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항인 현대지성 클래식 52
알베르 카뮈 지음, 유기환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조리를 경험한 인간에서 볼 수 있는 반응은 대개 두 가지로 나뉜다고 할 수 있다. 적응하든가 아니면 저항하는 것이다. 알베르 카뮈의 『반항인』은 역사에서 두드러지는 저항의 흔적, 다시 말해 ‘반항’이라는 형식을 통해 존재의 고통을 극복하거나 수용하고자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책의 전반적인 흐름을 통해 주제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 다시 말해 인간으로 하여금 저항감을 갖게 하는 주요 요인은 기독교로 보인다. 서구 문명의 근간을 이루는 양대 축이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이다. 이것들이 융화 또는 결합하면서 기독교적 사상은 유럽 대륙에서 대세가 된다. 특히 중세를 거치면서 기독교가 사람들의 의식을 지배하고 삶의 방식, 나아가 문화를 형성하게 되면서 나타난 사회 현상과 역사적 사건들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사람들로 하여금 어떤 반응을 일으킬 수밖에 없었다.

로마카톨릭 또는 개신교 문화가 중세와 근대에 걸쳐 정상적인 역할과 기능을 했다면 사람들은 소위 ‘신정체제’에 큰 반기를 들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종교와 정치 영역에서 힘을 가진 이들은 진정한 기독교 정신 또는 가치관에 별 관심이 없었다. 권력과 이익을 더 많이 차지하기 위한 다툼의 도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이 사실이다. 그런 상황에서 정상적인 사고방식을 지닌 지식인이나 억압받는 민중에게 신에 대한 의심, 신 존재에 대한 부정의 감각이 일어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르네상스라는 인문 부흥 운동 역시 그런 맥락에서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책에서는 반항의 대상이 주로 신이거나 신을 배경으로 삼은 사상 또는 세력들로 나타난다. 사실상 신 자체를 겨냥했다기보다는 그 권위를 덧입은 부류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세상을 혼란에 빠트리거나 고통스럽게 할 때 신의 존재나 권위를 부정하고 인간 중심의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거대한 흐름이 인본주의적 가치관에 힘을 실어준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하지만 인본주의적 파라다이스 역시 불가능하다는 것은 두 번의 세계대전이 또 입증해 주었다. 신도, 인간도 부조리한 세계의 본질을 정상적으로 돌려놓기에는 역부족인 것이다.

야만의 시대에는 부조리의 현상이 어쩔 수 없는 것이었다 해도, 이성의 시대라고 자부하던 시절에마저 벌어지게 되는 끔찍한 사건들은 인간으로 하여금 혼란과 고통을 넘어 외부에 대한 반항, 폭력적인 성향으로 탈바꿈하게 만든다. 그리고 그것을 정당화한다. 이상과 자부심, 현실의 모순이 점점 병든 인간들을 만들어내고, 이들은 서로를 경계하고 증오하며 세상을 더욱 예민하고 신경질적인 색채로 물들인다. 그리고 그런 가치관이나 처세를 정당화한다.

알베르 카뮈의 『반항인』은 주제나 전반적인 흐름은 익숙하다고 할 수 있지만,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많은 책이었다. 익히 알려진 소설 『이방인』의 경우 독자가 다양한 감상이나 평을 내놓을 수 있는 여지가 많은 장르의 글이기 때문에 비교적 접근성이 높다고 할 수 있지만, 이 책의 경우 근현대 유럽의 역사와 철학적 배경에 대해 대강의 지식이라도 갖추고 있지 않으면 난해하다고 느껴질 확률이 높다. 병든 문명에 대한 카뮈의 해법(있는 그대로 받아들임, 중용, 균형 등)은 사실 너무 일반적이고 이상적이기에 그다지 매력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누구나 알고 있지만 연대하여 힘을 발휘할 수 있기까지 그 여정에 대한 위험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성공 사례도 없고, 지금은 오히려 야만의 시대로 퇴보하고 있기까지 하니.

* 네이버 「디지털감성 e북카페」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