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천년 동안의 위대한 발명
존 브록만 엮음, 이창희 옮김 / 해냄 / 2000년 1월
평점 :
절판


딴지일 수도 있겠지만 이 책을 접한 첫 순간부터 나는 왜 굳이 2천년이어야 하나 하는 생각을 했다. 지금 지구상에서 가장 일반화된 달력에 맞춘 기준이라는 것은 이해하지만 2천년으로 한정시키기에 그 당위성은 조금은 약하다는 느낌을 가졌다. 그런데 안으로 들어가보니 나와 비슷한 생각을 (의미가 다르긴 하지만) 하는 사람들이 있기는 했나보다. 하지만 내용은 그 범위 만큼이나 무척 서구적이다. 저자가 좀 더 정직했거나 혹은 넓은 시각을 가졌다면 지난 2천년 동안 '서구를 중심으로 한' 위대한 발명이라고 얘기를 해야하지 않았을까? 이런 류의 책을 볼때마다 반복되는 불평이고 이제 좀 익숙해질만도 하건만 늘 지나치지 못하고 참 씁쓸하다.

어쨌든 2천년의 범주에서 벗어난 내용을 선정하거나 2천년이라는 한정된 범위에 관해 이의를 표시한 사람들을 발견하면서 그걸로 스스로를 위로하며 불만은 그쯤에서 접어두고. 한똑똑 한다는 서양인들이 생각하는 위대한 결과물에 대해 보면서 두가지 생각을 하게 됐다. 하나는 역시 인간은 자신의 생각과 환경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 글을 쓰는 그들 스스로도 인정했지만 역시 선정된 내용이 자신이 전공하거나 잘 알고 있는 분야에서 결과물을 택하게 된다.

또 하나는 사람의 생각은 뭐라거나 비슷하다는 것. 수십명의 짧은 글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인쇄술과 컴퓨터, 전기나 네트워크쪽을 선택했다. 미적분이나 과학적 사고와 같은 내용도 간간히 보이고. 글쓴이들의 구성이 이과에 몰린 탓인지 인문이나 예술쪽에 대한 지지도는 그야말로 극히 낮았다. 건초며 말등자 같은 것도 재미있기는 했는데 가장 특이한 선택은 클래식 음악과 교향악. 근거로 제시한 논거가 아주 재미있었다. 그리고 '없다'는 답변도 충격적. 이것이야말로 음미해볼만한 사고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는 중간쯤 와서는 대부분 스스로에게 무엇을 택하겠냐는 질문을 스스로 던지게 된다. 지금 잘 나가가고 나름대로 똑똑하다는 사람들의 선택을 알려주는 기능보다 자신의 생각을 선택하고 숙고하는 과정을 갖도록 만드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가치인듯 싶다.

사족이지만 가장 마지막에 쓴 자레드 다이어먼드. 내용의 근거는 제쳐놓고라도 시각에 있어서 가장 열려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다. 지극히 서구 중심적인 다른 글들에 비해 동양에 대한 이해가 돋보였다. 태종이(물론 그 아래 장인의 업적이거나 도움이 컸었겠지만) 구리 활자를 고안했다는 얘기는 나도 처음 알았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