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신 문학전집 17
박범신 지음 / 세계사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우리를 옭아매는, 또 지배하는 <틀 - 박범신> 2012-21

 

 


 

 

책 설명

p.256

 

제17권『틀』은 우리의 현대사가 보여주는 잘못된 구조의 지배논리가 어떻게 반복되고 있는지를 한 씨족부락을 통해 암시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70년대 말에 썼던 단편 <역신의 축제>를 대폭 확대하고 개작한 것으로, 유신이라는 폭력적인 정치권력이 사회를 억누르고 있던 당시의 암울한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강 진사'로 대표되는 세력과 '전도사'로 대표되는 세력의 대립구도는 권력을 손에 쥔 사람들과 권력에 굴복할 수밖에 없는 대다수 사람들의 모습을 표현한다. 작가는 그들의 모습을 통해 사유화된 권력은 영원할 수 없음을 보여주면서, 이를 무너트린 또 다른 사유화된 권력 역시 얼굴만 바꾼 폭력적인 힘일 뿐이라는 것을 이야기한다.

 

 

 

 

 

박범신 작가 책 중에서는 그렇게 그나마 인기가 덜한 책이라고 할 수 있는데 내가 이 책을 고른 것은 '틀'이라는 제목이 많은 상상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었다. 내가 좋아했던 작가의 <나의 손은 말굽으로 변하고>에서 그가 '악(惡)'에 대한 이야기를 너무나도 무섭게 풀어놓았기 때문에 이 책에서 '틀'에 대해서 작가가 이야기로서 무슨말을 대신했는지 궁금했다.

 

책을 읽고난뒤 느낌은

무섭다, 찝찝하다. - 익숙하다.

그러나 이런 찝찝한 느낌은 단지 책을 통해서만 느낄 수 있는게 아니다.

이런 느낌이 익숙하게 될 정도로 우리 사회 안에 팽배해왔던 '틀'이라는 올가미와 '지배'.

 

 

 

 

"'틀'이 억압의 틀로서 작용하지 않는 사회가 지금도 그립다. 전체의 '틀'이 견고하되 개인이 가진 삶의 틀과 부딪히지 않고 그리하여 그 전체의 '틀'이 부드럽게 우리들 개인의 숨을 꿈들 속으로 녹아들어서, 보이진 않으나 마침내 합일하는, 그런 세상이 여전히 그립다." -<초판> 작가의  말- 중에서

 

작가는 초판을 확대, 개작하면서 우리 고유의 문화적 요소를 많이 끌어들였다고 한다. '잘못된 지배논리와 구조가 근본적으로 망가뜨리는 것은 우리들의 인간다운 삶이며, 그 삶은 결국 전통적 문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공포다....

 


 

이 책에서 가리킨 무서운 문제는 '틀'과 '지배'의 사유화.

그러나 더 무서웠던 것은 이전 지배에 대한 처단이라는 이름으로 넘겨진 또다른 '지배의 지팡이' 이다.

더더더 무서운 것은 이게 꿈이 아닌 현실 이라는 것. 

 

P.S 음, 이 책 괜찮다. 처음엔 기독교에 대한 이야기가 너무 많이 나와 "이거 종교적 색채가 짙은 책인가?"하고 생각했지만

이것 또한 작가의 장치였을 듯 하다. 박범신 작가 좋아! 박범신 글은 이런 주제를 다룰 때 더 매력있는듯하다 나에게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