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력 설계자들 - 몰입의 고수들이 전하는 방해받지 않는 마음, 흔들리지 않는 태도
제이미 크라이너 지음, 박미경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시대는 우리의 마음과 시간을 빼앗는 것들이 그 어느 때보다도 많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재미난 것들, 흥미로운 것들이 덩달아 많이 탄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어보면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으로 인하여 정말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는 힘을 잃어버리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이 ‘양’에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이 주로 다루는 시기는 고대 후기부터 중세 초기에 해당하는데, 지금 시점에서 보면 엄청 옛날에 해당되는 그 시기에 사람들에게 무슨 오락거리가 그리 많이 있었을까? 하지만 그런 옛날에도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이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빚어진 수많은 사건과 사고, 그리고 사건까지는 아니더라도 시시콜콜한 삶의 이야기들로 인해 정신을 많이 빼앗겼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집중력이라는 것이 어느 특정 시대만의 화두가 아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책의 원서 제목에 사용된 표현인 ‘종잡을 수 없는 마음’, ‘집중하지 못하게 하는 것’ 등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이 책이 집중력 그 자체보다, 우리로 하여금 집중할 수 없게 만드는 다양한 요인들이 과거에도 역시 겪고 있는 문제였으며, 우리보다 먼저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당시 사람들이 어떤 노력을 해왔는지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는 기획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재미있었던 것은, 이 책의 원서 제목과 번역서 제목의 취지와는 별도로, 중세 수도원에 대한 지금까지 잘 접해보지 못했던 흥미로운 사례나 정보를 많이 알 수 있었다는 점이다. 특히 ‘수도원’, ‘수도사’라는 표현에서 느낄 수 있는 고독함, 고립감, 통제된 환경, 고통 등의 이미지를 넘어, 당시 일반 문화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수도원 고유의 독특한 특징을 형성할 수 있었는지 알아가는 과정은 이 책을 읽는 또 하나의 재미라고 할 수 있다.

당시 수도사들에게는 신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나아가 합일의 경지에 이르고자 한 분명한 목표가 있었고, 그 목표를 위해, 산만함으로 이끄는 내면과 외부의 방해물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고민과 아이디어의 역사가 이 책의 주요 내용인데, 이것이 수백 년의 시간이 흐르면서 어떻게 다양하게 해석되어 가는지, 개인의 차원에서 또 수도원이라는 집단의 차원에서 순수한 전통이 형성되거나 반대로 왜곡되어 변질된 과정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웠다.

결론적으로 수도사들의 개별적인 악전고투, 수도원의 전통적인 집단적 노력이 현대인들에게 산만함을 극복하고 집중력을 기르기 위한 모범답안을 주지는 못한다. 모든 방법에는 양면성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역사적으로 가장 고도의 집중이 필요했던 종교집단의 수백 년에 걸친 고민의 흔적이, ‘도둑맞은 집중력’의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훈련 또는 연습 방법에 대한 힌트를 줄 것이라는 점은 신뢰할 만하다.

* 네이버 「북유럽」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