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에 휘날리는 비닐 시트
모리 에토 지음, 김난주 옮김 / 시공사 / 2007년 1월
평점 :
품절



간간이 일본 소설을 읽는다. 읽고 나면 여운이 남는다. 따스하고 애잔한 글 속에 머물다 나오면 잠시 가만히 있게 된다. 그 잔상들을 오래 기억하고 싶어서이다. 책을 읽고 난 후 느껴지는 내 안의 충만함, 어쩌면 그런 기분을 느끼고 싶어 찾아 읽는지도 모르겠다.

일본 작가들 특유의 잔잔히 말하는 방식이 마음에 든다. 발이 고운 채에 거른 것 같은 그런 담백한 정서를 좋아한다. 그런데 일본 소설의 저 밑에서 뜨거움을 발견할 때가 있다. 마치 없는 것처럼 그리지만 활화산 같이 뜨거운 삶에의 열망이 가득 히 느껴진다.

너무 뜨거워 차갑게 가라앉혀야만 되는 열망, 그런 열망을 자신의 숙명으로 받아들이고는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고 걸어가는 그들 특유의 생에의 여로를 좋아한다. 묵묵히 가기 위해 오로지 그 자신에 의해 식혀져야할 열정과 초월적이라 여겨질 만큼 담담한 생을 향한 순응적 인생관이 우리와는 달라새롭게 다가온다. 땅이 다르고 물이 다르고 사람이 다르기에 나오는 정서일테다.

『바람에 휘날리는 비닐 시트』는 모리 에토의 나오키상 수상작이다. 모리 에토는 아동ㆍ청소년물로 시작해 그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 후 성인물로 방향을 튼다. 2006년 모리 에토는 사람들의 우려를 불식하고 세 번째 작품인 이 단편집으로 나오키상을 수상한다.

책 속엔 표제작인 <바람에 휘날리는 비닐 시트>를 포함해 6편의 단편이 실려 있다. 6편의 단편엔 하나같이 자신의 길을 가는 사람들의 사연이 담겨 있다. 세상에 쉬운 삶이 어디 있겠으며 노정의 고단함을 어떻게 다 말로 표현할 수 있으랴만 그녀는 담담하게 그려낸다. 그렇기에 고달픔은 처량함이 되지 않고 생의 질곡 또한 삶의 여정의 동반자로 치환된다.

표제작인 <바람에 휘날리는 비닐 시트>는 모리 에토의 역량을 뚜렷히 보여준다. 유엔 난민사업에 종사하는 리카는 NGO에서 활동하던 전남편 에드가 다른 사람을 구하다 죽었다는 소식을 듣는다. 끝내 파경에 이르고 말았지만 리카는 에드를 사랑했다. 이름도 모르는 소녀를 위해 목숨을 버린 에드.

"비닐 시트가 바람에 휘날린다. 사나운 한 줄기 바람에 펄럭이고 뒤집히고 구겨질 대로 구겨져서 우주를 춤춘다. 하늘을 뒤덮은 검은 구름처럼 무수하게, 아우성치고 있다. 날씨는 절망적이고 바람은 폭력적으로 몰아친다. 바람이 불면 휘날리는 비닐 시트. 한없이 날려간다. 돌이킬 수 없는 저편으로 내몰리기 전에, 허공에서 그 몸이 찢겨지기 전에, 누군가 손을 내밀어 잡아주어야 한다. " 327 쪽

리카는 에드를 알기에 그의 죽음을 개인적인 슬픔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무가치하게 여겨지는 사람들을 위해 살았던 에드. 그는 죽어 굳어버린 몸으로도 사랑을 전하는 도구가 되었다 한다. 이제 리카는 그의 죽음을 자신의 삶으로 온전히 껴안은 후 더 커진 사랑으로 현장을 향해 나아간다. 누군지도 모르는 소녀를 위해 자신을 던진 한 남자의 생을 미완이나 비극으로 그리지 않은 작가의 시선이 경이롭다.

"나는 온갖 나라의 난민 캠프에서 비닐 시트처럼 가볍게 날려가는 사람들을 봐왔어. 생명도, 인간의 존엄성도, 사소한 행복도 비닐 시트처럼 아주 쉽게 날아올라 구깃구깃 구겨져서는 그대로 날려가는 거야. 폭력적인 바람이 불었을 때 가장 먼저 날려가는 것은 약자 입장에 놓인 사람들이야. 노인이나 여자, 아이들. 그리고 갓 태어난 아기들. 누군가가 손을 뻗어 그들을 도와줘야 해. 그 손이 아무리 많아도 모자랄 지경이야. " 387쪽

모리 에토는 살았으면 더 많은 일을 했을 한 인간의 죽음을 상실로 규정하지 않으며, 한 걸음 더 나아가 죽음의 의미마저 새롭게 해석한다. 모리 에토는 어쩌면 이렇게 말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때로 죽음을 통해 더 많은 일을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고. 평생을 다해도 못할 일을 단회의 죽음으로 완성할지도 모른다고. 누구도 귀히 여기지 않는 사람을 위해 자신을 던지는 것이야말로 참 위대함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