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인의 반란자들 - 노벨문학상 작가들과의 대화
사비 아옌 지음, 정창 옮김, 킴 만레사 사진 / 스테이지팩토리(테이스트팩토리)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시간에 담보로 붙잡힌 사람들...검버섯이 새겨질 때까지

 

한 사람이 자신의 사유를 글로 풀어낼 때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글은 시간을 담보하기 때문이다. 작가에게 시간은 세월이란 이름의 무게를 달고 온다. 그들에게 시간은 매섭다. 그들은 쓰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시간을 산 것이 아니었다. 시간이 그들을 담금질하고 해체한 것이다. 그들이 보낸 시간은 사투와 같았다.

 

노벨 문학상이란 거대 담론과 나

 

오늘날 노벨 문학상은 인류의 문학적 자산이 되었다. 그 안에 자신을 등재한 사람들은 유명세란 이름의 반대급부를 어쩔 수 없이 치르게 되었다. 이제 그들의 남다른 사유와 개인사의 질곡은 궁금증을 넘어 글쓰는 이의 교본처럼 다가오고 있다. 그들에게 글은 무엇이며, 그들 각인의 내밀하고도 아픈 경험이 타인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갔는지 사람들은 궁금해했다.

 

나 또한 그랬다. 그러나 이 책은 내게 그런 의미만을 갖고 있지 않았다. 읽는 동안 마치 넓은 대양 앞에 서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만큼 내 숨통을 틔워주었다. 세상과의 이별을 앞둔 老 작가들의 짧고도 명쾌한 말은 답답한 내 가슴에 차가운 물을 부은 듯 청량했다.

 

언젠가부터 내가 얼마나 모르는가를 알기 위해 배운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내가 아는 것이 거의 없다는 것을 자각했을 때 나는 타인의 재능을 향한 경쟁심으로부터 자유롭게 되었고, 타인의 재능을 기뻐하며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나의 부족함을 알게 될수록 내 알량한 지식에 기대지 않게 되었고, 내가 세상의 중심이라는 어리석은 착각에서 벗어나게 될수록 내 생각은 손톱 만큼씩 자라게 되었다.

 

그녀가 떠나던 날, 그녀를 만나다

 

이 책을 읽게 된 날은 비슬라바 쉼보르스카가 세상을 떠난 날이었다. 가장 뒤에 있던 그녀의 글을 사람도 몇 없는 지하철 안에서 맨 처음으로 읽으며, 한 권의 책은 운명일 수도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한 사람의 사유가 다른 한 사람을 매료할 수 있다는 것이야말로 얼마나 가슴 벅찬 일인가. 그녀를 소개하는 첫 장에는 이런 말이 쓰여져 있었다.

 

 

'우리는 아무것도 모르는데, 그게 매혹적인 것이다' 이렇게 멋진 말을 老 시인에게 듣게 되다니, 나는 그만 감탄하고 말았다. 만일 지하철만 아니었다면 손뼉을 쳤을지도 모른다.

 

"나는 독자에게 '세세한 것들에 주목하라'고 말해요. 인생이란 무한하게 풍요롭다는 것을, 아주 명확한 것처럼 보이는 사물도 마찬가지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해요. 모든 사물은 적어도 여섯 개의 시각, 다시 말해 네 방향과 위 아래 두 방향에서 볼 수 있잖아요."  

 

이렇게 근사한 말을 책을 펴자 마자 보게 되다니, 내 심장이 일정 속도를 벗어나기 시작했다. 그동안 뻔한 얘기와 뻔한 시각에 나는 꽤 질려 있었다.

 

독자를 긴장하게 만드는 작가

 

몇 편을 거꾸로 읽다 다시 앞으로 돌아갔다. 주제 사라마구였다. 그의 책은 '눈먼 자들의 도시'를 통해 접한 적이 있다. 앞을 못보게 된다는 극단적 상황을 설정해 인간 본래의 모습을 폭로하는 작가의 글은, 읽는 동안 나도 모를 긴장감을 갖게 했다. 그는 비슬라바 쉼보르스카와는 또 다른 소리를 냈다.

 

"......본격적으로 창작의 길로 들어선 것은 <디아리우 데 노티시아>지에서 기자 일을 잃었을 때였소. 그때 내 나이 오십이었지요. 누군가가 왜 그렇게 오랫동안 글을 쓰지 않았느냐고 물으면 나는 진지하게 이렇게 대답해요. 아무것도 쓸 게 없었다고."

 

그러면서 그는 젊었을 때 자신의 삶에 지표가 되어준 시 한 편을 소개한다. "위대한 사람이 되는 것은 잘난 체하거나 배척하지 않는 것임을 넌 알아야 해. 알면 알수록 그건 아주 사소한 것임을 넌 알아야 해. 달은 세상의 모든 호수를 비춘다는 것을, 그래서 높은 곳에 위치한다는 것을"

 

그러나 전직 자물쇠공을 위대한 작가로 만들어준 이 영향력 있는 시인이, 가족에게조차 쓸모없는 인간으로 취급됐음을 아는 것은 비감을 넘어서는 일이었다. 문학의 도상에 자신의 生을 바쳐야 했던 수 많은 사람들의 눈물이 언뜻 비쳐진다. 그들에겐 보상이 없었다. 아프다.

 

 

그들도 인간이었다...우리와 같은

 

이 책엔 이들을 비롯 16인의 대담이 실려있다. 예전부터 익히 이름을 알았던 작가도 있었고, 처음 들어본 작가도 있었다. 노벨 문학상 수상작가라 하여 이들 모두가 자신만의 사유를 진지하게 풀어낸 것은 아니었다. 삶에 너무 지쳐 버린 작가도 있었고, 혼탁한 세상이 흠집을 낸 작가도 있었다.

 

아직도 과거의 상흔으로부터 회복되지 못한 작가도 있었고, 여전히 치명적인 우울과 싸우는 작가도 있었다. 문학적 소신으로 생명의 위협을 받는 작가도 있었고, 그로 인한 실질적 외상으로 남은 생을 힘겹게 살다 가버린 작가도 있었다. 이들 모두는 여리고 작은 한 인간에 불과했다. 일반인과 한 치도 다르지 않은.

 

럼에도 그들은 달랐다...현재를 복원한다

 

그러나 그들에겐 우리와 다른 것이 있었다. 그들은 언제나 찰나인 현재를 붙잡았다. 바로 그때, 즉시 과거가 되는 현재를 글로 포착해, 영원한 현재성을 우리에게 복원해 주었다. 잠시 잠깐 스치고 만, 그래서 항상 놓칠 수 밖에 없는 현재의 시간을 그들이 포획함으로 우리는 더 이상 과거가 아닌 현재 속에서 살게 되었다.

 

시간의 회복으로 우리는 이제 과거의 회한에 젖지 않게 되었다. 시간을 회복시키는 작업은, 오로지 그들만이 할 수 있는 획기적인 役事였다. 지나간 것을 미화하지 않으며, 미래를 희망으로 채색하지 않고도 그들은 과거와 현재, 미래라는 시간을 현재 속에서 있는 그대로 구현해 냈다. 그러므로 현재는 지난 과거를 추억으로 전환할 수 있는 힘을 주며, 오늘을 오늘로서 살게 하는 미래의 선물이 되었다.

 

시간안에서 보편성을 걷어올리다...승리자의 노래

 

'약속하되 거기에 어떤 희망도 심지 않는다'는 주제 사라마구의 말은 문학적 희망의 부재를 말함이 아니다. 이는 문학만이 우리가 가질 수 있는 가장 적절한 희망임을 역설적으로 표현한 것일터다. 홀로코스트의 공포와 천안문의 끔찍한 기억으로부터, 또한 더 이상 떨어질 수 없는 나락으로부터 그들을 구원한 것은 밤새 쓰고 지웠던 글밖에 없었다.

 

그 오랜 시간 글을 붙잡고 시간과의 싸움에서 승리했을 때 그들은 마침내 보편성이라는 가치를 획득하게 됐다. 이제 그들은 전세계에 있는 보이지 않는 사람의 마음까지도 아우르는 사람이 됐다. 그런 자리에 서기 위해 시간은 그들을 무섭게 단련했다. 혹독한 시간의 다룸 속에서 자신의 아픔으로 시대를 위로할 수 있고, 자신의 상흔으로 시대의 가공할 상처를 치유할 수 있게 됐을 때, 그들은 시간의 보상을 받았다.

 

이런 그들에게 노벨 문학상이란 영예는 지극히 작은 것이다. 그것이 별 것 아니며 세상의 영예 또한 부질없는 것임을 알 때 시간으로부터 받은 선물에 불과했다. 그러므로 그 영예는 그들에게는 기쁨을, 우리에게는 희망을 되돌려 선물할 것이다. 이는 검버섯이 그들의 얼굴에 나타날 때까지 참고 인내해준 그들에게, 혹은 미래의 그들인 우리에게 주는 시간의 축하 메시지이기도 하다.

 

사진 출처: http://www.cyworld.com/heebee7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