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잘 있지 말아요 - 당신의 가슴속에 영원히 기억될 특별한 연애담
정여울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3년 10월
평점 :
우리가 사랑하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잘 있지 말아요 - 정여울>
After Reading
세상에는 많은 사랑이 있다. 그리고 세상을 담은 '책'과 '영화', '뮤지컬' 등에도 굉장히 많은 사랑이 있다. 물론 거기에는 약간의 판타지가 덧입혀지지만 사랑이라는 감정의 본질은 똑같이 살아있다. 당기려 하지만 자꾸만 낯선 사람이 돼버리는 영화 <클로저>의 사랑, 자신의 추한 모습을 감추고 진정한 사랑을 찾으려는 <오페라의 유령>의 사랑, 지독히 개인적인 <달과 6펜스>의 대가도 보답도 바라지 않는 사랑, 자신의 모든 것을 포기하고 영혼에 이끌리는 듯한 <베니스에서의 죽음>의 사랑....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는 위안을 던지는 <잘 있지 말아요>라는 사랑 에세이에는, 이처럼 가지각색의 '사랑'이 등장한다. 작가는 이 사랑의 모습을 사랑, 연애, 이별, 인연이라는 네 개의 타이틀로 분류하여 이야기한다. 이들 사랑의 모습은 때로는 마치 사랑이 아닌 것처럼 느껴지는 것도 있지만, 빛깔이 다른 사랑이며 형태가 다른 사랑이다. 그것을 보고 누군가는 '이런 사랑이 어딨어'라고 핀잔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다양한 매체 속의 사랑보다도 더 다양한 모습의 사랑을 행하며 살아간다. 평범하게만 보이는 사랑도, 그 사랑을 느끼는 당사자에게는 무척이나 특별한 것이기에..
작가 정여울의 글은 생각보다 더욱 감성적이고 예쁘고, 흡인력 있다. 지금까지 보아왔던 '책 에세이'나 '인문학 에세이'와 비슷한 면이 있지만, 몇십 개나 되는 사랑을 이야기하는데도 지루함 없이 읽어내려가게 만드는 것은 작가의 글이 무척이나 좋았던 이유도 있었다. 그녀는 책 속에서, 영화 속에서 공감했던 사랑의 아픔을, 우연을, 야속함을 이야기하면서, 독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낸다.
사랑의 아픈 모습이 이렇게나 많이 드러나고, 과거의 사랑이 쓰디쓴 추억으로 남는 경우도 많은 것처럼, 사랑을 두려워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러나 또다시 사랑에 뛰어들고, 옆에 있는 사람과 행복을 꿈꾸는 많은 이들의 모습은 우리의 삶에서 '사랑'이 결코 작은 부분이 아님을, 사랑에는 상상할 수 없는 특별한 낭만이 있음을 증명해주는 것이 아닐까. <잘 있지 말아요> 같은 책들은 이러한 특별한 낭만을 보다 잘 가꿔나갈 수 있도록 용기를 준다. '사랑하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그것은 또 다른 사랑에서 배운다.
Underline
- 사랑에 대한 이야기들은 어떤 기계장치로도 지울 수 없는 메모리 같아서, 아무리 오랜 시간이 지나도 아주 작은 기억의 촉매만으로도 환하게 되살아난다. 이 사랑 이야기들은 수없이 영화나 연극이나 뮤지컬로 리메이크되었지만, 시대가 변할수록 더욱 새로운 울림으로 되살아난다. 영화에서 본 사랑 이야기들은 소설로 다시 읽을 때 더욱 섬세한 울림으로 되살아난다. 마치 엠피스리로만 듣던 음악을 오래된 카페에서 엘피판으로 들을 때의 반가움처럼. 단순한 기계음보다 더욱 다사롭고, 소리의 질감 하나하나가 되살아나는 느낌이 좋다. (18p)
- 만약 인생의 클라이맥스가 사춘기에 이미 끝나버렸다면 어떨까? 우리 인생의 가장 아름다운 장면이 미래가 아니라 과거에 있다는 것을 명백히 깨달아버린다면, 과연 '과거보다 결코 아름다울 리가 없는 미래'를 향해 묵묵히 성실하게 살아갈 수 있을까. 가장 아름다운 세계가 과거에 이미 끝나버렸다면, 우리는 과연 그저 과거를 추억하는 것만으로 만족하며 현실을 인정할 수 있을까. (68p)
- 많은 사람들은 '계'를 지키기 위해 '색'을 포기한다. 계율의 그물망을 뚫고 욕망을 택한 사람들은, 욕망의 대가를 철저히 치러내야 한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계율의 물샐 틈 없는 수비를 뚫고 기어이 자신만의 색을 이루어낸다. 그 색은 사랑일 수도, 신념일 수도, 공동체일 수도 있다. 계율이 가로막는 모든 금지된 길들 위에 인간의 색이 꿈꾸는 피 묻은 이정표가 세워진다. (204p)
- 애당초 '바로 너'를 원하면서도, 왜 '너 아닌 모든 것'을 향해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일까. 너무도 행복한 사랑에 빠져 있을 때, 왜 인간은 대상과의 진정한 결합을 은근히 가로막는 것일까. 불가능한 대상을 추구하는 것, 가장 사랑하는 존재를 파멸시키는 것, 그것 또한 인간의 치명적인 본성일까. 우리가 누군가를 '원한다'는 것은 그를 도저히 손에 넣을 수 없다는 무의식의 판단 때문일까. 욕망을 '계속 생생하게 살아있게' 하려면 욕망의 최종적인 실현을 방해해야만 하는 것일까. (226p)
Add...
얼마 전 읽었던 <가장 좋은 사랑은 아직 오지 않았다>라는 책이 계속 떠올랐어요.
느낌이 비슷한 책인데, 둘 다 좋긴 좋네요,
그나저나 요즘 이상하게 사랑 에세이를 많이 읽게 되네요.... 허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