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색 히비스커스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지음, 황가한 옮김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사람들은 종종, 변화를 위한 누군가의 작은 노력에 대해 폄하하곤 한다. “뭐 그렇게까지 해, 너 하나 바뀐다고 뭐가 달라질 것 같아, 헛수고야, 세상은 그리 쉽게 바뀌지 않아. 그냥 가만히 있으면 잊힐 텐데 뭣하러 건드려서는.” 그들은 과정을 비웃고, 작은 실패가 있더라도 모든 변화가 끝난 것처럼 여긴다. 다시는 성공이 다가오지 못할 것처럼.

엄격한 가톨릭 교리와 가부장제 속에서 살아가는 한 가족이 있다. 아버지는 마을에서 큰 사업체와 진보 성향의 언론사를 소유하면서도 독실함과 베풂을 잃지 않아 사람들에게 추앙받는 사람이다. 그러나 가정에서는 엄격한 독재자와 다르지 않다. 자신의 이념과 종교적 교리를 세뇌시키고, 조금이라도 어긋나는 행동을 보이는 사람이 있다면 끔찍한 폭력을 휘두른다. 그는 폭력을 휘두른 다음, 마치 자신이 하지 않은 것처럼 가족을 보듬기도 하는 이상한 행동을 보인다. 오랜 시간 ‘길들여진’ 어머니는 순응하고, 주인공 캄빌리와 오빠 자자 또한 대부분의 상황을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이지만, 우연히 고모가 사는 ‘은수카’를 방문한 후 달라지는 마음을 느끼게 된다.

​여기까지는 여타 성장소설과 비슷한 플롯이라 여겨진다. 화자인 ‘캄빌리’는 마음으로는 극적인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으면서도, 쉴 새 없이 자신의 행동의 옳고 그름을 점검하고 판단한다. 계속해서 예상외의 행동을 보이는 오빠의 모습 또한 긴장하며 살핀다. 아버지의 존재는 늘 소녀의 뒤에 있다. 변화는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듯 보인다. 또한, ‘나이지리아’라는 우리에게 생소한 국가의 상황은 그리 녹록지 않다. 폭력의 피해를 당하면서도 일시적인 도움만 받을 뿐, 결국엔 아버지의 아래로 들어갈 수밖에 없는 무기력한 상황 속에서 이야기는 예상 밖의 방향으로 흘러가게 된다.

소설 <보라색 히비스커스>는 앞에서 언급한, ‘작은 실패를 실패로만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는 마치 완벽한 실패담처럼 보일 수도 있는 소설이다. 곳곳에 사회적 한계가 존재하고, 결말은 시원치 않다. 이를테면, 그나마 진보적이라 보였던 이모의 언어에도 뿌리 깊은 관습이 있고, 아버지의 품에서 벗어난 캄빌리는 새롭게 인연을 맺게 된 신부님의 말을 마치 하느님의 말씀인 것처럼 무조건적으로 따르기도 한다. 조금의 변화를 띈 어머니와 오빠, 캄빌리의 미래 또한 불투명하다. 노력 끝에 비자를 받아 미국이라는 새 땅에 정착한 이모 가족의 미래도 어떠할지 상상할 수 없다.

주인공들은 시시각각 갈등한다. 자유를 부르짖다가, 수그러들고, 웅크렸다 다시 일어난다. 그러나 이러한 모습을 그저 부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소설 속 가족의 모습은 그저 개인의 이야기일 수도 있으나, 과하게 말하면 조금 더 확장된 시민의 모습을 떠올리게도 한다. 주저하고, 고민하고, 망설이는 작은 마음은 하나하나 모여 언젠가 큰 불꽃이 된다. 무엇보다 특별한 빛과 색을 띄는 히비스커스가 된다.

“지금 내게 오빠의 반항은 이페오마 고모의 실험적인 보라색 히비스커스처럼 느껴졌다. 희귀하고 향기로우며 자유라는 함의를 품은. 쿠데타 이후에 정부 광장에서 녹색 잎을 흔들던 군중이 외친 것과는 다른 종류의 자유. 원하는 것이 될, 원하는 것을 할 자유.” (27쪽)

내가 꿈꾸는 것이 아님을 확인하려고 검은 미사보 밑으로 손을 집어넣어 콘로 한 가닥을 잡아당겼다. 왜 그들은, 오빠와 어머니는, 방금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모르는 사람들처럼 아무렇지도 않게 행동하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왜 아버지는 방금 오빠가 말대꾸를 하지 않은 것처럼 조용히 차를 마시고 있는 것일까? 나는 천천히 몸을 돌려서 나들이용 빨간 원피스를 갈아입으러 위층으로 향했다. - P18

"누니에 음." 이페오마 고모가 부르자 어머니가 돌아봤다.

몇 년 전 이페오마 고모가 우리 어머니를 "누니에 음"이라고 부르는 걸 처음 들었을 때는 한 여자가 다른 여자를 ‘내 아내’라고 부른다는 데 경악했다. 내가 묻자 아버지는 그것이 불경한 전통, 결혼은 남자 혼자 하는 게 아니라 가족 전체가 하는 것이라는 생각의 잔재라고 말했다. 나중에 어머니는, 내 방에 단둘이 있을 때였는데도, 이렇게 속삭였다. "나는 아버지의 아내이니까 고모의 아내이기도 한 거야. 그 호칭은 고모가 나를 받아들인다는 뜻이란다." - P96

그리고 벨트가 멈추자 아버지는 자기 손안의 가죽을 가만히 쳐다봤다. 얼굴은 구겨졌고 눈꺼풀은 축 처졌다. "왜 죄악 속으로 걸어 들어가는 거야?" 아버지가 물었다. "왜 죄악을 좋아하는 거야?"

어머니가 아버지에게서 벨트를 받아 식탁에 놨다.

아버지가 오빠와 나를 홱 끌어안았다. "많이 아팠니? 살갗이 터졌니?" 아버지가 우리 얼굴을 살피며 물었다. 나는 등이 욱신거렸지만 아니라고, 아프지 않다고 말했다. 죄악을 좋아하는 것에 대해 얘기하며 고개를 흔드는 아버지는 마치 뭔가에, 떨쳐 낼 수 없는 뭔가에 짓눌린 듯한 모습이었다. - P132

"겁낼 것 없어, 은네. 재밌을 거야." 이페오마 고모가 말했고 나는 여전히 멍한 눈빛으로 고모를 돌아봤다. 고모의 코는 뾰루지처럼 작은 땀방울로 뒤덮여 있었다. 너무나 행복하고 편안해 보이는 고모를 보고 어떻게 내 주위에 저런 기분인 사람이 있을 수 있을까 생각했다. 지금 내 속에는 불길이 타오르는데, 공포와 희망이 뒤섞여 내 발목을 움켜잡는데. - P215

하지만 고모도 어머니와 나한테는 편지를 보낸다. 두 개의 직업, 전문대의 일자리와 약국 또는 (미국인들 표현에 따르면) 드럭스토어의 일자리에 대해 쓴다. 커다란 토마토와 값싼 빵에 대해 쓴다. 하지만 대개는 그리운 것과 희망하는 것에 대해 쓴다. 과거와 미래에 살기 위해 현재는 외면하는 사람처럼, 때로는 고모의 편지가 한도 끝도 없이 계속되다가 잉크가 번져서 무슨 말을 하는 건지 잘 모르겠을 때도 있다. 한 번은 이렇게 썼다. 우리가 민주주의를 몇 번 시도했다가 실패했기 때문에 민주 정치를 못할 거라고 생각하는 자들이 있다. 마치 오늘날의 민주 국가들은 처음부터 잘했던 것처럼. 그것은 걸음마를 떼려다 엉덩방아를 찧는 아기에게 가만있으라고 하는 것과 같다. 마치 그 아기를 앞질러 가는 어른들은 기어 다녔던 시절이 없는 것처럼. - P3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