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배꼽, 그리스 - 인간의 탁월함, 그 근원을 찾아서 박경철 그리스 기행 1
박경철 지음 / 리더스북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찬란한 문명과 카잔차키스를 엿보다 <문명의 배꼽, 그리스 - 박경철>

 

 

 

 

사백 페이지를 훌쩍 넘을 정도로 두꺼운 책이다. 읽기전 후루룩 펼쳐보니 감탄할 만한 사진들이 줄곧 눈에 들어오는 이 책은 '시골의사 ...' 책으로 유명한 박경철이 어릴 때부터 꿈꾸어왔던 그리스 곳곳을 여행하고 쓴 기록이다. 사실 사진이 많고 여행 기록이라고 해서 여행 에세이 정도의 가벼운 독서를 생각하면 조금 힘들만한 책이다. 그리스의 역사이야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작가가 그토록 동경하는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흔적과 함께 걷고 보고 썼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지 책 속의 여행 내내 박경철은 카잔차키스와 대화를 주고 받는다. 그가 지금까지 읽어왔던 수많은 카잔차키스의 입과 글에서 나온 것들을 통해서.

그리스는 친숙하면서도 알듯 모를듯한 나라이다. 어릴 때 보았던 그리스 로마 신화 만화로 이것저것 접해본 이야기들은 많고, 요즘엔 뉴스에도 많이 등장하지만 사실 '현재의 그리스'의 모습들은 상상하기 힘들다. 그 찬란한 문명의 그림들이 얼마나 남아있을지, 어떻게 남아있을지 상상하기 힘들다. 코린토스, 올림피아, 스파르타.. 그 속에 숨겨진 비밀들이 얼마나 많은지. 몇몇 관광객들은 '그리스에는 그리스가 없다'며 투덜대기도 하는데 이런 비밀들을 다 알아두고 눈으로 보아야 더 깊은 울림으로 다가올 것 같다. 작가의 말마따나 그리스는 '되는 것도 없고 안되는 것도 없는 곳'이라 한다. 또한 책을 통해 본 그리스인들은 무척이나 정이 많고 신념이 깊은 것처럼 보였다. 특히나 스파르타 (영화 300의 영향이 큰 듯...)의 문화와 사람들은 너무나 매력적이었다.

그리스의 역사, 신화와 함께 이야기하는 그리스 여행이야기. 그리고 더불어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소중한 글들까지 마음에 새길 수 있는 이 책 덕분에 그리스는 후에 유럽여행을 가게 될 때 한번 꼭 들르고 싶은 장소가 되었다.

 

 

 

 

 

이성이 신에 굴복하고 영원히 그 너머의 것을 동경하지 않았다면, 지금 우리의 이성은 어둠 속을 방황하며 추위에 떨고 있었을지 모른다. 그리고 은총을 구걸하는 가련한 손바닥에 마른 빵 부스러기를 쥔 채, 어둠 속에서 들려오는 희미한 목소리를 향한 경배만 올리고 있었을지 모른다. 그의 말대로 불행은 결코 인생의 교훈이 될 수 없으며 위대한 비이성적 모험은 영원히 되풀이 되어야 하는 것일지 모른다. 아니 이것이야말로 인간이 그의 운명과 맞서 사우는 유일한 방법이며, 비록 피를 흘리는 한이 있더라도 인간의 존엄을 지키는 장렬한 순교일 것이다 - 61p

 

'물의 원천을 찾아 올라가는 어부', 그렇다 우리가 굳이... 이 샘이 그들의 생명줄이었다는 해석 따위를 시도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페이레네 샘은 지금도 물이 흐르고 있고, 우리는 계속 바위를 밀어올리고 있다는 사실, 하지만 그 노역이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 아니며 우리는 반드시 그 삶을 치열하게 살아내야만 한다는 의지, 그것만이 중요할 뿐인 것을. - 97p

 

그리스인들에게는 인간이 곧 신이었고, 신이 곧 인간이었다. 이렇게 사상과 종교적 제약에서 자유로웠던 그리스인들은 일찌감치 인간에 눈을 떴던 최초의 인간이었던 셈이다. 그리고 그들은 이것을 '탁월함'이라고 불렀다. - 316p

 

"니코스 카잔차키스는 나에게도 영웅입니다. 그러니 우리는 친구입니다." 그는 너털웃음을 터트리며 그렇게 대답했다. 그리스인들에게 우정이란 이런 것이다. 내가 사랑하는 것을 같이 사랑하고, 내가 살아가는 곳에 같이 살아가고, 내가 아끼는 것을 같이 아끼는 사람. 그것이 친구이고, 친구에게는 모든 선의를 베풀어야 하는 것. 그것이 그리스인들의 명예의 한 축을 담당하는 '우정'이란 말의 의미다. - 321p

 

어찌보면 그의 말대로 오늘날의 인간들은 노예로 태어나는지도 모른다. 태어나자마자 누구의 아들, 누구의 딸이며, 어느 나라의 국민이고, 어떤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의무가 부여되니 말이다. 그리고 우리는 의무를 다하기 위해 헐떡거리며 살아간다. 하지만 그것은 주인이 아닌 노예의 삶에 다름 아니다. 고난에 맞서며 강건한 자세로 삶에 정면으로 다가서는 정신, 스파르타의 용맹이 새롭게 태어나야 할 시기다. - 416p

 

흰 벽이라도 어떤 안경을 쓰느냐에 따라 달리 보이게 마련이다. 붉은 안경을 쓰면 붉게 보이고, 푸른 안경을 쓰면 푸르게 보인다. 그렇다면 내가 본 이 벽은 어떤 빛깔일까? 붉은 빛? 아니면 푸른 빛? 본래의 벽이 어떠하든 간에 여기서 중요한 것은 붉게 보이는 것도, 푸르게 보이는 것도 모두 거짓이 아니라는 점이다. '벽이 붉다'하지 말고 '내 눈에는 붉게 보인다'고 말하는 한 그 벽의 빛깔이 흰 것도, 붉은 것도, 푸른 것도 모두 진실이다. - 429p

 

 

 

이 책을 읽기 위해서 <그리스인 조르바>를 읽었는데,

읽고 나니 이 책에 나온 것들을 다시 이해하기 위해서 <그리스인 조르바>를 다시 한번 읽고 싶다.....

+ 조르바 뿐만 아니라 카잔차키스의 매력을 듬뿍 느낀듯 ㅋㅋㅋㅋㅋ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