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자의 세계 - 인체의 지식을 향한 위대한 5000년 여정
콜린 솔터 지음, 조은영 옮김 / 해나무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생명체, 또는 살아 있던 동물에 대한 최초의 해부의 이미지는 초등학교나 중학교 생물시간에 행했던 개구리 해부의 이미지가 아닌가 싶다. 그리고 의대생들이 처음 해부 실습을 할 때 적응이 안 된 학생 하나가 바깥으로 뛰쳐나가는 어떤 드라마나 영화의 장면이 떠오르기도 한다. 의학이나 의료 차원에서의 해부라는 개념은 대중에게 낯설지는 않지만, 실제로 더 구체적인 상황에서 맞닥뜨리는 경우는 흔하지 않을 것이다.



해부라는 개념이 대중에게 그리 낯설지 않은 이유는 그것이 의학이나 의료 현장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예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중세에서 르네상스로 이어지는 유럽의 역사에서 인간에 대한 묘사가 과학적인 측면에서도 많이 연구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데, 이중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것이 해부학 지식의 발전과 관련이 있었고, 이런 예술을 접한 사람들에게 인체에 대한 지식은 단지 의학의 영역에만 머물 수 없었을 것이다.

기원전 3000년부터 기원후 1300년에 이르는 고대 시기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인물은 1~2세기에 활동한 갈레노스라는 로마제국 시대의 의학자이자 철학자이다. 갈레노스는 이전 시대의 의학 지식을 집대성하며 자신의 이론을 완성했으며, 이는 이후 1300년 동안 해부학을 비롯한 의과학의 대부분의 활동에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갈레노스 이후 1700년대 계몽 시대에 이르기까지 아주 점진적으로 갈레노스의 절대적 영향력으로부터 벗어나는 과정을 지켜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오늘날과 같이 과학과 철학이 분리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그리고 과학적 방법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관점과 접근이 해부학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래서 소수의 천재적인 의사들의 관찰과 직관에 의해 갈레노스의 인체 지식에 대한 철학적 관점으로 빚어진 오류가 조금씩 수정되긴 했으나, 본격적인 과학 발전의 시대인 17세기에 이르기까지 근본적인 변혁이 이루어지긴 힘들었다. 하지만 토머스 쿤의 패러다임 전환 이론에서 볼 수 있듯이, 해부학에서도 온전히 과학적인 관점으로 발전을 이룰 수밖에 없는 사회문화적 압박이 일어났다는 것을 이 책은 보여주고 있다.



종교와 철학의 거품을 걷어낸 해부학은, 과학 지식과 도구, 연구 방법의 발전에 힘입어 계몽시대 이후 엄청난 진전을 이루었으며, 특히 회화 및 조각 예술 영역에서의 향상된 표현 기술은 시각적 정보화를 통해 해부학 지식을 더욱 체계화하였다. 최근에는 전자현미경을 비롯한 미시세계의 관찰 기술의 발달이 해부학을 새로운 차원으로 이끌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이렇게 전달력 높은 문장과 구성, 다양한 이미지 자료를 통해, 독자들로 하여금 해부학 역사의 눈부신 발전을 흥미롭게 접할 수 있게 해준다.

* 네이버 「디지털감성 e북카페」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