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화 5 : 복식 중국문화 5
화메이 지음, 김성심 옮김 / 대가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그동안 중국 복식에 관한 책들을 몇권 봤는데 지금까지 읽은 책 중에서 가장 알아듣기 쉽고 또 보기 쉬운 그림들이 많다.  중국 복식과 장신구에 관한 책들을 보면 머리 모양 이름만 있거나 아니면 설명없이 그림만 있어서 도대체 쌍소계니 고계니 하는 걸 보면서 도대체 저게 무슨 모양이란 소리인가 궁금했는데 여기서 그 의문이 대충 풀렸다.  머리모양 뿐 아니라 눈썹 모양, 화장 같은 부분도 상당히 자세하다. 

아쉬운 건 저런 부수적인 것은 굉장히 자세한데 오히려 책 제목인 복식에 대한 부분은 설명이 상대적으로 미비하고 그림도 각 시대별로 대표적인 것 한두개씩만 있어서 실망이다.  앞으로도 계속 파편줍기를 해야할 것 같다.  그래도 건진 게 있으니 그럭저럭 만족.

중국 저자가 쓴 이런 류의 책들을 보면서 느끼는 건데, 중국의 이민족 융합 통일 정책은 아주 독하고 확실하게 진행이 되고 있는 모양이다.  중국의 복식에 반드시라고 할 정도로 티벳, 위구르 같은 비교적 최근에 병합한 소수민족들의 민족의상과 장신구들까지도 항상 소개를 해주고 있다.  이 책에는 빠졌지만 이전에 읽었던 '중국 복식사'에는 조선족 부분에 한복의 소개까지 있었다.   

우리는 말 그대로 한족만 중국이라고 생각하지만 중국을 이끄는 사람들이나 그 안에 포함된 한족들의 생각은 다른 모양이다.  동북공정이 저들의 계획대로 착착 진행이 된다면 몇십년 뒤나 다음 세기에 나오는 책에는 티벳만큼이나 확실하게 한복 소개가 중국 복식사에 포함되어 나올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이놈의 나라 윗대가리들은 역사적 안목은 고사하고 그저 멀쩡한 강바닥 파낼 궁리만 하고 앉아 있으니 정말 암담.... -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