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치와 이발사
에트가 힐젠라트 지음, 배수아 옮김 / 열린책들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역사 속의 죄와 벌, 그 사이의 해결점에 대하여  <나치와 이발사 - 에트가 힐젠라트>

 

 

 

 After Reading

 

 

 

 

   "나는, 그들에게서 빼앗은 그것을 다시 돌려줄 능력이 없어, 그럴 수가 없어."

 

  <나치와 이발사>는 소재부터 파격적이고, 전개 또한 남다른 소설이다. 순수 아리아인 혈통이지만 유대인의 얼굴을 가진 '막스 슐츠'는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강간과 사랑없는 가정에서 자라왔고,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나치의 SS단원으로 대학살에 참여하게 된다. 그는 뒤이어 전쟁이 끝나자, 학살당한 자들의 수많은 금니를 채취하여 생활의 기반을 다지고, 자신의 가장 친한 친구였고 자신이 살해한 사람인 유대인 '이치히'로 신분을 세탁하게 된다. 전쟁 당시 가해자였던 '막스'는 전쟁 후 교묘하게 피해자의 인생을 살며 정체성 또한 유대인으로 탈바꿈하기까지 한다. 너무나 가증스럽고 비겁한 주인공의 행보 (그러나 주인공은 마치 실없는 농담하듯 툭툭 건조하게 말한다), 과연 그는 용서받을 수 있는 인간일까.

 

  흥미로운 점이 몇가지 있다. 순수 아리아족 혈통의 주인공은 우스꽝스럽게도 유대인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그 유대인 친구는 우월한 파란 눈의 독일인 모습을 가졌다는 것, 주인공이 유대인을 미워하는 마음 없이 학살을 저질렀다는 것, 그 때문에 계속해서 '자신은 피라미였을 뿐이다'라는 말을 반복한다는 것, 신분 세탁을 한 후 마치 유대인의 영웅처럼 행동한다는 것, 시대에 이끌려 그리고 과거의 아픔 때문에 죄를 저질렀다고 말하는 점 등이다. 전적으로 가해자의 시선으로 쓰여진 이 책은 국제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으면서도, 정작 독일에서는 출간할 곳이 없어, 고생했다고 한다. 홀로코스트라는 무거운 주제를 거침없이 풍자하고 까발렸고, 특유의 블랙유머까지 첨가한 이 소설은 독일인들이 냉큼 받아들일 수는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출간하게 된 후 엄청난 반응을 일으켰다는 사실.

 

  과거의 잘못을 어떻게 속죄할 수 있을까. 나치의 대학살, 일본의 위안부와 마루타 등 역사 속 전쟁의 아픔을, 국가가 또 하나의 국가에게 행한 '죄'를 어떻게 해야 지울 수 있을까. 시대가 어쩔 수 없이 행하게 만든 죄이기 때문에 그냥 '모른 척' 해버려도 된다고? 아니면 전범의 피해자인 유대인을 양심이란 이름 하에 옹호하고 지나치게 감싸고 그들 곁에 서면 용서가 가능하다고? 죄를 행한, 방관한 자들을 모두 사형대에 올려버린다고? 그렇다고 피해자의 눈물이 닦여질까.

 

  결국 작가가 말하는 것은 '죄'를 기억하는 것, 역사를 망각하지 않고 살아가는 것이다. 현재 역사 속 위안부의 아픔을 겪은 할머니들이 외치고 있는 것은 그 죄에 걸맞는 보상일까? 그것보다도 해답은, 진심어린 인정과 반성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조금 파격적이고 날카롭지만 <나치와 이발사>같은 문학은 '역사를 잊지 말자'는 듯 보이는 작가의 의도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으며, 그것을 세상에 각인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장치가 아닐런지.

 

 

 

 Underline

 

 

 

 

 

  - 나로 말하자면, 언제나 이발사라는 일을 흥미로운 직업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세상에 인간의 머리통만큼 귀한 것이 또 어디에 있겠는가? 그런 귀한 머리통을 모양내고, 다듬고, 아름답게 꾸미는 일이 어찌 즐겁지 않겠는가....... 그런데 이발사 일을 하다 보면 다음과 같은 생각도 문득 떠오를 때가 있긴 하다. 세상에서 제일 귀한 이 머리통을 으깨 버린다면, 그것도 참 재미가 있긴 하겠구나...... 하는, 너무나 간단하게 해치울 수 있는 입장이 아닌가. 그것도 두 손만 이용해서. 이 손쉬운 가능성을 실감하고 나면 누구나 깜짝 놀랄 정도이다....... 우스꽝스럽기조차 하다. 여기 누군가의 머리통이 있다! 그 머리통이 완전히 내 손아귀에 들어와 있는 것이다! (47p)

 

 

  - 도대체 어디가 몽둥이의 시작이란 말인가, 그리고 또 끝은 어디인가? 끝없는 이 연쇄 고리의 어디쯤에 신이 있는 걸까? 신이 그 안에 있기는 한 걸까? 어쩌면 그것들 위에 있는 건지도 몰라. 그러면 내가 다음 순서로 몽둥이질을 퍼부어야 할 사람은 누구란 말인가? 아니다 나는 슬라비츠키의 몽둥이를 굳이 빼앗지 않았다. 대신 새로운 몽둥이를 하나 구입했다. 더 좋은 놈으로...... 지금 낡아서 볼품없는 슬라비츠키의 몽둥이가 새것이었을 때보다 더욱 훌륭한 놈으로. 색깔도 노란색이나 검은 색이 아니라 나 자신의 색을 골랐다. 나는 한 명 이상의 희생자를 원했다. 한 명뿐인 희생자라니, 그게 무슨 의미가 있는가? 나는 내가 받은 상처 하나당 한 명의 희생자를 원했다. (...) 오늘날 나는 그때 왜 우리 모두의 목구멍에서 튀어나온 가래 덩어리가 허공을 멀찍이 날아가 무고한 자들을 맞추었는지, 그 이유를 알고 있다. 당시 우리는 특별히 그들을 겨냥한 것이 아니었다. 그냥 숨통이 좀 트이라고 답답한 이물질을 뱉어 낸 것에 불과했다. 그때는 그 이유를 알지 못했다. (76p)

 

 

  - 그 시절 나는 피라미에 불과했다. 비록 악마의 축제에 참여하기로 서약하고 군화와 유니폼으로 무장한 채 역사의 수레바퀴에 온 몸으로 올라타기는 했으나, 내 <무게>는 너무 미약하여 수레바퀴를 굴리기에는 턱없이 부족하기만 했다. 피라미 한 마리가 무슨 일을 벌일 수 있겠는가? 피라미가 걸친 유니폼은 또 무슨 의미가 있고? 피라미 한 마리가 군화를 신어 봤자지. 하지만 그런 피라미가 수백만 마리라면...... 유니폼을 걸친 피라미와 유니폼 없는 피라미까지 (...) 그 모든 불품없는 피라미들이 당시 함께 입을 모아 <예!>라고 답했으며 나를 포함해 모두들 한꺼번에 거대한 수레바퀴에 떼 지어 달려들었으니 바퀴가 서서히 굴러가기 시작한 것도 무리가 아니다. (87p)

 

 

  - 나, 이치히 핀켈슈타인, 당시의 막스 슐츠는 단 한 번도 유대인을 미워해 본 적이 없어. 왜 내가 유대인을 미워하지 않았을까? 그건 나도 잘 몰라. 단지 내가 분명히 말할 수 있는 사실은, 나 이치히 핀켈슈타인, 당시의 막스 슐츠는 결코 유대인을 미워한 적이 없다는 거야. 그러면 넌 궁금하겠지? 왜 내가 유대인을 죽였을까? 그건 나도 잘 몰라. 아마도 몽둥이 때문이 아닐까? 옛날 우리 집에는 노란 몽둥이와 검은 몽둥이가 있었잖아. 물론 색깔은 없는 다른 몽둥이도 있었고, 그리고 손들이 있었어. 그 몽둥이를 휘둘러 댔던 수많은 손들, 한번 휘둘러진 몽둥이는 예외 없이 내 엉덩이로 와서 부딪혔지...... 혹은, 그들이 영혼이라고 부르는 것의 엉덩이로...... 영혼에도 엉덩이가 있는 건 당연하잖아. 영혼도 간혹은 엉덩이를 좀 맞아야 한다고! 아니 간혹이 아니라 자주! 사실은 아주 빈번하게! (299p)

 

 

  - 나무들이 대답하는 소리가 들렸다. "너는 가장 마지막 인간이다. 서열상으로 가장 마지막 인간. 모든 할례 받은 자들 중 가장 마지막. 그리고 할례 받지 않은 자들 중에서도 가장 마지막." 나는 나무들에게 물었다. "내가 왜 가장 마지막 인간이란 말인가?" 나무들이 내게 대답했다. "마지막 인간들 중에서도 가장 마지막 인간!" 나무들에게 다시 물었다. "도대체 왜? 내가 뭐 남들보다 더 특별하게 쏘아 죽이고 특별나게 목매달고 특별나게 때려죽였단 말인가....... 그래서 마지막 인간들 중에서도 가장 마지막이란 건가?" 나무들이 내게 대답했다. "네가 잘못을 인정하고 있지 않으니까! 모두 부인하고 있으니까! 몰래 숨어 버렸으니까! 게다가 희생자들의 뒤에 숨었으니까...... 죽은 자들과 살아남은 희생자들의 뒤에!" (519p)

 

Add...

 

 

 

주인공의 이름 '막스 슐츠'는 독일어로 max Schuld (최대 유죄)

라는 뜻이라 합니다. 이름에도, 작가의 관점이 드러나고 있는 듯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