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체를 보는 식물학자 - 식물의 사계에 새겨진 살인의 마지막 순간
마크 스펜서 지음, 김성훈 옮김 / 더퀘스트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법의식물학나아가서 법의환경학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익숙한 듯하면서도 약간 생소한 이 용어가 얼마나 낯설게 느껴지냐 하면네이버 검색 기준으로 용어에 대한 자료가 나오지 않을 정도다법의학이나 법곤충학처럼 우리가 미디어를 통해 어느 정도 접해본 분야는 어느 정도 검색을 통해 내용을 접할 수 있는데 관련된 분야라 할 수 있는 이들 분야가 이렇게도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니 의아하게 느껴졌다다만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법환경학이란 용어는 아주 적은 자료가 확인된다즉 적어도 우리나라에서 범죄와 연관된 법의학 분야에서는 환경 및 식물이 아직은 생소한 분야라는 말이다.

 

이 책의 제목과 관련해서는원서로도 번역판으로도 둘 다 내용과 잘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든다우선 원서 제목인 “Murder Most Florid”는 화려한 살인혹은 꾸며진 살인 정도로 이해할 수 있는데정작 저자가 법의식물학자로서 경험한 살인사건 피해자들의 상태나그것을 조사하는 사람들의 활동 면면은 치열하고 열악하기 짝이 없었기 때문이다. “시체를 보는 식물학자라는 표현은 어느 정도 잘 지어진 것 같다하지만 책 내용 자체가 주로 전하는 내용은 법의식물학자의 조사보다 영국의 수사 환경 전반에 대한 개선 필요성을 더 강조하는 것처럼 느껴져 책 내용을 모두 포괄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하지만 우리나라 독자들에게는 이미 과학수사대류의 스토리가 해외와 국내 콘텐츠 할 것 없이 엄청나게 많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범죄수사와 식물의 연결고리를 보여주는 이 책의 내용은 무척 흥미롭게 다가올 것으로 생각된다.




 



모든 범죄수사가 그렇듯 범죄가 언제 어떻게 일어났는지 밝히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법의식물학자로서 저자가 수사에 기여하는 부분 역시 식물 지식을 바탕으로 범죄 상황의 전반을 재구성하는 데 있다시체는 생명 현상의 한 부분이므로 시신 주변에 있는 식물이나 미생물균 등의 반응이 일어나는데이것이 범죄 상황범죄현장과 희생자의 연결 관계 등에 대한 중요한 단서들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책을 보면 영국의 범죄과학에 대한 연구와 국가적 지원이 매우 부실한 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이 분야도 어찌 보면 기초과학에 속하는 것인데단기적 성과를 기대하기 힘든 기초과학 연구에 대한 투자가 미흡한 우리나라의 상황을 떠올리게 한다뿐만 아니라 공공자원으로서의 경찰 인력에 대한 대우나 지원도 열악해서 사건 하나가 제대로 처리되기가 쉽지 않은 환경임을 엿볼 수 있다책 곳곳에 알 수 없는 이유로 수사가 중단되거나 종결되어 안타까워하는 저자의 목소리가 종종 나온다결국은 돈이 문제다.

 

또 하나 이 책의 가장 특징적인 내용은 앞서도 잠시 언급되었지만 실수’, ‘실패에 대한 이야기다몇 년 씩이나 방치되거나 토막난 사체의 경우 그 범죄 경위를 밝히기가 훨씬 어려워지는데저자 역시 최선을 다했지만 규명해내지 못한 사건 케이스가 다수 소개된다그런데 이런 실패와 실수의 경험과 과정들을 기록해두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부분이 인상적이다.







이 책은 법의식물학이라는 생소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인물의 생각이나 경험뿐만 아니라 저자가 속한 분야 전반을 둘러싼 범죄과학과 범죄수사 환경의 실태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많은 내용을 제공하고 있어독자들에게 새로운 지적 자극은 물론이고 세금 및 공적 자금이 어디에 많이 투자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도 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네이버 「디지털감성 e북카페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