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투라는 감옥 - 우리는 왜 타인에게 휘둘리는가
야마모토 케이 지음, 최주연 옮김 / 북모먼트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기 전에 먼저 숙지해야 할 한 가지 개념이 있다. 바로 ‘정념’이다. 정념의 사전적 의미는 ‘감정에 따라 일어나는, 억누르기 어려운 생각’(표준국어대사전)이다. 여기에 철학적인 의미를 더하면 정념은 어떤 것으로 인해 평소와는 다르게 격한 감정에 휩싸인 상태를 말한다. 감정의 급격한 변화라고 해서 다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흄의 인성론에 따르면 정념에는 ‘욕구, 혐오, 비판, 두려움, 절망’ 외에 ‘기쁨, 희망, 안도’ 같이 긍정적인 것도 있다.

질투의 근원은 무엇인가? 이 책은 내용 전반에 걸쳐 ‘비교’라는 인간의 의식 행위를 거론한다. 이것은 뿌리 깊은 감정이다. 인간이 집단을 이루고 한곳에 정착하기 시작할 때부터 생겨난 것으로 본다. 생존을 위한 투쟁이 중심이었다가 비교적 안정된 체제를 이룬 후, 인류는 사회적∙문화적 사유를 하기 시작했고, 비교는 그때부터 시작되었다.

비교라는 행위는 개체 간 차이를 인식하는 것이다. 문제는 ‘너와 내가 이렇게 다르구나, 차이가 있구나’,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어떤 형태의 정념이 발동하게 된 것인데, 그것이 바로 질투인 것이다. 남보다 내가 못하다고 느낄 때의 굴욕감, 내가 손해 보더라도 상대의 이익이 박탈되는 것을 바라는 마음, 심지어 나보다 못한 처지에 있는 사람에게도 주변 여건에 따라 시기와 질투의 감정을 느끼게 되는 것이 인간이란 존재의 본성이다.

‘질투’를 다루는 이 책의 초반부를 읽다가 얼마 전 한 독서모임에서 다뤘던 세네카의 『화에 대하여』가 생각났다. ‘질투’나 ‘화’ 역시 모두 정념에 속한다. 세네카는 ‘화’가 전적으로 부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부정적인 방향으로 흐르며, 이것을 온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책에서 저자가 질투에 관해 다루는 방식도 비슷하다. 질투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와, 각 시대의 사상가들이 어떻게 질투를 정의하고 분석했는지를 소개하면서, 대체로 질투는 화보다도 못한 것으로 평가한다. 하지만 책 후반부에 들어서 인간의 본성 및 민주주의와 연관시킨 논의를 통해, 질투는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인간과 사회의 본질과 같은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가치와 기준을 두는 방법으로 질투를 관리해야 할 대상으로 결론짓는다.

제도와 기술이 발전하면서 물질적인 조건은 점점 더 풍요로워지는 데 반해, 인간의 정신은 그에 비례하여 성숙해지지 못한다는 것이 특히 흥미로운 부분이다. 한때 질투는 극복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대상으로 연구되기도 했으나, 모든 유∙무형의 도구가 그렇듯이 이 정념의 양면적인 부분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치들을 꾸준히 발전시키는 것이, 질투라는 감옥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는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는 생각에 동의하게 된다.

* 네이버 「디지털감성 e북카페」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