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외롭다고 아무나 만나지 않는다 - 사랑은 하고 싶지만 상처는 받기 싫은 당신을 위한, 까칠한 연애심리학
양창순 지음 / 센추리원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외롭다고 아무나 만나지 않는다』 양창순 / 센추리원

상처받는 사람들을 위한 진지한 연애 심리학

 

 

 

    '사랑은 쉽다'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나와 오랜 시간 함께 한 친구들, 그리고 가족들까지도 간혹 트러블이 생기는데, 생판 모르는 남남이 만나 자신의 속 깊은 곳까지 꺼내 보이면서 맞춰나가기는 얼마나 어려울 것일까.  그러나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사랑을 필요로 하고, '사랑'은 인생에서 빼놓을 수 없는 '배워야 할 것'이다. 사랑을 필요로 하는 이유에는 물론 수만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단언컨대 '외로움' 때문일지도 모른다. 보통 '외로움'은 보통 사랑이 (있었다가) 지나간 자리에 '결핍'이 발생함으로부터 생겨난다. 그렇기에 사람들은 '지나간 사람을 잊기 위해서나 실연의 상처를 극복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들을 만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가장 위험한 사랑의 시작이 될 수도 있다.

   "만약 '내 연애는 항상 왜 이렇지?'라는 의구심이 든다면, 지금까지 지나간 사랑을 한번 곱씹어 보라. 분명 일정한 패턴이 있을 것이다." 

  『나는 외롭다고 아무나 만나지 않는다』에서는 외로움으로 사랑을 시작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항상 비슷한 패턴으로 사랑에 상처받고 실패하는 사람들에 대한 조언이 담겨있다.  더 나은 상대가 나타날지도 모른다고 착각하며 지금의 사랑을 놓쳐버리는 사람들, 사랑을 시험하는 사람들, 집착과 사랑을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들, 어장관리와 사랑의 Give & Take 원칙까지 다룬다. 사랑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리고 서로 원하는 것이 다른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정말로 어려운 것이다. 인간관계의 한 종류인 '사랑'에 현명하고 싶어도 현명할 수 없는 많은 사람들이 저지르곤 하는 실수를, 저자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나는 까칠하게 살기로 했다』라는 책을 들어본 사람이라면 조금 익숙할 저자의 조언 방식. 사랑에 실패하고 잘못된 방식으로 그것을 극복하려는 사람들에게 진지하게, 그리고 근본적인 이유를 찾아내면서 조언한다. 상대방의 심리에 초점을 맞추어, 지금 이 사랑이 왜 잘못되었는지 왜 내가 생각했던 것과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고만 있는지, 그 이유를 알려준다. 사랑에 대한 사람들의 대응 방식은 결국 살아온 환경과 지나간 사랑 등이 만들어낸 습관일지도 모른다. 또 한번 상처를 받고, 눈물을 참으면서 "바뀔 수 있을까?"하고 묻는 사람들에게, 진지하고 상냥한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Copyright ⓒ 2014. by Rinny. All Rights Reserved.
출판사에서 지원받은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쓴 서평입니다.
덧글과 공감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그녀의 절규대로 그토록 절실하고 강렬했던 사랑의 감정은 정말 어디로 가버린 것일까? 왜 우린 때로 그토록 참혹한 상실의 고통을 겪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일까? 결국 해답은 사랑이 지닌 유한성 외에는 설명할 길이 없지 않나 싶다. 인간은 세상에서 유한한 존재다. 그런데도 사랑에서만은 영원성을 바란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상실의 고통이 더욱 힘겨운 것은 자신의 존재 의미까지 잃어버리게 만들어서다. 그것이 무엇이든 사랑하는 대상을 잃어버리고 나면 인생은 갑자기 '무'로 변한다. 더불어 그 어디에서도 생의 의미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끔찍한 추락을 경험하게 된다. (41p)

지금 만나는 사람보다 더 나은 상대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환상을 품고 있는 한 그 연애는 잘될리가 없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이 방황하는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무의식 속에서 그들은 자신을 믿지 못하는 것이다. 자신을 믿지 못하니 자신이 선택한 사람에 대해서도 확신을 갖지 못한다.

그와 같은 두려움과 불안 때문에 그들은 계속해서 더 나은 상대를 찾아 헤맨다. 그러면서 자신이 지지리도 이성에 대한 운이 없다고 불평한다. 진짜 문제는 자기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모르면서, 이러한 진실을 깨닫기 전에는 방황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 (111p)

​일반적으로 연애를 할 때는 솔직한 모습을 보이기가 쉽지 않다. (...) 왜 그럴까? 그 이유를 알고 싶다면 '지금까지 내가 어떤 방식으로 살아왔는가'를 살펴봐야 한다. 여기에는 내가 살아온 환경,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등이 포함된다.

그러한 환경과 관계 속에서 우리는 어떤 이유로든 크고 작은 상처를 받는다. 더는 상처받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솔직함에 제동을 거는 것이다. 나에게 상처를 줄 것 같은 대상이 그렇게 하지 못하도록, 말하자면 무의식적으로 '수비'를 하는 셈이다. 이것을 심리학에서는 '방어기제'라고 한다. 특히 과거에 사람에게 받았던 상처가 컸거나 그 일이 머릿속에 박혀 있으면 이 '수비군단'은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누군가에게 내 진짜 모습을 드러낸다는 건 상대에게 많은 것을 허락한다는 뜻이다. 그만큼 내 삶에서 상대방이 차지하는 자리가 크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런 사람이 나를 배신했다고 생각해보라. 상상 이상으로 힘들고 아플 것이다. 따라서 이 수비군간든 내가 의도하지 않더라도 내 마음속에서 스스로 힘을 발휘해 무의식적으로 상대에 대한 호감을 숨긴다. 의도적으로 그 사람이 내 삶에서 크지 않은 위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131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