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부 러시아 고전산책 6
막심 고리키 지음, 이수경 옮김 / 작가정신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러시아 문학이라 하면 왠지 거창하고 묵직할 거라는 일종의 편견이 있었다. 국내에서 처음 소개되는 단편들로 구성되었다는 <마부>를 펼치기 전에도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생각과는 달리, 읽고 난 뒤의 느낌이 산뜻하다. 삶의 방향을 진지하게 제시하면서도, 인간에 대한 작가의 따뜻한 시선이 눈에띤다. 처음 만나보는 '막심 고리키'의 문학. <어머니>라는 아주 유명한 작품을 아직 읽어보지 못했다. 이 단편집에 수록되어 있는 소설들은 작가의 초기 작품이니, 유명한 장편을 읽기 전에 만나본 것도 좋다는 생각이 든다.

 

  책의 첫 부분에 등장하는 <마부>와 <환영>에서는 신비스럽고 영적인 존재가 등장한다. 그들은 주인공의 결정과 행동에 간접적으로 관여하면서 주인공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크리스마스 주간, 빛이 떠오르는 시간적 배경에서 전개되는 이야기 속에서는 작가의 종교적인 관점도 드러나면서 어떤 삶이 옳은 삶이냐에 관한 메시지를 전해준다. <로맨스>와 <아름다움>에서는 사랑과 아름다움에 매혹되어 잊을 수 없는 기억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있으며, 가장 뇌리에 깊게 박힌 단편 <아쿨리나 할머니>는 소외된 사람들을 감싸 안았지만 홀로 죽어가게 된 노파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 책에서 나타난 '막심 고리키'의 글은 직선적이었다. 작가가 하고자 하는 말을 완전한 문장으로 드러내고 있다. <지난해>와 <시간>이라는 단편에서는 멋진 삶을 살기 위해 지켜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중 <시간>은 독특한 관점으로 서술하면서도 작가의 신념을 정확하게 드러내고 있는 글이다. 그래서 마치 에세이를 읽고 있는 듯한 느낌이기도 하다.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끊임없이 고민하는 우리에게 따뜻한 경고를 보내고 있는 짧은 소설들. <마부>는 이성과 진리를 외면하고 독창성이 사라져가는 이 시대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고, 수정된 행동으로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만든다. 새해가 밝은 지금, 많이 무겁진 않은 고전을 통하여 삶을 어떻게 충실하게 살아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물음을 또다시 던져보게 되었다.


 

 

  '정말로 내 안에는 자신을 범죄자로 느끼게 하는 내적 규범이 존재하지 않은가?'

 그의 영혼 속에 그런 규범이 없다는 사실은 분명했다. 그러나 그는 양심의 가책, 참회, 자신이 범죄를 저질렀다는 죄책감이 인간의 특성이라는 사실을 잊을 수 없었다. 그는 내면에서 계속 그 감정을 찾았다. 찾고 또 찾았으나 도저히 찾을 수 없었다. 그는 자신에게 놀랐다. '나의 모든 감정이 어디로 사라져버렸을까?' 그에게 삶이란 심장이 메말라버린 사람의 잠꼬대도, 환상적인 어떤 것도 아닌 이상야릇한 것으로 여겨졌다. (29p, 마부)

 

 

  눈물이 질질 흐르는 충혈된 눈을 한 그녀는 이미 오래전부터 따라다니는 꼬리표처럼 진짜 '키예프의 마녀' 같았다. 그녀는 늙어 꼬부라진 몸으로 지팡이로 인도를 툭툭 두드리며 걸어갔다. 합죽이 같은 검은 입은 늘 미소를 띤 채 뭔가 쉬쉬거리며 중얼거렸다. 그녀는 살아 있으면서 더러운 냄새가 나는 혐오스런 덩어리 자체였다. 그랬다. 그녀는 어떻게든 호감을 불러일으킬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행하게도, 그녀 자신은 불행인지도 잘 모르는 듯한데, 주위에 사람이 없으면 견디지 못했다. 그래서 운명이 그녀에게 '손자들'을 보내지 않으면 운명의 부주의를 바로 잡기 위해 스스로 할 수 있는 한 '손자들'을 끌어모았다. (157p, 아쿨리나 할머니)

 

 

  지난 해의 손님들은 슬픔에 잠겨 조용히 흩어졌다. 자리를 뜨면서 희망은 침묵을 지켰다. 위선은 슬픔에 찬 얼굴로 공상과 이야기를 나눴다. 이성과 인내에 대해, 권태가 머큐리의 말을 듣지 않고 반발할까봐 걱정했다는 내용이었다. 마침내 모두들 흩어졌다. 이미 새로운 해의 옷으로 갈아입은 지난해만이 홀로 남았다. 그리고 진리가 남았는데 그녀는 언제 어디서나 영원한 꼴찌였다. (173p, 지난해)

 

 

  똑딱, 똑딱!

 고요하고 적막한 밤에 무정한 시계추 소리를 듣는 것은 소름 끼치는 일이다. 그 소리는 천편일률적이고 수학적으로 계산되어 언제나 똑같은 것, 부단한 삶의 여정을 나타낸다. 어둠과 잠이 지상을 감싸고, 모두들 침묵에 빠져 있는 시간, 시계만이 냉철하고 크게 시간의 흐름을 알려주고 있다....... 추의 움직임과 더불어 우리에게 주어진 삶의 시간은 점점 줄어들고, 흘러간 순간은 다시는 되돌아오지 않는다. 시간은 어디서 나타나, 어디로 사라지는 걸까? 그 누구도 이 질문에 담하지 못할 것이다...... 답할 수 없는 많은 질문들이 여전히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고, 중요한 다른 문제들도 그 해결 여부에 따라 우리의 행복을 좌우한다. 살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177p, 시간)

 

 

  생각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자! 당신은 생각의 탄생을 도와야 한다. 생각은 언제나 당신의 노력에 보답할 것이다. 생각은 도처에, 어느 곳이건 존재한다. 마음만 먹으면 당신은 돌덩어리 틈새에서도 생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음만 먹으면 사람들은 모든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마음만 먹으면 그들은 지금처럼 삶의 노예가 아닌, 삶의 주인이 될 것이다. 살고자 하는 열망과 자신의 힘에 대한 도도한 인식만 있으면 된다. 그러면 삶 전체는 영혼의 힘으로 가득 차고, 위업의 고결함으로 깊은 감동을 주는 멋진 시간, 위대한 시간이 될 것이다. (184p, 시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