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하는 사회학 공부 EBS 30일 인문학 4
박한경 지음 / EBS BOOKS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학은 사회를 탐구하는 학문인데, 사회라는 개념의 범위가 너무 넓어 그 탐구 대상이 정확히 무엇을 지칭하는지 정의하는 것부터 어려운 과제가 된다. 특정 사회 현상을 탐구하는 학문이 사회학이라고 한다면 경제나, 정치, 법과 같은 보다 구체적인 사회 현상을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다른 사회과학 학문과 겹쳐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회학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것이 더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다.

이 책은 우선 좁은 의미의 사회화 넓은 의미의 사회 개념을 구분함으로써 사회학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탐구하는지 답을 얻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이 책에서 말하는 사회학의 탐구 대상은 사회는 ‘넓은 의미의 사회’를 전제한다. 이 사회가 성립되기 위한 조건은 세 가지다. ‘복수의 구성원들’, ‘구성원들 사이의 상호작용’, ‘상호작용의 변화’다. 여기서 다른 사회성을 가진 생물과 가장 큰 차별성을 보여주는 것은 ‘사회작용의 변화’다. 다른 동물들은 유전자의 지시라는 힘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고 오랜 세월 사회작용의 형태를 유지해오고 있지만, 인간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역사에서 확인할 수 있는 생존양식과 규칙, 법과 제도의 변화들이 그 증거다.

사회학은 사회 중에서 인간 행위의 규칙성과 그 규칙성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힘에 가장 큰 관심을 가지며, 바로 이것이 사회학의 주된 탐구 영역이다.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사회구조’라는 표현은 바로 이 사회적 힘을 가리킨다. 구조는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 일종의 경로를 만든다. 그리고 경로 내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이것은 다른 말로 ‘규칙성’을 의미한다. 사회학은 이 규칙이 어떻게 형성되고 실제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개인의 결정과 행동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맥락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사회학적 상상력’이라고 한다. 사회학적 상상력은 일반적인 상상력과는 달리 훈련이 필요한데, 우선 데이터가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고, 다음으로 정리된 자료를 비교하여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자료를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해 기존과는 다르게 분류해보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은 개인의 행위를 사회적 맥락과 연관시켜 보기 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를 탐구하는 행위는 예전부터 있어 왔으나, 현재의 사회학적 방법이 정립된 데는 사회의 변화 속도와 관련이 있다. 사회 변동이 농경 사회와는 다르게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빨라진 현대 사회는 그에 맞는 새로운 탐구 방법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은 그 기원으로 프랑스의 학자인 오귀스트 콩트를 소개한다. 그는 더 분석적이고 정확하고 객관적인 사회학을 위한 길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콩트가 파악한 인간의 지적 상태 3단계를 보면, 신학적 단계-형이상학적 단계-실증주의적 단계의 순서로 발전한다고 파악하고 있는데, 이런 흐름은 현대 사회학의 기본 정신이 무엇을 바탕에 두고 있는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에 비해 또 다른 초기 사회학 정립에 공헌을 한 허버트 스펜서는 사회학에 생물학적 관점을 적용한 사회진화론인 사회유기체설을 주장했다. 그는 사회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 능력 없는 사람들은 도태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콩트가 과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사회학의 방향을 제시하기는 했으나, 본격적으로 과학적인 방법을 사회학 연구에 체계적으로 적용하기 시작한 학자는 에밀 뒤르켐이라는 프랑스 학자였다. 자살에 대한 뒤르켐의 연구는 지금까지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르크스는 사회구조와 변동, 발전에 있어 경제와 부의 분배가 문제의 핵심임을 인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막스 베버는 여기에 종교라는 문화적 요인 역시 사회 변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이 책은 현대 사회학의 토대를 마련한 오귀스트 콩트, 허버트 스펜서, 에밀 뒤르켐, 칼 마르크스, 막스 베버의 업적과 성과를 소개한 후 후반부에 현대 사회의 다양한 사회학적 문제들을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회학은 법칙이 아닌 경향을 발견하는 특성으로 발전한다. 왜냐하면 방법이 과학적이기는 하나 인간 자체와 인간이 빚어내는 사회 현상이 단순한 데이터로 취급되기에는 광범위한 다양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사회학이 일반 대중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유익은 사회학적 상상력을 통해 자기 자신을 물론이고 자기가 속한 사회, 국가, 세계를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인식적 틀을 제공한다는 데 있다. 비록 개인의 깨달음이 세상을 바꿀 수는 없겠지만, 세상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효과적인 답을 구하는 데 사회학적 상상력만한 도구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진정한 사회적 동물로서의 정체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지혜의 토대를 놓을 수 있을 것이다.

* 네이버 「리뷰어스 클럽」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