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레드 라인
제임스 존스 지음, 이나경 옮김, 홍희범 감수 / 민음사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안드로메다 은하 사진과 함께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천체 사진 중 하나가 허블망원경으로 찍은 '허블 딥 필드'일 것이다. 직사각형의 평면 위에 찍힌 다양한 은하들의 모습은 참으로 아름답고 신비하다. 그러나 조금만 더 생각해보면 수없이 많은 은하들이 새롭게 태어나고 소멸하는 전쟁터와도 같은 모습이기도 하다. 은하와 은하들이 충돌하며 빚어내는 광경은 화려하면서도 섬뜩한 느낌을 준다. 그 작은 프레임 안에 담긴 은하들만 해도 수백 수천 개가 넘는다고 하는데 더 경이롭고 놀라운 것은 영원히 측정이 불가능할 것만 같은 무한히 뻗은 우주의 한 부분만을 촬영한 장면이라는 사실이다. 그와 같은 광대한 축제이자 전쟁의 풍경은 지구, 태양계를 둘러싼 사방팔방으로 뻗은 전 영역에서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되고 있다. 

   전쟁을 주제로 한 소설을 말하는 자리에서 뜬금없이 예전에 봤던 천체사진에 관한 이야기를 꺼낸 이유는 '신 레드 라인'이란 작품 속 상황이 그 천체사진과 비슷한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런 기분은 나만의 착각이길... 인류 역사에서 전쟁은 늘 있어왔고 심지어 문화와 기술이 발달한 오늘날에는 더 교묘하고 잔혹한 방식으로 일어나고 있다. 태평양 전쟁이란 거대한 틀 속의 한 부분인 한 장의 구체적이고 처절한 묘사가 담긴 사진과 같은 과달카날 전투를 배경으로 진행되는 이야기 속에서 볼 수 있는 등장인물들의 생각과 행동, 감각들은 비교적 안전한 나라에 살고 있는 나로서는 감히 상상도 할 수 없는, 감정이입이 너무나 힘든 고통스런 세계였다. 하지만 분명 동시간대에 지구 반대편에서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비극이기에 완전히 따로 떼어놓고 생각되는 것도 아닌, 아주 미묘한 느낌이다. 전쟁은 우주적으로 봤을 때 평범한 풍경인가? 아니면 지구 위의 인간만이 만들어낸 광기의 산물인가? 과거의 기록이 아닌 현재진행형으로도 읽을 수 있는 이 느낌이 역사는 여전히 진보가 아닌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전쟁터로 이동 중인 함선에서부터 시작되는 긴장감과 불안감,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초반부 전투신을 연상시키는 혼란과 광기, 무감각이 뒤섞인 전투 현장의 묘사, 적군을 죽였을 때 온몸을 휘감는 쾌감과 죄책감의 이중주, 성적 쾌감보다 더한 전쟁터에서의 동지애, 경멸, 명예욕... 모든 것이 재산 때문이라는 한 병사의 중얼거림은 전쟁이라는 것의 본질을 가장 잘 표현해주는 것 같았다. 마치 거대한 하나의 사업 거래 같은 전쟁은 막연한 두려움과 불안감을 증폭시킨다. 사방에서 터져대는 폭발과 찢기고 뒹구는 시체들 앞에서 어느 순간 초연해지고 두려움을 극복해낸 것 같다가도 모래성 무너지듯이 무너지는 자아의 상실감, 초현실적인 공간감, 씻지도 못하고 더럽고 습한 곳에서 며칠이나 보내면서 온몸에 구더기가 들끓는 것 같은 기분... 도대체 인간은 왜 전쟁을 하는 것일까? 개인은 왜 강하게 저항하지 못하고 이런 처참한 역사의 비극에 내몰려야 하는가? 왜 이용당해야 하는가? 나는 개인적으로 이 소설이 어떤 결론을 얘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반복되는 비극의 한 부분을 뜯어내어 여과 없이 눈앞에 들이대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그냥 있는 그대로 느껴보라고. 이 작품을 어떻게 영상화했는지 영화를 꼭 한 번 챙겨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