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의 책
최성일 지음 / 연암서가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세상을 등진 최성일의 유고집이다. 서평을 밥벌이로 하였기에 이 책도 그의 서평을 모은 책이다. 고인이 되었기에 머리말은 그의 아내가 대신 썼다. 아내의 "머리말을 대신하여"를 보고 이 책을 읽기로 마음먹었다.

"책을 볼 때는 적어도 손을 씻고 봐야 한다"는 것은 그의 결벽증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책에 대한 예의의 표현이었다. 지저분한 손으로 책장을 넘기는 것은 책에 대한 결레라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많은 결레를 하고 있다. 앞으로도 계속 결레를 할 것이다. 이곳 저곳 책이 널브러져 있는 책방에서 책을 보는 것이 조그만 나의 소원이다. 저자의 책에 대한 예의는 이덕무의 그것과 닮아있다.

책을 읽을 때는 손가락에 침을 묻혀서 책장을 넘기지 말고, 손톱으로 줄을 긁지도 말며, 책장을 접어서 읽던 곳을 표시하지도 말라. 책머리를 말지 말고, 책을 베지도 말며, 팔꿈치로 책을 괴지도 말고, 책으로 술항아리를 덮지도 말라. 먼지 터지는 곳에는 책을 펴지도 말고, 책을 보면서 졸아 어깨 밑에나 다리 사이에 떨어져서 접히게 하지도 말고, 전지지도 말라. 심지를 돋우거나 머리를 긁은 손가락으로 책장을 넘지지 말고, 힘차게 책장을 넘기지도 말며, 책을 창이나 벽에 휘둘러서 먼지를 떨지도 말라. (<사람답게 사는 즐거움> - 이덕무)




이 책에 실린 서평은 101편이다. 왜 101편인지에 대해 고심을 했다. 심오한 의미의 편집이 있다. 백(百)은 단순한 숫자 이상의 상징적 의미를 가진다. 백은 많음을 뜻한다. 백 개의 성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백성(百姓), 여러학자들인 백가(百家), 모든 벼슬아치들인 백관(百官), 재산이 많은 사람인 백만장자(百萬長者), 여러 가지 방법인 백방(百方), 온갖 약인 백약(百藥) 등등. 백은 또 완전, 완벽, 영원, 무결점 그리고 극(極)을 다한 수이다. 그래서 흔히 100점을 만점(滿點)이라고 한다. 또한 사람들은 하늘이 내린 인간의 수명 즉 천수(天壽)를 백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백에 일을 더한 것은 백을 넘어선 극대치를 의미한다. 즉 101이란 인간이 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절대적인 가치의 표현이다. 이 책에 수록된 101편의 서평은 이 세상에 있는 모든 책에 대한 서평이며 완벽을 넘어선 서평이라는 것을 은연중에 표현하고 있다.

세상의 모든 책에 대하여 서평을 할 수 없다. 많은 책들이 계속이 나오고 사라지며 또 나온다. "헌 책방에 한번 등장한 책은 꼭 다시 나타나듯이 절판된 책도 서점에 거듭 선을 보게 마련이다(34쪽)"는 저자의 말처럼 그의 서평도 다시 책이 사라지지 않는 한 다시 그 책을 읽듯이 읽힐 것이다.

부끄러운 일이지만 이 책에 실린 101권의 책중에서 내가 읽은 책이 몇 권 안된다. 너무 적은 숫자라 차마 밝히기가 힘들다. 이 책에 실린 책들이 꼭 좋은 책은 아닐거야라고 생각하며 위안을 삼고자 한다. 몇 권은 읽고자 하여 위시리스트안에서만 몇 년을 헤메고 있는 책도 있다. 나는 이 책에서 내가 모르던 책 몇 권을 만날 것이다. 또 그 책이 나에게 다른 책 몇 권을 연결해 줄것이다.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다. 이 책은 그 연결고리의 한 부분이다.

독서는 우연이란 없다.
나의 독서의 원천은 모두가 서로 연관되어 있다.
파스칼, 라신, 지드 등 유명한 작품이라고 하는 것은 그 자체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 프랑수와 모리아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들메를 고쳐매며
이문열 지음 / 문이당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문열도 정치적 편향으로 욕을 그의 공만큼이나 먹고 있는 작가중에 하나이다. 얼마전 알라딘에서 구매한 그의 산문집 <신들메를 고쳐매며>를 읽었다. 다른 글들은 저자의 말처럼 12년만에 산문집을 엮었고 '이것 저것 건드린 잡문(?)들'이기에 각기 읽는 이에 따라 느낌이 다를 것이다.

어떤 일을 왜 하는가란 물음은 한마디로 그 일을 하는 목적을 묻는 것이고, 목적이란 대개 그 일을 통해 어떤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의도를 말한다. 그리고 그 적극적인 의도는 크게 두 단계로 형성된다. 첫째는 어떤 가치의 존재를 인지하는 단계이고, 다음은 그 가치의 실현을 위해 자기를 내던질 결의를 하게 되는 단계이다.
그중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에서 자신의 문학관에 대한 생각을 말하고 있다. 더하여 세상 사람들이 "문학을 통하여 어떤 가치를 가지고 실현하고자 하는지"의 물음에 대한 자신의 변이다.

+

젊은 소설가 지망생이던 나를 늘 곤혹스럽게 만들었고, 등단한 뒤에도 대답하기도 쉽지만은 않았던 물음에 이제 와서 다시 받고 아득한 느낌을 받는다. 왜 문학을 하는가. 너는 왜 문학을 하는가.

(...)

등단 이듬해인가, 어떤 잡지사가 마련한 최인훈 선생과의 대담이다. 그때 나는 최 선생님은 왜 소설을 쓰는지 진심으로 궁금하여 여쭈어 보았다.

그걸 왜 내가 대답을 해야 하나? 소설이란 내가 창안한 것도 아니고, 또 존재해야 할 가치가 없는 것이었다면, 몇 세기나 존손해 오지도 않았을 것이다. 나는 이미 가치를 승인받고 존속되어 온 소설이란 문화적 제도를 활용하고 있을 뿐이다. 더 이상 어떤 설명이 필요한가.

선생님은 대강 그런 뜻으로 말씀하셨는데, 솔직히 내게는 충격이었다. 당신의 작품에 담겨 있는 그 엄청난 관념선네 비해 그 답이 너무 간명하고 단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래서 재활용하기에는 오히려 수월해, 그 뒤 얼마간 나는 왜 문학을 하느냐는 물음을 받으면 곧잘 선생님의 말씀을 인용했다.

하지만 내 나이 마흔을 넘기고 이제는 속절없이 소설가로 늙어 죽게 되리라는 예감이 강해지면서 내 마음도 달라졌다. 여전히 왜 소설을 쓰느냐고 묻는 사람들에게 그런 식의 대응이 너무 성의 없게 들릴 것 같아서였다. 그래서 고백하듯 털어놓게 된 게 소극적 선택의 개념 사인성이었다.

문학이 다른 어떤 것보다 더 좋아서가 아니라 덜 싫었기 때문이며, 난파한 내 삶의 바다에서 가장 헤어 가기 좋은 곳에 우연히 있었던 돌섬 같은 것이었다는 소극적 선택의 내용이다. 또 문학은 누구보다도 나 자신을 위해, 나를 으뜸가는 독자로 삼는 사적 행위라는 것이 사인성의 논리다. 딴에는 겸손하면서 진솔한 답이라고 믿으면서 한 10년 다시 그것으로 잘 버텨 냈다.

그런데 50대도 중반을 넘기면서 보니 아직도 그것만으로는 답이 궁색해 보인다. 그동안 문학에 바친 만큼이나 많은 빚을 지고, 좋아하는 쪽으로부터든 싫어하는 쪽으로부터든 분에 넘치는 대접을 받아와서 일까, 늦어서야 문하의 공리적 실용이란 것에 눈이 떠졌다. 문학은 소극적 선택으로 가 닿을 수 있는 우연의 섬이 아니며, 사인성만으로는 결코 온전하게 영위될 수 없는 삶의 한 방식이라는 생각이 든다.

- 이문열 <신들메를 고쳐매며>(문이당, 2004) 중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인생에 집필을 더하라 - 전자출판, 소셜미디어 시대에 1인 출판하는 방법
신승환 지음 / 위키미디어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쓰기를 관한 책. 꼭 책쓰기를 권하는 책은 아니다. 마지막의 두번 째 당신의 책을 기다리며를 보면 권하지 않는 책도 아니다. 다만 책쓰기는 자신의 의지에 달린 것이다.

자기 책 출간에 관한 책이라면 명로진이나 다른 몇 권의 책이 더 유효하다. 이 책에서도 간간히 사금채에 걸리는 금덩어리처럼 눈을 번뜩 뜨이게 한다. 그중 몇 가지의 나의 관점에서 재편집한다.

책을 쓰고 싶다면 지금 당장 시작하라. 모든 것은 때가 있다. 특히 책도 때가 있다. 즉 트랜드가 있다는 말이다. 한 권의 책은 A4지 150장 정도의 분량이다. A4지 한 장이면 원고지 약 10매의 분량, 매일 10매씩이면 150일, 5개월이면 한 권의 책이 완성된다. 너무 오래 걸린다고 생각되면 하루에 원고지 20~30장을 써라 그러면 2~3달이면 완성된다.

15장의 분량이 부담스러우면 50장 정도로 저자리는 이름을 얻을 수 있다,. 협업하라. 꼭 나쁜 것은 아니다. 물론 저작권료가 적게 들어 올 것이다. 혼자 다 가진다고 해도 첫 번째 책에서 돈을 짭짤하게 만질 수 있는 확율은 로또와 거의 유사하다. 그러니 협업(공저)도 나쁘지 않다.

모든 책에는 때가 있다. 또한 모든 비즈니스에는 때가 있다. 얼마전 카카오톡의 개발에 관한 스펙(?)에서 4명이 2달 안에 개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고 했다. 이유는 간단하다 모든 것이 때가 있다는 것이다. 세가지 모두 뜻하는 것은 지금 바로 적기라는 말과 일맥상통하다.



책에도 소개되었지만 부키출판사의 "(예비)저자가 알아야 할 출판사 원고 투고법"을 읽어보면 흥미롭기도 하지만 기본적인 예의를 무시하는 행동들이 많음을  알 수 있다. 몰지각한 행동이 있기에 하지말라고 알려주는 것 아닐까. 재미있는 몇 가지를 보자.

전화로 무작정 설명 혹은 무작정 일정 잡기 : 대단한 아이디어도 아닌데 메일로 보내기를 꺼린다. 또는 자신의 이야기를 몇 장으로 정리하지 못하여 말로 때우려 한다.
투고에 본인 이름과 연락처 적기 : 이메일로 보냈다고 이름과 연락처를 적지않는 것은 입사원서에 이름과 연락처를 적지 않는 것과 다름없다.
출간 가능한 시점을 못박거나 언제 출간 가능한지 묻지 말 것 : 자신의 일정이 아니라 출판사의 일정에 따라 출간된다.
출판사 이름 틀리지 말 것 : 자신의 소중한(?) 원고를 보래려는 출판사 이름을 틀리는 것은 상대방과 자신에 대한 모독이다. 원고의 내용은 보지 않아도 된다.

책쓰기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뽀모도로(Pomodoro)를 활용한다면 GTD와 더불어 집중적으로 일하기 여기서는 책쓰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뽀모도로 테크닉 참조)

  • 한 뽀모도로는 25분의 작업 시간과 5분의 휴식 시간으로 이루어진다.
  • 매 네번째 뽀모도로 후에는 15-30분의 긴 휴식을 가진다.
  • 한 뽀모도로는 나뉠 수 없다. 즉, 반이나 사분의 일 뽀모도로 같은 것은 불가능하다.
  • 뽀모도로가 한번 시작되면, 타이머 벨이 울릴 때까지 가야 한다.
    • 뽀모도로가 분명하게 방해를 받은 경우, 즉, 훼방을 잘 넘기지 못한 경우, 그 뽀모도로는 무효한 것, 시작되지도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X 기록도 불허한다.
    • 뽀모도로가 시작하면 작업이 완성되었더라도, 벨이 울릴 때까지 같은 작업에 대한 리뷰를 계속한다.
  • 뽀모도로를 훼방에서 지킨다. 효과적으로 알리고, 재빠르게 협상하여 간섭을 이후 시간으로 조정하고, 약속한대로 나중에 말 건 이에게 응답한다.
  • 어떤 작업이 5-7 뽀모도로를 초과하는 시간을 요할 경우, 더 잘게 나눈다. 복잡한 작업은 더 간단한 작업들로 쪼개야 한다.
  • 한 뽀모도로가 못되는 작업들은, 따로 모아서 합친다. 간단한 작업들은 하나로 묶는 것이다.
  • 뽀모도로를 하나씩 해나가면, 결과물이 나온다.
  • 다음 뽀모도로 더 나아질 것이다(회고를 통해 꾸준히 개선해나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0의 발견 - 수학은 어떻게 문명을 지배했는가
요시다 요이치 지음, 정구영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 위대한 발명 중 하나인 0. 0이 없는 세상은 상상하기 어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위당 장일순 - 생명 사상의 큰 스승
이용포 지음 / 작은씨앗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내 것을 만들려고 세게 당기면 내 것이 되지 않고 쏟아질 뿐이야.˝ 장일순 선생이 무언가 자기 것이라 주장하며 가지고 싶어하는 아우 화순에게 물이 가득 담긴 대야를 당겨 보이며 한 말이다. 선생의 말은 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