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에게 말하다 김혜리가 만난 사람 1
김혜리 지음 / 씨네21북스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씨네 21'의 기자 김혜리는 내게 떨리는 그대다. 김혜리가 불러오는 설레임은 인터뷰이에 대한 그녀의 한시적이고도 온전한 짝사랑처럼, 내게도 그렇다. 인터뷰이를 대하는 정중하고도 진지한 자세, 주도면밀한 준비, 섬세하고도 결다른 언어 감각은 나른한 만족을 선사한다. 이 사뭇 중독적인 충일은 그녀에게 빠지게되는 강력한 질료가 되고만다.


조심스럽지만 용감하고 따뜻하지만 간혹 무미한 그녀의 글은, 피상과 안일을 거부하며 조용히 도발한다. 그녀의 글이 매혹적인 것은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인터뷰이가 속한 직업적 환경에 대한 전문가급의 식견에서 비롯된다. 그래서 그녀의 글은 인터뷰이와 읽는이를 동시에 긴장시키며 대화의 즐거움을 배가한다. 그녀의 글이 사랑받는 이유다.

 

김혜리의 인터뷰는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독자의 궁금증을 풀어주는 것에 만족하지 않는다. 제한된 시간과 집중불가한 공간적 상황을 장악하는 그녀의 보이지 않는 뚝심이야말로, 그녀의 인터뷰가 왜 색다른지를 가르는 원천이다. 그러나 그녀는 자신을 『그녀에게 말하다』 앞날개에서 이렇게 표현한다.


"인터뷰어로서의 붙임성과 순발력은 좋지 않지만, 어딘가 '절박해' 보이는 인상의 도움을 받고 있다고 자평한다. 새로운 약속 장소로 향할 때마다 팔뚝에 잔소름이 돋을 만큼 긴장하면서도, 언젠가 한번쯤 대화하고 싶은 사람들의 이름을 수첩 한 페이지에 남몰래 적어넣고 있다."

 

사람에 대한 관심이야말로 김혜리를 그되게 만드는 특질이다. 그러나 김혜리 인터뷰의 특징은 전체를 아우르며 부분에도 구체적 특별성을 띈 독특함이다. 인터뷰이에 대한 소개가 긴것도 그렇지만, 도입부의 글은 따로 떼어놓고 그 부분만 모아도 한 권의 책으로 손색이 없을만큼 독창적이며 이미 그대로 충분하다.

 

"십 수 년 전, <댕기>라는 잡지에서 만화가 김진이 어두운 고교 시절을 회고한 글을 읽은 적이 있다. "내가 버렸다고 마음먹었다 치더라도 그건 그냥 버려진 시간이 아니었고, 어느 순간 죽어도 아무 남을 게 없으리라던 외로움들은 내 인생의 가장 중요한 기저가될 것이다" 라고 그는 썼다. 증오도 향수도 풍화된 그 문장에 나는 크게 위로받았다. 김진과 그녀의 만화는 언제나 그런 식이었다. 일부러 위안하려고 애쓰지 않음으로써 위로했고, 꽃 속같이 천진한 영혼들이 기어코 심연을 들여다보게 하는 가혹한 성장담을 통해 살아갈 기운을 주었다. 슬픔과 기쁨 사이에 복잡한 표정으로 멈추어선 이야기를 통해 남들이 표현한 감정을 외워 말하는 것은 좋은 버릇이 아니라는 것을 엄격히 가르쳐 주었다. 언젠가는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싶었다. " ㅡ만화가 김진 (본문 77쪽)

 

" 언제인가부터 나는 소심한 사람들의 괴력을 눈치채게 되었다. 대범한 사람들이 세계를 들썩들썩 움직이는 동안 소심한 사람들은 주섬주섬 세상을 해석한다. 살아남기 위해 예민해질 도리밖에 없는 초식동물처럼 그들은 누가 힘을 가졌는지 계절이 언제쯤 변하는지 민첩하고 정확하게 읽어낸다. 미미한 자극에 큰 충격을 받고 사소한 현상에 노심초사하는 그들의 인생은 남보다 느리게 흐른다. 타고난 관찰자이며 기록자인 그들의 소극적 복수는 '이야기'다. 그들은 더디게 살기 때문에 삶을 사는 동시에 재구성한다. 목소리 큰 당신이 휘어잡았다고 생각하는 어젯밤 술자리에서 벽지처럼 있는 듯 없는 듯 듣기만 하던 동료가 있었던가. 그가 잠들기 전 떠올린 스토리 속에서 당신은 놀림감이었는지도 모른다. 이것이 세계의 평형을 유지하는 메커니즘 중 하나라고 판명돼도 나는 놀라지 않을 것이다." ㅡPD 김병욱 (본문 115쪽)

 

위 글들은 인터뷰이에 대한 소개글로, 소개글 전체의 3분의 1도 채 안되는 분량이다. 나머지 3의 2도 이 같은 밀도로 채워지며, 이후 몇 배나 되는 구체적 인터뷰가 들어간다. 이토록 많은 분량을 글로 채우는 것은 여간 수고스런 일이 아니다. 녹취를 푸는 일의 고단함은 삶의 고단함 만큼이나 힘겨우니까. 이 정도 분량을 채우기위해 김혜리는 날밤을 새웠을 것이고, 독자인 나는 잔인하게도 그녀의 수고를 통해 위로와 포만을 느낀다.

 

소설가 정이현은 '이 책을 내가 읽은 최고의 인터뷰집이라 감히 말한다'며 추천사를 썼다. 그러나 나는 아직 유보중이다. 『그녀에게 말하다』 보다 『진심의 탐닉』을 먼저 읽었고, 읽으며 감탄했기 때문이다. 어느 책에 손을 들어줄까? 좀 더 고민해 보아야겠다. 하지만 이렇게는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이전에도, 이후에도 내게 최고의 인터뷰어는 김혜리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