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이트의 여동생
고체 스밀레프스키 지음, 문희경 옮김 / 북폴리오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정신분석의 창시자'로 불리는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나치의 박해가 시작되자, 영국으로 망명했다고 한다. 그는 자신의 가족들을 모두 챙겼지만, 가장 아끼고 사랑했던 여동생 '아돌피나'를 포함한 누이들은 데려가지 않았다. 결국 누이들은 수용소 가스실에서 생을 마감하게 되었다. 프로이트는 동생 '아돌피나'를 '누이들 중 가장 다정하고 착한 동생'이라고 여겼는데, 남아있는 기록으로 보면 '아돌피나'는 가족들 중 가장 안쓰럽고 어머니에게 학대를 받기도 한 외로운 여자였다고 한다. 여기까지가 실제 있었던 기록. 작가는 이 얼마 되지 않는 작은 배경으로 이 소설을 만들어냈다.
참으로 격정적이고 잔혹한 시대였다. 프로이트의 여동생 '아돌피나'는 시작부터 끝까지 아픈 생애를 살아왔다. "널 낳지 않았다면 좋았을걸"이라는 말을 시도 때도 없이 반복하는 어머니로 인해 삶은 온통 결핍이었고, 자신을 사랑하고 챙겨주는 오빠 프로이트에게 많은 부분 의지했다. 처음으로 만나게 된 사랑의 끝은 너무나도 아팠고, 그 사랑으로 생기게 된 아이마저 지워버린다. 결국 여성의 지위를 위해 싸우다가 많은 상처를 입게 된 친구 '클라라 클림트' (소설 속에서는 실제 화가인 클림트의 누나로 등장한다.) 와 정신병원에 들어가, 자유롭기 위해 자신을 감금한다.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고 난 후, 아돌피나는 병원에서 나와 지낸다. 그저 그렇게 살고 난 후, 우리가 알고 있는 실제 인물의 '끝'과 마주한다. 나치 수용소에 잡혀간 가스실에서 그녀는 죽음 앞에서, 모든 것을 망각하기를, 그저 추억뿐인 것들을 잊어버리기로 결심한다.
책 속에는 '프로이트'가 연구하고 써 내려간 기록들, 그가 남긴 말과 실제들을 이용하여 생생한 장면들을 만들어내고자 했다. '아돌피나'가 오빠 '프로이트'와 함께 존재와 영혼에 대해 이야기하는 장면, 아버지를 따라 정신의학을 연구하게 된 딸 '안나'에 대한 언급, 친구 클라라를 통하여 만들어진 '구스타프 클림트'라는 인물들은 이야기에 한껏 더 몰입하게 만들어준다. 실제 인물을 대상으로 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이 책은 시대를 알고 읽으면 물론 더 진하게 느낄 수 있다. 책 속에 많은 부분 등장하는 어느 한 시대의 관념과 사상 - 이를테면 정신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을 대하는 방식이라든지, 여성들의 지위가 굉장히 약했던 그 당시의 상황들, 프로이트의 정신의학 이야기 - 들은 허구로 구성된 이야기를 더욱 탄탄하게 해줌으로써, 역사 속의 사회를 작은 부분이나마 엿볼 수 있다.
작가는 소설의 첫 부분, 기록으로 남아있는 '수용소'에서의 죽음 장면을 먼저 보여주고 나서, 마치 영화의 회상 장면처럼 '아돌피나'의 삶의 시작으로 되돌아간다. 어느 정도 사실과 허구의 경계인 셈이다. 상상할 수도 없이 외롭고 공허한 삶을 살았던 소설 속 '아돌피나'. 기록에는 남아있지 않지만, 정말로 이런 모습으로 살지 않았을까? 그녀의 마지막, 소설의 끝에서 반복되는 '망각'에 대한 외침은 책을 다 덮고 난 뒤까지 가슴을 울린다.
어릴 때 이미 최초의 어렴풋한 의식에서 무거운 시간을 감지했고, 우리의 존재는 모래알로 이루어져 바람이 불면 흩어질 것이라는 흐릿한 예감, 우리를 온전한 우리로 묶어주는 것은 우리 자신에 대한 감각, 곧 나라는 감각밖에 없고, 종국에는 마지막 모래 알갱이, 그러니까 삶의 마지막 유물이 바람에 흩날릴 때 나도 사라지고 남는 것이라곤 시간의 바람뿐이라고 희미하게 예감했다. 어쩌다 세찬 바람이 불어 모래알 조금이 아니라 나라는 존재 자체의 일부를 날려버리면 바람이 모래와 함께 나까지 날려버려 평생 할당된 모래알이 전부 날아가기도 전에 먼저 소멸해버릴 것 같아서 나는 곧 무력해지고, 그래서 나는 또 하나의 나, 다른 나를 찾아 시간의 바람이 휘몰아치는 세상에서 동행하려는 것이다. 이렇듯 다른 나의 존재가 필요한 이유는 물질적으로 살아남기 위해서가 아니라 나의 가장 본질적인 부분이 살아남기 위해서다. (108p)
뒤러의 멜랑콜리아가 스스로에게 던지는 듯한 질문인 '살아야 하나, 죽어야 하나?'라는 질문은 나에게 나의 존재를 묻는 질문이 되었다. 나는 내 안의 어둠이 던지는 그 질문을 거울을 피해 다니듯이 피하고 싶었다. 집은 그 자체로 하나의 거울이자 존재할지 말지를 저울질하는 질문을 던지는 어둠의 그림자였고, 그래서 나는 추위가 뼛속까지 스며들고 바람이 세차게 불어 눈을 뜨기도 힘든 날에도 거리를 쏘다니고 하염없이 다리 위를 서성이고 회당이나 교회에 들어가기도 하고 벤치에 앉아 있기도 하면서 고약한 냄새가 밴 헝겊을 말리듯 내 영혼을 바람에 말렸다. 시내를 배회하며 우두커니 커다란 유리창을 보거나 강물의 수면이나 웅덩이를 멍하니 바라보다가 의도치 않게 내 얼굴과 마주하곤 했는데, 그 얼굴의 시선은 아무것도 없는 어딘가를 뚫어져라 보고 있었다. 아무리 내 안의 그림자를 잠재우려 해도, 그림자를 없애는 빛으로 눈을 돌려도, 그림자는 끈질기게 물었다. 살아야 하나, 죽어야 하나? (142p)
둥지 안에 처절한 비명이 울려 퍼지고 그 비명이 서로 충동질하고 서로 부추기고 서로 강화할 때, 우리는 마치 어떤 미지의 무시무시한 세계 안으로 떨어져 사방으로 둘러쌓인 병실의 벽으로 보호받는 것 같았다. 가끔 끔찍한 비명이 둥지에 울려 퍼지는 순간, 비명이 서로 충동질하고 서로 부추기고 서로 강화하는 순간, 클라라가 '우리 방은 자궁 같아.'라고 말하곤 했다. (205p)
"삶에 의미가 있다는 생각은 그저 끝없이 행복하길 바라는 감춰진 욕구일 뿐이야." 오빠가 말했다. "아니, 정확히 말해서 의미를 찾고 싶은 욕구는 영원한 행복을 실현하기 불가능해서 생기지. 하지만 행복이란 엄밀히 말해서 억눌린 욕구가 예기치 못한 순간에 충족되는 현상이고 본질적으로 단편적인 현상이지."
"오빠가 정의하는 행복은 본질적인 면에서는 행복과 아무런 공통점이 없어요. 그래도 오빠의 정의를 잘 생각해보면 모든 것에 의미가 가득하다는 뜻인 것 같아요. 비단 행복만이 아니라. 세상의 모든 슬픔이 오류나 우연일까요? 그리고 슬픔은 어디로 갈까요? 모든 과거와 지난 시간에 일어난 모든 일이 다 어디로 갈까요? 생각, 감정은 어디로 갈까요? 처음 시간이 시작된 순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일어난 모든 몸짓과 말은 다 어디로 갔을까요? 처음부터 존재한 적도 없는 것처럼 사라져버렸다면 애초에 왜 일어났을까요?" (279p)
나는 죽음으로 들어가면서 죽음은 망각에 지나지 않는다고 다짐한다. 나는 죽음으로 들어가면서 인간은 그저 추억일 뿐이라고 나에게 말했다. 나는 죽음으로 들어가면서 죽음은 그저 망각일 뿐이라고 되뇌었다.
나는 죽음으로 들어가면서 다 잊어버릴 것이라 되뇌었다. 나는 죽음으로 들어가면서 되뇌었다.
저들이 이 방으로 날 끌고 온 일을 잊을 거야. 매캐한 이 냄새를 잊을거야. 내 주위에서 늙은이들이 죽음을 두려워하며 내지르는 비명을 잊을 거야. 비명을 지르거나 기도하는 걸 잊을 거야. 내가 동생의 손을 꽉 잡고 동생이 내 손을 맞잡은 것도 잊어버릴 거야.
그렇게 죽겠지. 그렇게 잊겠지. (286p)
* 가장 관심있게 보는 분야인 '홀로코스트'에 대한 부분들은 생각보다 많이 등장하진 않네요.
그러나 굉장히 임팩트가 큰 장면들로 나옵니다. 정말로 가슴아픈 역사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