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니코마코스 윤리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42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2월
평점 :
인간은 좋음을 추구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좋음을 추구한다는 것은 더 나은 상태 혹은 삶을 지향한다는 것인데 이것은 구체적인 실천의 차원에서 정치학과 가깝다고 한다. 서문에 해당하는 글에서 그는 이런 정치학을 공부하기에 적합한 사람으로 이성에 따라 바라고 행하는 사람을 꼽는다. 같은 지식이라 하더라도 자제력이 없거나 감정에 따라 사는 사람에게는 아무 유익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경계선을 긋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좋음 중에서 가장 좋음을 ‘행복’이라고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행복은 ‘잘 살아가는 것’ 또는 ‘잘 행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가 생각하는 행복은 그 의미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좋음’에 대한 논의를 보면 아리스토텔레스가 지상의 철학자이자 현실의 철학자라는 별칭이 이해가 된다. 당시 플라톤의 이데아론의 영향으로 ‘보편적인 좋음’에 대한 개념이 널리 퍼져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설사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좋음이 있다 하더라도 인간이 실현하거나 소유할 수 없다는 점을 근거로 현실에서 실현하거나 소유할 수 있는 행복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즉 보이지 않는 관념적 이상보다 감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이상이나 ‘좋음’에 대해 더 지지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좋음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자족성’이다. 오직 그것만으로도 부족함 없이 충분하다고 여기는 것. 이 좋음이 바로 행복이다. 행복은 최종적이고 자족적인 것으로 모든 행위의 목적이 된다고 한다. 더불어 아리스토텔레스는 깊이 있는 학문적 통찰을 통해 좋음과 행복을 탐구하고 있으면서도 일반 대중들의 보편적인 생각도 중시하는 경향도 보여준다.
소유와 성품, 사용과 활동의 대비도 눈길을 끈다. 바르게 ‘행하는’ 사람들이 삶 속에서 고귀하고 좋은 것을 획득한다. 행복을 얻는 방법에 있어서도 신이 부여하는 것인지 아니면 학습과 노력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인지를 논하는데, 여기서도 역시 보다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부분에 무게 중심을 둔다. 즉 행동 혹은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 기준은 미덕에 따른 활동이냐 아니냐다.
미덕이란 혼에서 나오는 지혜를 지닌 사람의 좋은 것이다. 이것은 이성과 학습, 습관으로 완성된다. 즉 생각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실제 행위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또 놓치지 말아야 할 절제와 미덕의 균형, 다시 말해 중용이 등장한다.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일치하지 않는 사람의 혼이 좋을 리 없다는 그의 의견에서, 오늘날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고 거짓말을 일삼는 사회지도층의 위선을 떠올린다. 그런 모습이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친다. 지도자든 일반 시민이든 우리는 모두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끼친다. 모든 국민은 그 수준에 맞는 정부를 가진다는 토크빌의 말도 떠오르게 하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론을 통해 혼과 육의 일관성이 배가되고, 모순과 위선이 없도록 훈련시키는 그런 교육이 이루어지는 날이 왔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그것이 우리 국민을, 가족을, 나 자신을 참 행복으로 이끄는 바탕이 되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 네이버 「문화충전200%」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