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필리아 - 우리 유전자에는 생명 사랑의 본능이 새겨져 있다 자연과 인간 15
에드워드 윌슨 지음, 안소연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교적 읽기에 부담이 되는 두께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 담긴 저자의 사상과 세계관, 생명에 대한 애정은 너무나 광대하고 이해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최재천 교수님의 추천사와 저자의 서문을 통해 인간에게 본능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생명 사랑’의 능력을 일깨워 현대 시대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책의 기본 정신을 안내받고 생각해가며 힘겹게 끝까지 읽어나간 것 같다. 

   이 책은 총 아홉 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 첫 번째인 ‘베른하르츠도르프’에서는 수리남의 수도인 베른하르츠도르프에서 연구했던 젊은 시절을 떠올리며 저자가 과학과 생명, 마음, 정신 등을 연결 지어 생각하는 본격적인 자연주의자로서의 길을 걷게 된 배경을 보여주고 있다. 2장 ‘초유기체’에서는 저자가 남아메리카에서 ‘열대 개미 연구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얻은 ‘잎꾼개미’라는 종에 대한 생활과 습성 등 관련 지식의 대략적 소개와 현대 과학이 발견하고 연구해야 할 무궁무진한 생태계의 미개척 영역에 대한 기대와 설렘을 이야기하고 있다. 3장 ‘타임머신’에서는 현대 생물학이 어떤 갈래로 발전해왔는지 찰스 다윈과 대중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루이스 아가시의 학문적 논쟁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이 부분은 오늘날 균형을 맞추기 위해 부단히 애쓰고 있는 과학과 인문학, 창조론과 진화론에 대한 고찰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내용이 꽤 흥미롭다. 4장 ‘파라다이스의 새’와 5장 ‘시적인 종, 인간’에서는 과학과 예술이 오랫동안 대립되는 경향을 보여 왔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탐구와 발견이라는 부분에서 공통점이 많고, 자연계의 특성을 발견하고 설명하는 과학의 역할과 새로운 것을 창조하고자 하는 예술의 역할이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6장 ‘뱀’에서는 저자의 유년 시절의 경험담을 통해 생물학자가 되기로 결심한 배경과 지구상의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공포와 경외가 혼합된 독특한 감정을 일으키는 뱀을 통해 자연물이 문화의 상징으로서 기능하게 된 과정을 생물학과 문화인류학의 영역을 넘나들며 흥미진진하게 설명하고 있다.


   7장 ‘우리 마음속의 거주지’, 8장 ‘생명의 윤리’ 부분에 이르러 저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생명 사랑’이라는 개념에 근거해 현실과 밀접한 문제들을 언급하고 있다. 아무리 과학이 발전하고 문명이 꽃을 피운 시대에 살고 있다 하더라도 인간에게는 기본적으로 자연에 의지하는 본성이 있기 때문에, 미래에 우주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달이나 다른 행성, 혹은 거대 우주선을 통해 새로운 거주지를 개척한다고 해도, 인공물에 둘러싸인 인간이 과연 정신적으로 버텨낼 수 있겠느냐는 의문을 던진다. 과학만으로는 인간이라는 종이 참 행복을 성취할 수 없다는 말이다. 도시 속에서 나무를 심고 정원을 가꾸는 행위처럼, 편리한 전자기기와 정보화 환경 속에 둘러싸여 있으면서도 인공이 아닌 자연물에 대한 욕구를 보이는 것은 생명을 향한 인간 본성에 대한 최소한의 신호가 아닐까. 이 때문에 우리는 더욱 더 환경파괴를 막고 보존해야 할 필요성과 당위성이 확고해지는 것이다. 당장 사람들의 삶의 편리함을 위해서 자연을 훼손하는 행위는 결국 인류에게 위험으로 돌아올 수 있다. 지구상의 생명 있는 모든 것들의 가치를 인식하고 인간과 자연이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또한 경제적인 면에서 보더라도 자원을 소비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한계가 명확한 지금의 시스템보다 생태계를 보존하는 가운데 새로운 종을 발견하고 연구함으로서 관련 분야를 시장으로 발전시켜 지속적인 이윤을 추구하는 시스템으로 나아가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마지막 8장 ‘수리남’에서 저자는 기존 학문들에 비해 관심과 지원이 부족한 생물학의 중요성을 설명하면서, 사람들이 생물학에 대한 지식이 늘어난다면 지금 우리가 가지고 있는 윤리관이 근본적으로 바뀔 것이며 다가올 미래를 더욱 평화롭고 발전적으로 꾸려나갈 수 있으리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한다. 


   인류의 역사를 돌아보면 인간이 그대로 대놓고 막장으로 치닫는 존재는 아니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분명 어느 한도를 넘으면 전 인류가 멸망할 수도 있을 텐데, 그 선을 용케도 넘지 않고 역사를 전진시키는 지혜를 발휘해 온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의 수많은 문제들 - 환경 파괴, 전쟁, 범죄, 패륜 등 입에 담기도 입술이 떨리는 흉악이 만연한 시대에 살고 있는 것 같지만 어느 한쪽에선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든든히 버티고 있는 것이 바로 인간이다. 선악을 나누어 설명할 수 없는 이런 인류사에 에드워드 윌슨이 주창하는 이른바 ‘생명 사랑’의 지혜가 효과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면 비로소 온전한 선한 세상이 올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갖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