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 한국사를 조작하고 은폐한 주류 역사학자를 고발한다
이주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양한, 사실적인, 고쳐묻는 역사해석을 위하여 <한국사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 이주한> 

 

 

 

 

   '이 책은 발칙하다.' 아마도 국사학계를 주름잡고 있는 사람들에는 그렇게 느껴질 것이다. 제목부터 그렇듯이 아예 '대놓고 까는'식으로 논지를 편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인물들의 이름들도 대놓고 이야기한다. 가려져있는 것들에 속 알맹이를 보지 못했던 독자들은 새로운 사실들이 드러남에 통쾌하다. <한국사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는 역사서이기는 하지만 얘기하려는 것은 '한국 주류 역사학자들 = 식민사학'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렇다면 왜 작가는 '한국사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고 표지부터 엄포를 놓은 것일까. 사실과 역사적 맥락에서 정확한 인식을 추구하는 역사 비평가인 작가는 오늘날의 한국사를 '죽어있다'고 본다. 일본과 중국에 의해서 조작되어지고 은폐된 역사, 그 식민사관이 교묘하게 이어져오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의 스승들을 극진히 따르던 이병도와 그의 수많은 제자들에 의해서, 그리고 사실적인 역사를 탐구하고 그대로 발표할 수도 없는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라는 장소에서. 잘못된 역사는 답습되고, 답습되면서 서서히 죽어간다. 그리고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식민사관에 기초한 한국사가 주류 한국사로 자리잡히기 시작했다. 그들은 아주 성실하게 우리의 역사가 신화에 의거한 매우 길고 위대한 역사라는 것을 가리고 또 가려버린다. 역사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막고 폭력을 휘두르니 결국 '역사전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해를 돕고자 책 속의 식민사관의 전제와 핵심 명제를 열거하자면

1. 한국 역사는 짧았고, 영역은 좁았다. 2. 한국은 고대부터 중국과 일본의 식민지배를 받았다. 3. 한국 민족은 주체성이 없어 타민족의 영향과 지배를 받아야 발전했다. 4. 한국은 천여 년간 사회적, 경제적으로 정체된 사회였다. 5. 한국 민족은 열등하고, 사대성과 당파성이 심하다. 6. 일본의 한국 지배는 필연이고 당연하다. 7. 한국은 일본 통치에 감사해야 한다.

  진보적인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는 작가의 비평이 다소 자극적인 감은 있지만, 한국사람이라면 누구나 열이 오르는 비밀들이 가득한 책이다. 자신들은 아니라고 하지만 철저히 식민사관의 행태를 보이고 있는 주류 역사학자는 은밀히 숨어있다가 특히 반복되는 독재와 군사정권에서야 다시 살아나는 모습을 보였다. 역시나 권력에 의해 모든 것이 장악된다는 것이 안타깝고 슬프다. 언제나 그래왔듯, 작가는 다시한번 민중에게 말한다. 또다시 '희망을 사실로 만들고, 우리가 바꿔나가보자고. 민중이 주역인 역사로 변화시켜보자고'. 가능할까? 일단 중요한 건 사실을 제대로 아는 것이라 믿는다.  

 

 

   자신을 향한 일본 학자들의 사랑이 이병도는 너무 자랑스럽다. 그들이 왜 식민지 청년을 그렇게 사랑했을지 의문을 갖지도 않았다. 자신같은 인물을 사랑해줘서 그저 감격해 눈물이 날 지경이었을 것이다. 이병도는 자신의 말대로 당시 일본 학계의 최첨단을 걷는 두 사람의 사랑을 받으며, 그들에게서 역사를 배웠다. "당시 일본 학계의 최첨단"은 무엇을 의미할까? 현재에도 일본의 비판적 지식인은 일왕을 학문적으로 다루거나 거론하는 것을 피한다. 목숨의 위협을 받기 때문이다... 천황제국주의에 입각해 침략 전쟁을 벌이던 시기에 활국사관에 충성하지 않는 이가 일본 학계의 최첨단을 걸을 수는 없다. (37p)

 

  우리는 어떤 텍스트도 글자 그대로 읽어서는 안 된다. 각자 나름대로 문장의 맥락을 해석해야 한다. 위에서 보듯 한국 국민들이 낸 세금으로 편찬한 사전에서도 김원룡을 극찬하고 있다. 문제는 이런 식민사학이 사학사 무대로 넘어가기는커녕 아직도 한국 사학계를 장악하고 있다는 데 있다. (61p)

 

  "요컨대, 조선 교육은 이치를 캐는 자를 되도록 줄여야 한다." 이것이 조선총독부의 교육방침이었다. 한마디로 천황에 대한 노예 의식을 가슴 깊이 새기는 교육이었다. (63p)

 

  상상력이야말로 신화를 푸는 핵심적인 열쇠다. 신화가 형성된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조건, 고대인의 관념과 정서, 그들의 논리에서 무한한 상상력을 발동해야만, 거기에 응축된 고도의 상징들을 이해할 수 있다. 단군조선의 역사는 신화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역사적 사실의 반영이자 사화 史話다. 신화와 역사는 상반된 개념이 아니다. 신화를 허구로 보는 폐쇄적 사고와 단정적인 태도를 우리는 경계해야 한다. 일제가 의도한 것도 이런 역사 인식이었고, 이런 가치체계를 주류 식민사학계는 한 번도 부정한 적이 없다. (120p)

 

 하나의 정설만 있어야 하는 한국사는 이미 역사도 아니고 학문도 아니다. 이미 답이 정해져 있으니 연구할 필요가 없다. 아니, 연구해서는 절대 안 되는 역사가 한국사다. 역사는 늘 "왜"라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또한 학문은 "물어서 배운다"는 뜻인데, 어쩌다보니 한국사는 따지지 말고 외워야하는 비학문이 되었다. (258p) 

 

 

역사는 인내심이 깊다. 진실이 가려져도 역사는 자신을 지킨다. 누군가 진실한 역사를 발견하길 끈질기게 기다린다.

소설 <큰바위 얼굴>에서 주인공 어니스트는 결국 마지막에 자신이 큰 바위 얼굴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이처럼 우리는 모두 큰바위 얼굴이다. 우리는 진실을 왜곡할 이유가 없는 어니스트Honest들이다. 우리는 남을 지배하기 위해 거짓을 만들 필요가 없는 사람들이고, 정직한 역사를 갈망한다. 러시아 속담처럼 "우리가 기다린 것은 우리였다." (354 저자 후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