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장의사의 일기
아오키 신몬 지음, 조양욱 옮김 / 문학세계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은 장의사(납관부)로 살아가는 한 남자의 삶과 그 주변의 이야기들을 다루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이 에세이처럼 읽혀서, 마치 소설과 에세이가 짝을 이루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완전한 소설도 에세이도 아니지만, 소설로서도 에세이로서도 독자에게 읽는 맛과 메시지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줄 것 같다.

주인공은 삶에 특별한 의미를 느끼지 못하다가 대학을 돌연 그만두고 주점을 열거나 유명한 문학인의 권유를 받고 쓴 첫 소설이 좋은 평가를 받아 소설가로서의 삶을 뜻하기도 했으나 결국 자신이 바라던 삶을 이루지 못한다. 불안정한 가정 상황에서 아내의 불만과 호소로 앞길이 막막하던 차에, 우연히 사원 모집 공고를 보고 일을 하게 된 곳이 바로 장례 업체였다.

지인들에게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쉽게 밝힐 수 없는 감정에 휩싸여 있다가도, 이 일을 해나가면서 점점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은 통찰에 이르는 주인공의 심리 묘사는 이 소설을 읽는 동안 가장 인상적인 부분이었다. 무엇보다 삶과 죽음에 대한 인류의 보편적인 인식의 변화를 돌아보는 일종의 에세이 같은 서술 방식은 독자에게 지적인 만족감도 제공한다.

죽음은 필연적인 것이기에 그 무엇보다 진지하고 중요하게 생각되어야 할 알이지만, 거기에 가장 밀접하게 닿아 있는 장의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대단히 낮은 시기가 묘사되어 있다. 대체로 평화를 구가하던 시기에는 삶과 죽음에 대한 균형 잡힌 인식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전쟁이나 불황 같은 사람들을 절망으로 모는 사건들을 경험하고 난 뒤에는 죽음에 대해 극도로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삶과 죽음 어느 하나도 소홀히 대하지 않는 것이 가장 현명한 인생의 지혜임을 이 소설은 시종일관 보여주고 있다.

시신의 상태에 따라 생전의 삶의 궤적을 그려보기도 하고, 마른 체형이나 통통한 체형 등 어떤 형태의 체형이 더 많이 나오는지에 따라 어려웠던 시절이나 풍요로운 현재 등 시대의 특징을 구분하는 모습 등도 나오는 등, 직업적 감각으로 알아낼 수 있는 경향이나 사실 등을 묘사하는 부분에서도 읽을거리가 많은 소설이다.

이 소설을 읽다 보니 최근 한 공중파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던 장례지도사를 소재로 한 드라마가 떠올랐다. 현대를 배경으로 한 그 작품에서도 여전히 죽은 사람을 대하는 직업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이 간접적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또 예전에 상영되었던 임권택 감독의 「축제」라는 영화도 생각났다. 죽음이 결코 슬프기만 하거나 피하고 싶고 꺼려지는 것이 아니었던 문화에 대해 잘 보여준 작품이었다.

죽음은 우리의 삶과 구분될 수 없는 일부분이다. 그래서 ‘생사’라는 개념도 성립하는 것이다. 요즘 부쩍 상조업체의 광고가 눈에 띈다. 죽음조차 이제는 비즈니스의 핵심 아이템으로 다뤄지는 시대다. 상업적으로만 다뤄질 게 아니라, 이제는 보통 사람들의 인식에서도 죽음은 좀 더 진지하고 성실하게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가 아닌가 생각되었다. 그런 점에서 이 소설이 전하고 있는 죽음에 대한 다양한 통찰들은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네이버 「디지털감성 e북카페」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