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어느 쪽이냐고 묻는 말들에 대하여 - 칼의 노래 100만부 기념 사은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그의 세설을 통해 문장을 만끽하다 <너는 어느쪽이냐고 묻는 말들에 대하여 - 김훈>

 

 

 

 

 

 

After Reading

 

 

 

 

   옛날부터 눈에 담아두고 있던 이 책은 이상하게도 내게 빨리 들어오지 않았다.

 

  몇년 전 이 책을 처음 발견했을 때에는 '나중에 사야지' 미루고 있다가 '사야겠다'하고 마음먹은 날에는 절판 상태가 되어버려서 중고책방을 뒤졌더니 가격이 거의 두배가까이 올라있었다. 결국, 울며 겨자먹기로 나중을 기약했고, 이 책은 다른 사람을 통해서 무사히 내 책장에 들어올 수 있었다. 어쨌든 이런 수고를 통해서, 읽고 싶은 책은 빨리 거둬들이라는 교훈을 나에게 안겨준 책이다.

 

  '아들아 다시는 평발을 내밀지 마라'라는 문구가 낯익다. 이 책은 원래 이런 제목으로 나왔었다. 김훈 작가가 여기저기 기고한 글들을 모아 묶어낸 책인데, 1990년대 - 2000년대 사이의 사회 이슈들을 보는 작가의 냉철한 시선을 즐길 수 있는 책이기도 하다. <칼의 노래>를 읽고 작가의 문체에 홀딱 반해버린 나는 이 세설을 통해서 빛나는 문장을 발견하리라는 바람을 갖고 읽었다. <칼의 노래>때 느꼈던 담담한듯 휘몰아치는 유려한 문장들을 기대했다. (김훈 작가의 글은 내게 투박하지만 섬세하고, 왠지 우아한 느낌이었다) 그러나 책의 앞부분에서 나는, 건조하고도 날이 선 또다른 그의 문장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뒤쪽으로 갈수록 에세이 느낌이 강해져서 내가 바라던 그 모습들을 쉴새없이 발견할 수 있었지만, 어찌됐든 그 앞의 논평느낌이 나는 글들도 꽤 매력있다. 두 부분의 공통점은 사회의 불완전한 세태에 안쓰러운 마음을 가지는 작가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는 것.

 

  아들들에게 거침없이 평발을 내밀지 마라고 외치는 김훈도, '두보'의 시를 읊으며 자신의 감성을 술술 풀어내리는 김훈도 나는 참 좋다.

 

 

 

 

Underline 

 

 

 

 

  - 나이를 겨우 먹어가니까, 혼자서 중얼거리는 말이라면 몰라도 세상을 향하여 내놓을 수 있는 말이란 그다지 많지 않고 또 쉽지도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깨달음은 쓸쓸했지만, 도리가 없는 것이었다. 세계는 무수한 측면을 갖는다. 그 측면마다 하나의 독립된 시각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힘들여서 겨우 어떤 진술을 시도할 때 그 진술과 반대되는 또 다른 진술이 성립되어 가고 있는 것이나 아닐까, 그런 회의가 나이 든 사람을 말더듬이로 만든다. 삶 속에서 그 유효성을 검증할 수 없었던 거대하고 모호한 의미의 단어들을 만지기가 겁이 난다. 결국 끌어다 쓰지 못한다. 사전에 나와 있는 말들 중에서 끌어다 부릴 수 있는 말들은 머리카락이 빠져나가듯이 점점 줄어들어서 이제는 고작 한 옴큼이다. 말들은 점점 가난해진다. 그리고 그 가난이 오히려 편안하고 가지런하다. (58p, 말하기의 어려움)

 

 

 - 토머스 제퍼슨이라는 옛 미국인이 "신문 없는 정부보다 정부없는 신문을 택하겠다" 운운한 말이 2백년 후의 한반도 남쪽에서 요란한 각광을 받고 있다. 내 생각으로는 이 가파르고 다급한 말은 무의미한 수사에 불과하다. 언론의 중요성을 강조한 뜻은 알겠으나, 정부와 신문 양자간에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수사는 근본적으로 공허하다. 말이 되는 것 같지만 말이 안 되는 말이다. 이 양자택일을 인간의 현실에 적용시켜서 이쪽이다 저쪽이다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 이 별로 쓰잘데없는 말 쪼가리를 이미 권력으로 쪼개져버린 현실에 대입시켜 가면서 이쪽이냐 저쪽이냐를 묻는다면 나는 우습고 꼴같지 않아서 대답하지 못한다. 웃을 수밖에 없는 것이 나의 지성이다. 제발 이러지들 말라. (78p, 개수작을 그만두라)

 

 

  - 설이 지나서 나는 쉰네 살이 되었다. 나는 아직도 죽음을 내 불가피한 귀결로 받아들이지 못한다. 아직도 덜 살아서 그런지, 나는 돌이킬 수 없는 생명의 일회성을 감당해 낼 만한 마음의 힘이 없다. 인연이나 업장의 소멸이 무섭고, 불구덩이나 흙구덩이도 무섭지만 그 무서움을 인식하는 나 자신이 이미 증발해 버려서, 무서움조차도 존재할 수 없는 그 대책 없는 적막은 더욱 무섭다. 내가 고백할 수 있는 삶의 인식이란, 삶은 살아 있는 동안의 느낌의 총화일 뿐이라는 정도다. 비천한 생사관일 테지만, 그 너머를 말한다는 것은 나 자신의 몸의 실존을 배반하는 거짓말일 것이다. 살아 있는 동안의 슬픔이나 기쁨이 아무리 하찮은 것이라 하더라도 죽음의 적막에 비하면 그래도 내용이 있지 싶다. (121p, 대문 밖의 황천)

 

 

  - 글을 쓰면서, 연필을 쥔 자신의 손을 들여다보는 일은 가슴 아프다. 글을 쓸 때, 손은 말을 만지지도 못하고 세상을 만지지도 못한다. 손은 다만 연필을 쥘 수 있을 뿐이다. 글을 쓸 때, 가엾은 손은 만질 수 없는 말들을 불러내서 만질 수 없는 세상을 만지려 한다. 세상은 결국 만져지지 않고, 말과 세상 사이에서 연필을 쥔 손은 무참하다. (155p, 인간의 몸과 손)

 

 

  - 아이놈들이 옆집 마당의 꽃핀 매화나무를 매우 부러워해서 우리도 마당에 매화나무를 사다가 심자고 조른다. 꽃은 주인이 따로 없고 눈으로 보는 사람마다 다 주인인 것이어서, "옆집에 매화가 있으므로 구태여 돈 주고 나무를 사다가 심을 필요가 전혀 없으며, 옆집 마당의 매화는 돈도 안들고 키우는 수고도 안들면서 오히려 눈부시니 얼마나 더 기특한 나무냐"라고 아이들에게 말해주어도 다 큰 녀석들이 이 쉬운 말을 알아듣지 못한다. 아이놈들은 나무를 뽑아서 제 집 울타리 안, 제 방 창문 앞에 옮겨 심어 놓기 전에는 꽃핀 매화나무의 아름다움과 더불어 평안할 수가 없는 모양이다. 그러니 아직 아이일 수밖에 없다. 봄날의 이 비린 시간들은 인간의 기쁨과 슬픔을 다 제쳐놓고서 천지간의 꽃잎을 모조리 휘몰아 사라지는 것이며 모든 꽃은 마침내 인간의 몫이 아님을 알게 되기까지, 반찬투정을 하듯이 꽃투정을 하는 이 어린 것들은 수많은 봄을 겪어야 하리라. (212p, 꽃 몸살 나는 봄)

 

 

 

Add...

 

 

 

김훈 작가가 진정한 아름다움, 여성들의 화장, 그리고 과일을 얼마나 색다르게 표현하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책 속에서 나오는 여름 꽃들에 대한 단상은 특히나 너무 표현이 아름다워서,

수국 꽃을 좋아하는 친구에게 카톡으로 미친듯이 써서 날려줬다는. 쓰느라 힘들었지만.

 

(이번 리뷰는 팬심이 가득한 리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