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이에 밀리지 않고 진짜 인생을 살고 싶다 - 삶의 주인공이 되기 위해 끝까지 지켜야 할 인생 키워드 35가지
가와기타 요시노리 지음, 이정환 옮김 / 예담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칠십대의 청춘 <나이에 밀리지 않고 진짜 인생을 살고 싶다 - 가와기타 요시노리>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430/pimg_708537108849723.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430/pimg_708537108849724.pn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430/pimg_708537108849725.jpg)
살다보면 인생에서 끝까지 지켜야할 것이 있다고 작가는 말한다. 80세의 나이에 다다른 이 작가는 아마도 거의 한세기에 가까운 시간동안 많은 것들을 느끼고 알아채고 그러면서 살아왔을 것이다. 가끔 이런 생각이 들때가 있다. '어른들은 어떻게 그렇게 통쾌하게 결론내릴 수 있는 것일까? (물론 주저주저하는 어른들도 있지만.)' 시간이란 세월이 지혜를 만들어내는 것일까. 하고.
그래서 나는 지혜라는 것을 얻기 위해 나이를 한참 더먹고 싶었을까. 그건 아니었다. 나이가 드는 게 아직까지도 두렵다. 이러한 걱정은 외면적으로나 내면적으로, 그 둘다에서 비롯된다. 그렇다면 내가 어떤 행동을 해야 시간이 흘러 야금야금 먹어진 '나이'에 후회하지 않을 수 있을까? 여러 명사들과 자신의 경험등을 토대로 이야기하는 35가지의 짧은 에피소드는 상상했던 단어와 전혀 상상하지 못한 단어들을 주제로 이야기 되어졌다. 이 단어들을 가지고 책을 읽으면서 작가의 모습을 그려보았다. 내가 본 이 책의 저자는 80세에 다다랐지만 호탕하고 뒤끝도 없으며 쓸 줄 알고 사랑하고 즐길 줄 아는 청춘아닌 청춘이었다. 작가는 청춘이 마음으로 부터 만드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의 이야기를 가만히 읽다보면 나의 청춘이 무조건 스물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이어갈 수 있다고 믿어진다. 좋은 인생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는 이 세상에 많고 많은 책에서 이 책이 자신만의 개성을 가진다말할 수 있는 것은 쿨하고 통쾌한 작가의 철학이다. 그런 주장들 때문에 '이 사람은 정말로 행복한 사람이어서 나도 이렇게 살아야 행복할 수 있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역시 많은 사람들에게는 자신만의 꿈꾸는 인생이 있게 마련이다. 책 속의 키워드는 단지 나보다 더 긴삶을 산 사람의 지론일 뿐, 반드시 받아들여야 진짜 인생이거나 행복한 인생이 아니다. 나도 이 책을 읽으면서 내 가치관과 맞지 않은 키워드를 종종 만났지만, 그것으로 이 작가의 말이 틀렸다거나 나쁘다고 할 수는 없는 것 같다.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이고, 맞지 않는 건 빼내는 잣대가 역시 필요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430/pimg_708537108849726.png)
- 살아가면서 '잊는 데 고수'가 되어야만 한다. 아무리 반성하려 해도 한번 내뱉은 말이나 일단 선택한 물건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 '상대방의 마음에 생긴 상처'를 지워버릴 수는 없고, 이미 생긴 일을 없었던 것으로 처리할 수도 없다. 그렇다면 차라리 이렇게 생각하는 것이 편하다. '이미 지나간 일은 어쩔 수 없어.' '엎질러진 물'이라는 말이 있는데, 그야말로 한번 엎질러진 물은 절대로 되돌릴 수 없다. 과거에 얽매이는 어리석음은 동서양의 모든 선인들이 지적한 바 있다. "지나간 일로 마음을 애태우지 말라.", "지나간 일은 지나간 일이니 지나간 일로 치고 그대로 두자." (19p)
- "인간은 어쩔 수 없는 존재라는 인식이 기본에 깔려 있어야 한다." 한 극작가의 말이다. 그 어쩔 수 없는 존재들끼리 상대하는 것이니까, 뜻대로 풀리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해야 한다. 인간관계에 대한 나의 기본적인 자세도 그렇다. 대인관계를 그런 식으로 생각하면 상대방이 싫어하더라도 진심을 말할 수 있다. 싫어할 것을 두려워하여 마음을 속일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일부러 싫어하는 말이나 행동을 보일 필요는 없지만, 그런 말이나 행동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7p)
- 거짓말을 진실처럼 보이려면, 감추고 싶은 부분은 우선 거짓말을 한 후에 약간의 진실을 이야기하는 것이 좋다. 아부에도 어느정도 진실은 필요하다. <군주론>으로 유명한 마키아벨리도 비슷한 말을 했다. "거짓말을 할 때에는 반드시 진실을 넣어라. 그 진실의 힘에 의해 거짓말도 진실이 된다." 진실이 섞인 거짓말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되면, 인간관계에서 실패할 확률이 확 줄어든다. (177p)
- 요즘의 부모는,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집에서 빈둥거리기만 하는 자식을 상대로 말 한마디 제대로 하지 못하고 눈치만 살핀다. 이게 부모가 해야 할 행동인가. 왜 이렇게까지 자식의 하인 노릇을 해야 하는 것인지, 나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식사는 가족이 함께 모여서 하는 것이다. 본인이 나오지 않으면 굳이 갖다 줄 필요가 없다. 먹지 않으면 그만이다. 굶어죽고 싶으면 그렇게 하라고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기개를 요즘 부모들에게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응석이나 부리는 그런 자식을 이해 주어야 한다는 마음을 앞세우면서, 사실을 부모 자신이 자식을 떼어 놓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211p)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430/pimg_708537108849727.png)
물욕 역시 나쁘거나 수치스러운 것이 아니다. 돈으로 살 수 있는 행복이 있다면 사야 한다. 이것은 나의 변함없는 지론이다. 어떻게든 자동차를 가지고 싶은데 '물욕에 이끌려서는 안 된다.'라는 식으로 참으면서 스트레스를 받을 이유는 전혀 없다. 금전적으로 여유가 있다면, 자신이 가지고 싶은 것을 구입해서 행복한 기분을 만끽하는 쪽이 훨씬 건전한 삶이다. 누구나 마치 진리처럼 '행복은 돈으로 살 수 없다'라고 말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돈으로 살 수 있는 행복이 얼마든지 있다. 다만, 그것이 행복의 모든 것은 아니다. 이 사실만 인식하고 있다면 돈으로 살 수 있는 행복은 얼마든지 사도 된다. (60p)
제목에 '나이에 밀리지 않고'라는 구절이 있어서 언뜻 서른이나 마흔쯤을 가는 사람들에게 알맞은 책이 아닌가 생각했지만 20대들이 읽어도 좋을 책인 것 같다. 그리고 밑줄을 그은 마지막 문단은 정말 기꺼이 받아들이고 싶을 정도로 공감이 간다. 지나치지 않게 물욕을 만끽하라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