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너
존 윌리엄스 지음, 김승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동안 이 책에 대한 극찬이 계속해서 눈에 띄었다. 스토너, 스토너, 스토너, 문학을 사랑한다는 이들이 감동을 받았다며 남긴 글들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 충분했다. 때로는 그런 물결에 쉽사리 휩쓸리지 않으려고 갈등하면서도, 때로는 주체할 수없이 쉽사리 휩쓸리곤 한다. <스토너>는 전자였다. 왜인지 모르게 무겁고 진지할 것 같은 느낌이어서 나중을 기약하다가 이제야 읽었다. 생각지 못한 심플한 줄거리와 담백한 문체에 조금 놀랐다. 초반에는 계속 갸우뚱한 채로 읽어나갔다.

 

책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정말 특별할 것이 없다. 큰 줄기만 보면 가업을 이어 대학에서 농업을 공부하려던 ‘윌리엄 스토너’가 대학에 가게 되고, 문학을 사랑하게 되어 영문학 교수가 되어 일생을 살아가는 이야기다. 소설의 굴곡을 그려볼 만한 격한 갈등도, 비애도 없다. 인생을 뒤흔들 만한 선택이나 기쁨도 잔잔히 이루어진다. 곳곳에 작은 성공과 실패가 존재한다. 주위를 둘러보면 어딘가에 가까이 있을 듯한 사람의 일생인 것 같다. 그런데 왜 스토너의 이름이 도통 잊히지 않을까. 길게 이어지는 마지막 장면에선 도통 헤어 나올 수가 없다.

 

“넌 무엇을 기대했나?” 인생의 마지막 종착점에서 스스로에게 줄기차게 되묻는 이 물음은, 그리고 이어지는 회고의 장면들은 가히 장엄하기까지 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가. 무엇을 위해 이렇게 악착같이, 앞만 보고 바쁘게 달려가는가. 얼마나 찬란한 인생을 만들려고 온갖 허무한 것들을 지니고 있는가. <스토너>의 담백한 물음 앞에 온갖 거창한 말들을 붙여가며 우리는 지나온 짧은 인생과 앞으로 거쳐갈 인생의 모습을 대입해본다. 그리곤 알게 된다. 누군가에겐 성공이거나 누군가에게 실패로 보일 ‘스토너’의 인생처럼, 우리 인생도 다를 바 없음을. 무언가에 몰두하고 집착하고, 작은 목표들을 이루고 때로는 이루지 못하여도 그것 또한 인생인 것을.

 

그런데 이렇게 소설을 풀어보고 나니 조금은 걸리는 부분이 있다. 작가가 목표한 대로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잘 쓰인 소설이라 믿지만 함정도 존재한다. 스토너는 불륜을 자행하고, 소설 속 그의 시선 속에서 아내는 비정상적인 인물로 그려지고 불륜을 정당화하는 수단이 된다. (마치 <제인 에어>의 미치광이 ‘버사’ 부인을 떠올리게 했다.) 위에서 풀어낸 소설의 메시지에 따른다면, 그의 인생이 다수의 평범한 인생을 대변하는 데 있어 부정한 행동이 아무것도 아닌 일 또는 어쩔 수 없던 일로 여겨질 수 있다. 그래서 이 부분은 조금 조심스럽다. 불륜보다 심한 죄를 지은 사람의 인생도, 삶에 치열했다는 이유만으로 ‘일부는 실패한 인생’이라는 프레임 안에서 조용히 머물러지게 되는 것인가 하는 우려 섞인 마음도 들고.

 

그러나 작가가 보기를 바랐던 건 나름의 삶을 묵묵하게 쌓아왔던 스토너의 모습들이었겠지. 약간의 껄끄러운 부분은 있지만 좋았던 장면들만 남겨놓고 싶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마지막 몇 페이지의 여운은 정말 압권이었다.


 


"셰익스피어가 300년의 세월을 건너 뛰어 자네에게 말을 걸고 있네, 스토너 군. 그의 목소리가 들리나?" 윌리엄 스토너는 자신이 한참동안 숨을 멈추고 있었음을 깨달았다. 그는 부드럽게 숨을 내쉬면서 허파에서 숨이 빠져나갈 때마다 옷이 움직이는 것을 세심하게 인식했다.
(…) "이건 사랑일세, 스토너 군." 슬론이 유쾌한 표정으로 말했다. "자네는 사랑에 빠졌어. 아주 간단한 이유지."




그는 검은 가운과 학사모를 들고 캠퍼스 여기저기를 돌아다녔다. 무겁고 성가신 짐이었지만 가운과 학사모를 놓아둘 곳이 없었다. 그는 부모에게 반드시 해야 하는 이야기를 생각하다가, 자신의 결정을 이미 돌이킬 수 없음을 처음으로 깨달았다. 이 결정을 무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슬그머니 들었다. 경솔하게 선택한 목표에 도달하기에는 자신의 역량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고, 자신이 버린 세계가 매력적으로 느껴지기도 했다. 그는 자신과 부모가 잃어버린 것을 슬퍼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자신이 그 세계에서 점점 멀어지는 것을 느꼈다.


처음에 그는 자신의 책을 매우 자랑스럽게 여겼다. 그래서 그것을 양손으로 들고 아무 장식이 없는 표지를 쓰다듬다가 책장을 펼쳤다. 섬세하고 활기 찬 아이 같았다. 그는 책으로 완성된 자신의 원고를 다시 읽고 나서 자신이 생각했던 것보다 뛰어나지도 나쁘지도 않다는 사실에 조금 놀랐다. 얼마쯤 시간이 흐르자 그 책을 보는 일에 진력이 났다. 하지만 자신이 책을 썼다는 사실을 생각할 때마다 경이가 느껴졌으며, 자신이 그토록 커다란 책임이 따르는 일에 무모하게 나섰다는 사실을 믿을 수 없었다.




넌 무엇을 기대했나? 그는 다시 생각했다. 기쁨 같은 것이 몰려왔다. 여름의 산들바람에 실려 온 것 같았다. 그는 자신이 실패에 대해 생각했던 것을 어렴풋이 떠올렸다. 그런 것이 무슨 문제가 된다고. 이제는 그런 생각이 하잘 것 없어 보였다. 그의 인생과 비교하면 가치 없는 생각이었다. 그의 의식 가장자리에 뭔가가 모이는 것이 어렴풋하게 느껴졌다. 눈에 보이지는 않았지만, 그들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은 좀 더 생생해지려고 힘을 모으고 있었지만, 그는 볼 수도 들을 수도 없었다. 자신이 그들에게 다가가고 있음을 그는 알고 있었다. 세상의 모든 시간이 그의 것이었다.





이 책이 망각 속에 묻혔다는 사실, 아무런 쓸모도 없었다는 사실은 그에게 별로 중요하지 않았다. 이 책의 가치에 대한 의문은 거의 하찮게 보였다. 흐릿하게 바랜 그 활자들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찾게 될 것이라는 환상은 없었다. 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그의 작은 일부가 정말로 그 안에 있으며, 앞으로도 있을 것이라는 사실은 알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