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공 짜맞춤 설계 교과서 - 이음부터 장부맞춤·연귀맞춤·주먹장까지 목공 명장도 탐내는 70가지 우드 조인트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테리 놀 지음, 이은경 옮김, 이동석 외 감수 / 보누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DIY는 ‘Do It Yourself’의 약자로 스스로 만들거나 고쳐서 사용하는 활동 일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도 가정을 중심으로 각종 전동공구의 보급과 사용이 늘어나면서 많이 확산된 문화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인터넷 등을 찾아보면 숨은 고수들이 정말 많고 그에 따라 많은 DIY 관련 기술이나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이번에 보누스 출판사에서 새로 출간된 『목공 짜맞춤 설계 교과서』는 우선 어느 정도 목공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 우선 책 초반부에 이 책에서 소개하는 각종 짜맞춤 기술들을 요약해 보여주고 있다.

먼저는 용어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측면이음과 빗이음은 2개 이상의 목재를 더 넓고 긴 단위로 결합하는 기술이며, 겹침이음과 감춤이음은 서로 다른 목재 끝부분의 두께를 줄여 결합시키는 방식인대 덧댐이음 또는 반턱맞춤으로도 불린다. L이나 T형태로 결합된 목재 형태를 떠올리면 되겠다.

장붓구멍과 장부 기술은 나무를 직각으로 결합하는 방법인데 고대부터 효과적으로 쓰인 방법이라도 한다. 한 쪽 나무에는 홈을, 다른 나무에는 그 홈에 맞춰 끼울 수 있게 가공하는 방식이다. 이런 식으로 용어와 기본적인 결합 형태를 인지시킨 다음 구체적인 작업 내용을 하나하나 체계적으로 가르쳐주는 구성을 하고 있다.

목공 작업에는 목재뿐만 아니라 장비도 중요하다. 그래서 필수적인 장비에 대한 기본적 내용도 충실하게 설명하고 있다. 정확한 재단이나 변형을 위해 목재나 부재에 표시가 필요한데 이를 마킹이라고 하며, 마킹 도구로는 금긋기칼이나 송곳, 연필 등이 사용된다. 각도를 잘 맞춰야 매끄러운 움직임을 만들어낼 수 있는데, 이때 쓰이는 도구로 T-베벨, 자유각도자, 삼각자 등이 있다.

짜맞춤 방식이라고 해서 못이나 나사, 접착제를 전혀 쓰지 않는 것은 아니다. 소재의 특징에 따라 더 견고하고 효과적인 짜맞춤을 위한 접착제의 종류와 사용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나사의 경우 나무나사도 있어 나무 재질에 따라 기존의 철 나사를 사용해야 할 경우와 나무나사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알려주고 있다.

이 책의 대상 독자층이 중급자 수준이라 혹시 초급자나 흥미가 있는 정도의 상태라면 내용이 금방 이해되지 않을 수 있어서 기본적인 내용을 다시 배워야 될 필요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목재 결합 방법들은 우리가 평소에 목재 가구들에서 볼 수 있는 형태를 거의 다 담고 있기 때문에 낯설지는 않을 것이다. 오히려 정석대로 바르게 배우는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 네이버 「리뷰어스 클럽」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