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이에의 강요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김인순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깊이에의 강요』 파트리크 쥐스킨트 / 열린책들

 가장 짧지만 가장 큰 인상을 남긴 표제작

 

 

  지금까지 작가의 책 중 네 번째로 만나게 되는 『깊이에의 강요』. 짧은 소설 한 편이 들어있을 줄 알았지만 알고 보니 더욱 짧은 소설 네 편이 들어있었고, 역시 소재의 특이성은 다른 작품들에게 뒤지지 않는다. 표제작을 빼놓고 말해보자면, 체스 게임에 대해 알지 못 했던 이전에는 절대로 이해하지 못 했을 『승부』라는 작품과 『』'조개' 하나만으로 엄청난 수다를 떠는 『장인 뮈시르의 유언』 (마치 『콘트라 베이스』를 보는 듯했다), 그리고 읽은 책에 대하여 모든 것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나만이 아니라는 걸 알고 안심했던 장석주 시인의 책 한 구절이 떠올랐지만, 또 그 구절에 의심이 들 수밖에 없었던 『문학적 건망증』이 있다.

  그러나 이 많은 작품들 중에서도 『깊이에의 강요』라는 제목을 가진 표제작은, 가장 짧은 분량에도 불구하고 가장 큰 임팩트를 가지고 있다. "깊이가 부족하다."라는 (원래는 격려의 말이었다.) 누군가의 평가를 듣고는 트라우마인지 강박인지 어떤 무언가에 사로잡혀 결국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고만 여류 화가의 이야기. 아주 짧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깊이'라는 단어에 발목이 잡힌다. 계속해서 '깊이'에 대하여 생각하게 만든다. '깊이'라는 주관적인 평가는 왜 그녀를 끝없는 위기로 끌고 갔을까? 그녀의 죽음은 단지 그 '깊이'라는 말 때문이라고 확신할 수 있을까? 도대체 '깊이'는 누가 정한 것이며, 그 '깊이'의 정도는 어떻게 판단할까. 작품 속에서 다뤄진 예술작품을 보다 좁게, '문학작품'으로 돌려서, 그보다 좁게는 '작가의 문학작품'으로 돌려보면, 작가가 그리 많지 않게 써낸 그 작품들을 펴내며 비슷한 고민들을 했을 거라는 상상조차 하게 된다.

  신작이 언제쯤이나 나올까 궁금하게 만드는 은둔형 작가인 '쥐스킨트'의 작품들은 자신의 정체를 좀처럼 드러내지 않는 작가의 성향만큼이나 우울하고 냉소적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그를 좋아하는 작가로 꼽는 것은, 절대 많은 이야기가 나올 수 없는 특별한 소재들을 가지고, 품고 있는 수많은 의미를 뒤로 한 채, 너무나도 가볍게 풀어내기 때문이 아닐까. 사실상 그의 작품을 읽고선, 몇 문장 몇 문장을 쓰기가 버겁긴 하지만, 다시 다른 작품에 손이 가게 만드는 묘한 매력이 있다.

 

 

Copyright ⓒ 2014. by Rinny. All Rights Reserved.
소장하고 있는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쓴 서평입니다.
덧글과 공감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거듭 뛰어난 재능을 가진 젊은 사람이 상황을 이겨낼 힘을 기르지 못한 것을 다 같이 지켜보아야 하다니, 이것은 남아 있는 우리 모두에게 또 한번 충격적인 사건이다. 무엇보다도 인간적인 관심과 예술적인 분야에서의 사려 깊은 동반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국가 차원의 장려와 개인의 의욕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러나 결국 비극적 종말의 씨앗은 개인적인 것에 있었던 것처럼 보인다. 소박하게 보이는 그녀의 초기 작품들에서 이미 충격적인 분열이 나타나고 있지 않은가? 사명감을 위해 고집스럽게 조합하는 기교에서, 이리저리 비틀고 집요하게 파고듦과 동시에 지극히 감정적인, 분명 헛될 수밖에 없는 자기 자신에 대한 피조물의 반항을 읽을 수 있지 않은가? 숙명적인, 아니 무자비하다고 말하고 싶은 그 깊이에의 강요를?> (17p, 깊이에의 강요)

상상하는 것이거나 증명할 수 없는 일들을 주장하고 있다고 여기에서 나를 비난하는 사람이 있다면, 나는 그에게 묻고 싶다. 해가 거듭될수록 네 몸이 화석처럼 굳어가고 무감각해지며 육체와 영혼이 메말라 가는 것을 너 자신은 깨닫지 못하는가? 어린 시절에는 껑충껑충 뛰어오르고 몸을 이리저리 돌리고 구부렸으며, 하루에 열 번 넘어지면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다시 열번 일어났던 사실을 이제 잊었는가? 너의 보드라운 피부, 유연하면서도 건장한 근육, 양보하면서도 제압당하지 않은 생명력이 이제는 생각나지 않는가?

지금 네 모습을 한번 보라! 피부는 크고 작은 주름살로 우글쭈글하고 얼굴은 식초병처럼 울퉁불퉁한데다가 마음의 고통으로 여위었으며, 네 육신은 뻣뻣하게 굳어 신음소리를 낸다. 조금만 움직여도 힘이 들고 한 걸음이라도 내딛기 위해서는 결심이 필요하다. 바닥에 쓰러져 오지 그릇처럼 산산조각 나지 않을까 항상 전전긍긍한다. 너는 그것을 느끼지 못하는가? 네 힘줄 여기저기서 그것, 네 안의 조개를 감지하지 못한단 말인가? 그것이 네 심장을 공격하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가? 그것은 벌써 네 심장을 반이나 에워싸고 있다. 아니라고 부정하는 사람은 거짓말쟁이다! (72p)

나는 책상 앞 의자에 주저앉는다. 수치스러운 일이다. 말도 안 되는 소리이다. 30년 전 나는 글 읽는 것을 배웠고, 그리 많지는 않지만 웬만큼은 읽었다. 그런데 고작 남아 있는 것이라고는 수천 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소설의 제2권에서 누군가가 권총으로 자살한다는 희미한 기억이다. 30년동안 읽은 것이 다 헛일이라니! 유아기, 청년기, 장년기의 수천 시간동안 책을 읽으면서 보냈는데도, 망각 이외에는 남아 있는 것이 없다니. 그리고 이 불행은 나아지기는커녕 반대로 악화되고 있다. 지금 책을 한 권 읽으면, 결말에 이르기도 전에 나는 처음을 잊어버린다. 때로는 기억력이 책 한 페이지를 기억하기에도 부족할 때가 있다. 그러면 나는 단락 하나하나, 문장 하나하나를 짚어 가며 읽어본다. 그러면 낱말 몇 마디는 의식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도가 된다. 그 낱말들은 여전히 미지로 남아 있는 어두운 전체에서 쏟아져 나와 읽는 순간 유성처럼 빛나고는, 곧 다시 완전한 망각이라는 레테의 강으로 깊이 가라앉는다. (92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