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의 법칙
편혜영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의 법칙』 편혜영 / 문학동네

 제각기 뻗어 나가는 우리네 삶의 무수한 접점들

 

 

 

 

  책을 읽고 나서

 

 점(點), 그리고 각각의 점이 모여 선을 만들고 장면을 이룬다는 빤한 이야기로부터 이 글을 시작한다. 누군가의 파국은 또 누군가의 파국과 연결되어 있었다. 무의미하게 이어온 관계는 또 누군가와 연결되어 있었다. 우리 인간은 어마어마한 세상 속 하나의 점, 수없이 많은 사람과 연결된 그 '선(線)'으로 인해 얼마나 많은 원을 형성해가고 있을까?

 

 

 편혜영의 소설은 어둡다고들 한다. 이 소설 속에도 어둠과 슬픔이 혼재해있다. 누군가의 죽음으로부터 시작되는 이야기, 제3금융권, 다단계, 조금씩 커다래지는 '악의'…… 하지만 어딘가 텁텁한 맛은 있어도, 파국으로 치달아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정도로 어둡지는 않다. 조금은 느슨하게 '삶'에 닿은 채, 느릿느릿 걸어가는 소설이다. '생의 마지막 순간 보내온 간절한 발신음'이라는 인상 강한 카피에 비해 소설은 느릿느릿하게 펼쳐지다가도, 때로는 미스터리 소설처럼 박진감 넘치는 모순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주인공 둘, '윤세오'와 '신기정'은 각각 자신의 곁에 있는 누군가를 잃었다. '윤세오'는 가스 사고로 아버지를 잃고 '신기정'은 강에서 익사체가 된 이복동생의 소식을 듣는다. 그들의 사망에 얽혀있는 것들을 추적해나가는 둘의 방식은 조금 다르다. 아마도 그 방식은 죽은 사람과의 사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인가. 가까운 듯 먼 동생의 흔적을 찾아 나가는 '신기정'의 모습은 매우 침착하다. 하지만 '윤세오'는 조용한 듯 끓어 넘치는 분노를 잠재우지 못한다. 자신에겐 모든 나쁜 것들을 숨기려 했던 사랑하는 아빠는 사고가 아닌 '살인'으로 죽음을 맞이한 것 같다는 생각이 불쑥 터져 나온다. 그리고 대상을 찾아낸 직후, 그 악의는 큰 덩어리의 '악'이 되어 버린다. '선(線)의 법칙', 작은 점이 만나 선을 이루는 것처럼 그 악은 조금씩 팽창되어 간다.

 

 

악의가 악이 되는 것은 언제부터일까. 상상하고 품는 것만으로 악이 되는 걸까. 실행될 때 비로소 악이 될까, 실행하더라도 실패하면 악은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악이 아니라면 얼마든지 행동을 바꾸고 거처를 옮기고 생활을 바꾸게 해도 좋은 것일까. 그렇다면 악의는 환상이나 몽상인 걸까. 환상이나 몽상은 종종 현실을 바꾸기도 하니까. (96쪽)

 

 그리고 또 다른 선(線)은 그들 자신이었다. 아마도 모든 것이 '원인과 결과'처럼 선으로 이어질 테지만, 소설 속에 짙은 색깔로 존재하는 선은 이야기 면에서는 '사람'이고, 표현 면에서는 '윤세오'의 내면을 좀먹는 '악의'다. 하지만 그 둘의 추적이 각각 다른 곳을 향하다가, 한 선 안에서 만날 땐 불꽃이 튀는 것처럼 강렬한 장면을 만들어낸다. 그들이 짐작하지 못했던 접점, 그리고 그들이 돌아온 궤적은 어느새 큰 원을 그리고 있는 사실을, 그들도 독자도 마주한다. 잔인하리만치 좁은 세상이다. 소설 속에서 그리 큰 행보가 없었던 누군가도 그 세상 안에서 나름의 영향을 주며 살아가고 있었다. 내가 만들어온 사소한 궤적들도 얼마나 긴 선으로, 많은 장면으로 이어져 있을까?

 

 

 결국은 "삶은 계속된다."라는 메시지다. 내게는 편혜영의 첫 작품, 기대했던 것과 달리 메시지와 표현은 새롭지 않았지만, 실마리를 풀어가는 그들의 모습과 차분히 이어나가는 건조한 말들에 가슴이 먹먹하다. "제각기 뻗어 나가는" 우리네 삶이 다른 이들과 걸치고 걸쳐 있다는 사실이 어쩔 수 없음을 인지하고, 가장 우선으로 해야 할 일을 깨닫는 '에필로그'의 장면은 예상치 못한 강렬함으로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게 한다.

 

 

 

Written by. 리니

한국 소설/ 문학동네 장편소설 

소장하고 있는 책을 읽고 쓴 서평입니다.

 

"그럴 분이 아니에요."

그렇게 말하니 몹시 외로워졌다. 하지만 괜찮다고 다독였다. 몸에 붕대를 감고 병실에 홀로 누워 있는 아빠만큼 외롭지는 않을테니까. 견딜만 했다. 얼마나 외롭든 아빠만큼은 아닐 것이었다.

"암요. 당연히 그럴 분이 아니죠. 절대 그럴 분이 아니죠."

김명국이 웃었다.

"그런데요, 이런 일은 다 절대로 그럴 리 없는 사람들이 해요. 인간은 원래 그럴 리 없는 존재거든요. 죄다 그럴 것 같은 사람뿐이면 무서워서 어떻게 살겠습니까. 사람은요. 성추행할 리 없는데 그렇게 하고요. 사기칠 리 없는데 사기칩니다. 물론 자살할 리 없는데 자살하고요."

김명국은 윤세오의 묵묵한 얼굴을 마주하고 입을 다물었다. (42쪽)

그럴 수 없었다. 윤세오에게 그 일은 필연이나 의무에 가까웠다. 가능한 때를 위해 충동을 참아야 했다. 충동은 윤세오가 느끼는 분노와 증오를 모두 담지 못했다. 장도리를 사용하는 것보다 좋은 방법을 찾을 수 있을 터였다. 윤세오는 그것을 찾아낼 때까지 기꺼이 악의와 동행할 생각이었다.

악의는 윤세오에게 할 일을 주었다. 슬픔을 떨치고 일어나게 했다. 기운 차려 움직이게 했다. 밥을 먹게 했고 누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이곳저곳 다니게 했다. 고시원에서의 단출한 생활을 군말없이 꾸리게 했다. 덥고 어두운 밤 창도 없는 고시원에서 소음을 만들지 않기 위해 그저 누워만 있는 시간을 견디게 했다. 아무와도 말하지 않는 시간을 참게 했다. 재만 남은 157번지로 돌아가지 않게 했다. (100쪽)

신기정은 부이라는 이름을 여러 번 소리내어 불러보았다. 동생의 이름을 쓰고 그 옆에 부이라고 적은 후 각각의 이름을 동그라미로 둘러쌌다. 둘러싼 동그라미를 선으로 이었다. 하부라인과 상부라인의 구조가 만들어졌다. 이번에는 윤세오의 이름을 적고 세개의 이름을 각기 감싼 동그라미를 가능한 방향으로 연결해보았다. 맨 처음 동생이 있다. 그다음 윤세오, 그리고 부이. 순서는 얼마든지 바뀔 수 있었다. 어디로 선을 긋건, 윤세오-동생-부이로 연결되는 선이건, 동생-부이-윤세오로 이어지는 선이건, 그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상상 속에서는 모든 게 가능했다. 그 세 이름 중 신기정이 제대로 아는 사람은 하나도 없기 때문이었다. 신기정은 여러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동시에 각자의 자리에 머무는 그 선을 뚫어지게 쳐다봤다. 마치 거기에 그 사람들이 있는 것처럼. 이름을 보면 세 사람의 얼굴이 보이기라도 하는 것처럼. (120쪽)


윤세오는 이 작은 슈퍼마켓에 자신을 내맡기고 싶어졌다. 사람이 서로에게 덫이 되거나 먹이사슬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거나 원망과 분노를 품는 것이 아니라, 즐겁게 일하고 뭔가를 시도해보고 동료라 부를 수 있는 사람들을 사귀고 함께 농담하고 얘기를 나누는 것에서 자신을 발견하고, 그러는 데에서 소소한 행복을 깨닫는 삶을 살아보고 싶었다. (13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