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 갔다가 우연히 <러시아 현대 소설 선집 1>(열린책들, 1997)을 발견하여 기쁜 마음에 빌려서 왔다. 1960-70년대 러시아의 대표적인 농촌 작가 열 두명의 단편들을 여러 역자가 번역한 선집인데, 책의 제목과는 달리 루브쪼프란 시인의 시 몇 편으로 책이 시작되어 조금 의아했다... 그럴 수도 있지.  

 

 

책 중에서 솔제니찐(솔제니찐을 좋아하지는 않는데, 역자의 이름이 눈에 들어와서 제일 먼저 읽었다)의 <마뜨료나의 집>이란 단편을 읽고나니, 친추해놓은 러시아 블로거가 얼마 전에 올려놓은 글과 사진이 바로 연상이 되었다. 마뜨료나가 더 늙었으면 이런 모습이었겠지...

 

 

В самом деле! -- ведь поросенок-то в каждой избе! А у нее не было. Что может быть легче -- выкармливать жадного поросенка, ничего в мире не признающего, кроме еды! Трижды в день варить ему, жить для него -- и потом зарезать и иметь сало.
А она не имела...
Не гналась за обзаводом... Не выбивалась, чтобы купить вещи и потом беречь их больше своей жизни.
Не гналась за нарядами. За одеждой, приукрашивающей уродов и злодеев.
Не понятая и брошенная даже мужем своим, схоронившая шесть детей, но не нрав свой общительный, чужая сестрам, золовкам, смешная, по-глупому работающая на других бесплатно, -- она не скопила имущества к смерти. Грязно-белая коза, колченогая кошка, фикусы...
Все мы жили рядом с ней и не поняли, что есть она тот самый праведник, без которого, по пословице, не стоит село.
Ни город.
Ни вся земля наша. 


1959-60 гг. Ак-Мечеть -- Рязан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11-08-29 2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러시아 촌노의 모습이네요^^

Sati 2011-08-30 02:10   좋아요 0 | URL
거의 날 때부터 귀머거리에 젊었을 때 다친 후 장님이 된 83살의 할머니인데, 2급 장애인으로 현재 정부에서 월 6천 루블(220달러 정도)의 연금을 받지만 가스도 수도도 없는 집에서 산양 한 마리와 고양이를 키우며 평생을 홀로 살고 있다고 하네요. 우물은 집에서 20미터 떨어진 곳에 있구요. 친척들이 있지만 아무도 도움을 주지 않고 사촌여동생이 가끔 와서 집안일을 도와준답니다. 많은 사람들이 할머니에 대한 기사를 읽고 탄식을 했지만 정작 본인은 나름 행복한 삶을 살아온 게 아닐까...한다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