 순수한데다 남을 의심할 줄 모른다. 그러다보니 온갖 동물들이 모여 사는 숲 속에서 별별 일을 다 겪는다. 남의 마음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기분만 생각하거나 이익만 챙기는 동물들, 혹은 남을 속이는 동물들도 있지만 뻔랑네는 이용 당할지언정 남을 이용하지는 않는다. 간혹 알면서도 속아넘어가주는 이해심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받는 상처가 있지만, 대개는 상처보다 더 큰 삶의 지혜와 숨겨진 아름다움을 선물로 받는다. 뻔랑네가 가는 곳은 따뜻하고 정겹다.

 

그런 엄마 아빠 밑에서 자라서일까 뻔랑도 친구들을 좋아하고 남을 의심할 줄 모른다. 게다가 곧이곧대로인 성격이라 선생님이 잔디밭을 치우라 하시면, 나뭇잎이 한 잎도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치우는 우직함을 보인다. 엄마 아빠가 먼 여행을 떠난 후 혼자 집을 지키게 된 뻔랑은 외로움도 겪고, 찍찍이 쥐에게 집을 빼앗길 뻔한 곤경에도 처하며, 꼬리를 잃어버렸다는 착각에 놀라기도 하지만 그 때마다 친구들이 나타나 도움을 준다. 친구들과의 사이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을 때도 뻔랑은 옳고 그름 보다는 서로에게 좋고 즐거운 쪽을 선택한다. 그래서 뻔랑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돕는 이들이 나타나는지도 모르겠다.

 

요즘 우리 아이들이 예전과는 다른 환경 때문인지 자기중심적이고 친구들과도 잘 어울리지 못한다는 말이 들린다. 뿐만 아니라 양보도 잘 못하고 친구의 소중함도 잘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는 얘기마저 들린다. 아이들이야 예나 지금이나 뭐가 그리 다르랴. 그들을 둘러싼 환경이 달라졌을 뿐이라 생각된다. 책을 읽는 내내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는 말이 떠올랐다. 조금 엉뚱하고 약간 늦된 듯해 보이지만 뻔랑이 나는 사랑스럽기만 하다. 더불어 사는 지혜를 알고 있으니 말이다. 우리 아이들도 이런 지혜를 가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