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어주는 여자
레몽 장 지음, 김화영 옮김 / 세계사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책 읽어주는 여자 - 레몽 장> 시간이 지나간다. 이야기가, 단어들이 지나간다

 

 

 

이 책을 처음 만날 때부터 왠지 읽었던 책인양 제목이 낯익다고 느껴졌다. 좋아했었던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가 생각이 났다. 혹시 비슷한 이야기일까, 리메이크는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면서 읽었다. 계속해서 생각하다보니 자연스럽게 그 책과 비교를 하고 있었다. 사실 잘 짜여진 이야기 형태로 비교하자면 <더 리더>가 낫지만, <책 읽어주는 여자>는 보다 '책'과 그 텍스트에 집중하는 이야기로 독자들을 이끌게 된다. 자신의 내밀한 공간인 '소리 잘 나는 방'에서 혼자만의 책 낭송을 하던 주인공 마리 꽁스땅스. 어느날 단순한 '책 읽는 여자'였던 그녀가 '책 읽어주는 여자'로 급변하게 되고 새로운 것들을 접하게 된다. 그녀가 독자로서 접하는 텍스트가 그녀의 입을 통해 새로운 사람들에게 전해진다. 단어가 말해지고 이야기가 입을 통해 만들어지면서 그들의 귀에 들어가게 된다. 그 후 책 '듣기'를 필요로 하는 이들이 더욱 더 많아지면서 그녀가 순수하게 지향했던 책 읽기가 직업이 되고 그들의 책 읽기에 무언가 불쾌한 것들도 같이 관여하기 시작한다.

 

책 읽기에서 책 읽어주기로의 변화는 이렇게 말의 어미를 바꾸는 것처럼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먼저 독자 (여기선 청취자와 다름없지만)에게 알맞은 책을 골라야할 것이고, 독자가 원하는 책이 나에게 맞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고, 책 읽기의 행위를 넘어 무언가 다른 것이 요구될 수도 있을 것이다. 어렸을 때의 동화 구연동화 말고는 책 읽어주기를 한번도 도전해보지 못한, 내가 상상한 그 행위의 여러가지가 이 책에 들어있었다. 사실 중간까지는 직접 발췌된 텍스트들과 더불어 독서의 황홀함을 책 속의 인물들과 함께 나또한 느낄 수 있었다. 결말 부분에 가서는 뭔가 우스꽝스러운 장면들이 연출되어서 불편함을 느꼈다. 마지막에 등장한 책 <소돔과 120일>. 유해물 판정을 받을 정도로 정서에 안좋은... 굉장히 불쾌하고 위험한 책이라고 들었었는데 이 책이 여기서 등장할 줄이야! 아마 이 책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책 읽어주는 여자>의 이야기의 한 부분이 어떻게 흘러갈지 상상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 책의 결말이 책 읽는 행위처럼 그렇게 끝까지 은은하게 마무리했으면 좋았을걸. 너무 극단적인 상황이었지만 어쩌면 그런 일이 벌어질 수 있을지도. 책 읽기를 소재로 한 소설이니만큼 사건이 아닌, 책으로 결말맺길 바란건 나만의 바람이었을까.

 

어쨌든 '책 읽어주기'는 이 책을 읽고서 왠지 궁금하고 하고 싶은 것이 되었다. 눈으로 보고, 입으로 말하고, 귀로 다시 듣고, 듣는 사람의 느낌을 다시 읽는 것.

이것이야말로 오감만족의 독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상상해본다.

 

 

 

우리는 시를 끝까지 읽어나간다. 내가 '우리'라고 하는 까닭은, 비록 나 혼자서 읽기는 하지만 그와 나 사이에 뭔가를 강하게 함께 나누고 있다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렇게 느끼는 것이 여간 흐뭇하지 않다. 드디어 우리는 텍스트를 끝까지 다 읽었다. - 103p

 

당신은 그렇지만 '책 읽어주는 여자'만은 아니지 않아요? ...... 나는 그를 빤히 쳐다본다. 아니, 왜 아녜요. 난 '책 읽어주는 여자'예요. 그는 팔을 축 늘어뜨린다. (그야말로 문자 그대로). 좋아요. 그러면 읽으세요. 그는 다시 자기의 안락의자로 가 앉는다. 나는 <사물들의 교훈>을 다시 읽는다. - 150p

 

다시 한번 더 글쓰기의 함정이 설치된다. 다시 한번 더 나는 숨바꼭질하는 아이, 자기가 무엇을 가장 두려워하거나 가장 원하는지 알지 못하는 아이 같아진다. 숨어있을 것인가 발각될 것인가. - 178p

 

나는 어리둥절하기만 하다. 그러면서 동시에 궁지에 몰렸다는 느낌이다. 내 직업적인 명예를 도마 위에 올려놓는 딜레마에 빠진 기분이다. 응낙을 하면 나는 그의 덫에 걸려드는 셈이다. 거절을 하면 나는 '책 읽어주는 여자'가 아니게 된다. 책 읽어주는 여자는 '읽어야 한다. 남이 요구하는 것을 큰 소리로 읽어야 한다. 그 요구가 지나친 것만 아니기를 바라지만. 그는 책을 그냥 아무데나 펼친 것 같다. 그러나 그 책이 사드의 것이고 보면! - 242p

 

 

책의 뒷편에는 번역자가 진행한 작가 '레몽 장'의 인터뷰가 담겨있다. 문학을 전공한 교수이자 작가인 레몽 장이 프랑스 문학의 길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전문적인 지식이라서 그런지 눈이 어질어질했다. 프랑스 문학의 '누보 로망'(새로운 문학)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프랑스 문학에 대해 관심이 많다면 읽어보면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