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주인공은 모두 길을 떠날까? - 옛이야기 속 집 떠난 소년들이 말하는 나 자신으로 살기 아우름 3
신동흔 지음 / 샘터사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주인공은 모두 길을 떠날까?』 신동흔 / 샘터

옛날 이야기 속의 참된 교훈, 나 자신으로 살기

 

 

 

 

 무조건 유쾌하고 즐거운 책들보다는 파란만장하게 고난도 겪는 책들이 끌리고, 조언을 주는 방법이라면 위로보다 채찍으로 가르침을 주는 책들을 좋아한다. 편안함에 안주해있기를 좋아하는 성격 탓이다. 그나마 책 읽는 것을 좋아하니, 문장으로 맞는 채찍은 즐겁고 효과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이 책도 그랬다. 작가의 이름부터가 생소했지만, 여태껏 보지 못한 새로운 이야깃거리가 잔뜩 숨겨져 있었고, 똑같은 일상을 반복하는 나의 마음을 조금 흔들어놓았다.

 

  다음 세대를 위한 '아우름' 시리즈의 세번째 책은 옛날 이야기에서 찾는 삶의 의미를 말하고 있다. 옛이야기는 참 재밌지 않은가. 어린이 동화책에서 나오는 것들도, 다른 사람에게서 듣는 흥미진진한 이야기도. 그래서 나는 더 자라서도 전래동화를 읽어보고 싶어 기웃기웃했던 것 같다. 이전까지만 해도, 많은 이야기의 교훈인 '권선징악'만을 생각했을 뿐, 그런 이야기들에 별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일단 그럴 필요성을 못 느꼈고, 단지 재밌게 보는 것으로 생각했었다. 그랬으니 이 책에서 작가가 엮어놓은 "집 떠난 소년들이 말하는 나 자신으로 살기"를 보고 눈이 번쩍 뜨였을지도 모르겠다. 난쟁이 집을 만나 정말 천진하게도 침대에 드러누워 잠을 청하는 '백설공주' 이야기에, 작은 몸을 가지고 어떻게 세상을 살아갈까 두렵기만 하겠지만, 아주 스펙타클한 인생을 사는 '주먹이' 이야기에, 귀신이 되어 원수를 갚는 '장화홍련' 이야기에 이렇듯 큰 뜻이 숨어 있었는지 누가 알았겠는가!

 

  작가가 친절하게 구연해주는 이야기가 어찌나 재미있는지 이것을 다 말로 전할 수는 없지만, <아버지 유물>이라는 이야기를 하나만 뽑아내 본다. 언뜻 보면 별것 아닌 것으로 여겨지는 세 개의 유산 - 지팡이, 맷돌, 장구 - 을 가지고 떠났던 삼 형제는 그 물건 하나만 가지고 각자 성공을 업은 채 돌아온다. 첫째는 지팡이로 여우를 때려잡아 사례금을 받고, 둘째는 맷돌을 갈아 도깨비들을 달아나게 하고, 막내는 장구를 쳐 호랑이를 춤추게 한다. 작가는 이들이 가지고 떠난 유산을 비유적으로 풀어내는데, 지팡이는 '여행'으로, 맷돌은 '노동'으로, 장구는 '예술'을 가리킨다.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라는 교훈을 주는 이 이야기는 작가를 통해 멋진 말로 변신한다. "나는 왜 이렇게 가진 게 없느냐고 앉아서 불평하고 한탄하는 대신 아무거라도 가지고서 훌쩍 길을 나서면 성공할 수 있다"고.

 

  수많은 사람을 통해 가다듬어진 옛날 이야기는 이렇듯 자연스럽게 의미를 전달하면서 교훈을 주고 있다. 작가가 매혹된 옛날 이야기는 "무엇보다도 삶의 진실을 오롯이 담아낸 이야기"이며, 이것은 "기술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삶의 밑바닥으로부터 흘러나와 응축되는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이야기를 자기 것으로 만드는 가장 훌륭한 방법이 있다면 '이야기를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작가는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세상에 흐르는 세상을 꿈꾼다. 그리고 그 이야기는 자신이 만들어가기를, 진심으로 바라고 있다. '나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 그것이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이다.

 

- 다음 세대를 생각하는 인문교양 <아우름> 시리즈의 세번째 도서입니다.

 

 

 

Copyright ⓒ 2014. by 리니의 컬쳐톡 All Rights Reserved.
서포터즈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쓴 서평입니다.
덧글과 공감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하지만 심봉사는 그 상황에서 주저앉지 않고 일어섭니다. 우는 아기를 안고 밖으로 나가 더듬더듬 마을을 다니며 아낙들에게 동냥젖을 얻어서 어린 딸을 키우지요. 아이가 배불러 웃으면 좋아라 어르면서 얼른 자라 엄마처럼 크라고 덕담도 많이 해줍니다. 그렇게 일 년 삼백 예순 날을 한결같이 움직여서 딸을 예쁘고 착한 아이로 보란 듯이 키워낸 아버지가 심봉사였습니다. 요즘 같으면 그야말로 `장한 아버지 상`을 받을 만한 일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심봉사의 일은 하나의 극적인 변화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방 안에 머물러서 보살핌만 받는 무능한 존재에서 한 생명을 키우는 존재로 탈바꿈한 일이었으니까 말이에요. 그런 변화가 어떻게 가능했느냐 하면 심봉사가 아이를 안고서 길로 나섰기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불가능한 일 같았지만, 무작정 밖으로 나서고 나니까 마침내 길을 찾아낼 수 있었던 것이지요. 그러고 보면 바깥세상으로 나서는 일은 아이들한테만이 아니라 모두한테 다 필요한 일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78p)

부모와 자식의 관계가 꼭 그러합니다. 품 안의 자식이란 뜰 안의 화초일 뿐, 그를 통해 자기 삶이 펼쳐지지는 않습니다. 자식은 부모와 다른 세계로 나아가 그들 자신의 길을 찾아내야 합니다. 그것은 자기 자신의 삶을 실현하는 일일 뿐 아니라, 그들을 세상에 낸 부모의 존재를 확장하고 실현시키는 일이 됩니다. 요컨대 길 떠난 자신의 비극적 죽음을 전하는 이 이야기는 `그러므로 떠나지 않는 것이 낫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렇더라도 떠나는 것이 답이다`라고 말하고 있다는 것이 우리의 결론입니다. (88p)

중요한 건 세상을 대하는 태도입니다. 세상이 크고 무섭다고 숨어서 피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건 마치 주먹이가 아버지 호주머니 속에 갇혀 잇는 것과 같은 일입니다. 편하고 안전할지 모르지만, 지루하고 따분한 일이지요. 또 작은 주머니 속이니까 꽤나 어둡고 답답할 거예요. 맞습니다. 주머니 속이라고 꼭 안전한 것도 아니에요. 그 속에 가만히 웅크리고 있다 보면 오히려 큰 병이 날지도 몰라요. 누가 주머니를 짓누르거나 꽁꽁 봉하면 그 속에서 찌그러지거나 질식할 수도 있지요. 기억나나요? `집`이 지니는 빛과 그림자, 저 주머니가 꼭 집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99p)

길 떠남과 돌아옴은, 또는 떠남과 머무름은 서로 뗄 수 없는 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떠남만 있고 돌아옴이나 머무름이 없다면 그건 무척 스산하고 고단한 일이겠지요. 떠날 때는 떠나고 돌아올 때는 돌아오는 것이, 머물 때는 머무는 것이 인생사의 순리라 할 수 있습니다. 낮에는 길을 떠나도 밤에는 머물러 쉬어야 하는 것과 같은 이치지요. 움직이지 않고 내내 머무르는 게 함정이 되는 것처럼, 뿌리 뽑힌 상태로 끝없이 떠도는 것도 하나의 함정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143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