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철 지붕에 대하여

안도현

양철 지붕이 그렁거린다, 라고 쓰면
그저 바람이 불어서겠지, 라고
그저 단순하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

삶이란,
버선처럼 뒤집어 볼수록 실밥이 많은 것

나는 수없이 양철 지붕을 두드리는 빗방울이었으나
실은, 두드렸으나 스며들지 못하고 사라진
빗소리였으나
보이지 않기 때문에
더 절실한 사랑이 나에게도 있었다.

양철 지붕을 이해하려면
오래 빗소리를 들을 줄 알아야 한다.
맨 처음 양철 지붕을 얹을 때
날아가지 않으려고
몸에 가장 많이 못자국을 두른 양철이
그놈이 가장 많이 상처 입고
가장 많이 녹슬어 그렁거린다는 것을
너는 눈치채야 한다.

그러니까 사랑한다는 말은 증발하기 쉬우므로
쉽게 꺼내지 말 것
너를 위해 나는 녹슬어 가고 싶다, 라든지
비 온 뒤에 햇볕 쪽으로
먼저 몸을 말리려고 뒤척이지는 않겠다, 라든지
그래, 우리 사이에는 은유가 좀 필요한 것 아니냐?

생각해 봐
한쪽 면이 뜨거워지면
그 뒷면도 함께 뜨거워지는 게 양철 지붕이란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호밀밭 2004-07-29 13: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도현의 시는 참 따뜻해서 좋아요. 영화 <뜨거운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 같은 느낌의 시가 아닐까 했는데 느낌은 다르네요. 가장 많이 녹슬어 그렁거린다는 것을 눈치채는 게 어려운 일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매일매일 시를 읽는 사람은 인생을 풍요롭게 산다는 말처럼 시는 사람을 순간적으로라도 착하게 만드는 듯 해요.

머털이 2004-07-29 1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호밀밭님 말씀에 동의.
요즘 좋은 시들을 많이 알게 되네요. 전에는 시를 읽고 '느끼는'게 쉽지 않다고 생각했는데..
조금씩 시 읽는 맛을 알아가는 것 같아요.

Choice 2004-07-29 18: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느지막히 일어나서 이규원의 가정음악을 듣는데 저 시가 나와서 적어보았습니다. 해가 뜨거우니 빗소리도 그리워지네요. 사랑,도 그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