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이 슌지가 이 영화의 각본을 썼대. 남편은 기대하는 말투로 말했지만 곰오디오의 파일 하나가 끝날 때쯤 시차적응을 핑계로 까무룩 잠들어 버렸다. 솔직히 나도 졸음이 슬슬 오는 것이... 그래도 "아오이 유우" 가 대체 여기서 어떤 역인지 봐야겠다는 집념으로 - 시작하는 크레딧에는 우에노 주리(스윙걸즈의 그 엉뚱한 아이..여기선 꽤 이쁘데.. 대체 토모야가 왜왜왜 이 우에노 주리를 제쳐놓고 미인마을 출신이라는 딴 애를 좋아라 하는지... 네게 급 라식 수술을 권장하마) 와 남주(극중이름은 토모야인데 실명은 격안남) 이름만 뜨고 우리 유우(급 친한척...;;; 누가보면 옆집사는 줄 알겠다) 이름이 안나오길래 그 집념(혹은 팬심?)으로 이 영화를 끝까지 보았다.

이와이 슌지의 "러브레터"가 우리나라에 해적판으로 어마어마하게 떠돌고 뒷북 개봉으로도 상당한 관객을 끌어모은 전력이 없었다면, 무지개 여신이 먼저 개봉했다면 그래도 꽤 인상이 남았을지 모르는데. 무지개 여신은 러브레터 때문에 내게 그닥 여신의 포스를 끼치지 못했다. 왜? 러브레터의 쌍둥이 버전 같았거든. 늦게 도착한 편지. 늦게 도착한 편지는 내게는 두 가지 의미다. 첫째로는 영화속의 아오이의 마음이 그렇고, 둘째로는 이미 이런 이야기 다 알고 있는데... 라는 영화가 내게 주는 느낌이 그렇고.

남들이 보지 않는 책을 빌려 "후지이 이츠키 스트레이트" 를 만들며 독서자 기재란에 자기 이름을 적어넣고, 그리고 마지막 장에 소녀 이츠키의 그림을 그려놓았던 소년 이츠키의 마음을 가장 마지막 장면에서 보여주었던 "러브레터"와 비슷하게, "무지개 여신"에서도 토모야는 뒤늦게야 대학시절 무심한 척하며 그냥 좋은 친구로 털털한 미소를 보여주었던 아오이의 진심을 알게 된다. 겉으로 다 표현은 못했어도, 그가 핸드폰으로 전송해준 무지개 사진을 핸드폰의 메인 화면으로 만들고, 대필해주던 연애편지 뒷장에 자신의 마음을 수줍게 적어놓았던 아오이의 진심을. 사랑은 한발짝 늦게 전해진다. 파티가 끝나고 나서 도착한 초대장처럼. 타종한 지 한참 후에야 저멀리서 들려오는 메아리처럼.

이와이 슌지가 각본을 썼다는 사전지식 없이도 우리에게 이런 스토리는 아주 익숙하다. 뒤늦게 밝혀지는 진심. 수많은 영화들이 이 뒷북순정을 주제로 했기에 이 분야에서 관객들에게 감동을 안기려면 중간에 너무 눈치를 줘서는 안되는데, 눈치를 주더라도 좀 잠잠히 줘야 하는데 <무지개 여신>은 약간 그런 면에서 약했던 것 같고, 그 진심이 나오기까지의 과정에서 차곡차곡 뭔가를 쌓아가는 느낌이 부족했던 것 같다. "언니는 토모야군을 좋아했었어" 유우 니가 말하지 않아도 우린 모두 알고 있었다구;;;

하지만. 철없어보이고 어리버리하고 급 반하고 급 차이는 스타일의-_- 토모야는 그 이후로 조금 어른이 되지 않았을까.. 하고 생각한다. 눈에 보이는 것 손으로 만져지는 것 그리고 마음으로 느껴지는 것 너머의 것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지 않았을까. 정작 무지개 여신은 아오이의 마음을 제 때 전달해주지는 못했을지언정, 토모야의 마음을 조금은 자라게 해 주었을지도 모른다. 늦게 도착한 편지라 해도, 용서할 수 있는 이유라면 그 때문이겠지.

덧붙임 1. 아오이 유우(주인공 우에노 주리의 극중 이름이 "아오이" 인데 여기서는 배우 아오이 유우를 말하는 것임)는 조연이었다-_-;; 그래도 너의 새하얀 기모노와 해맑은 웃음을 볼수 있어서 언니는 행복했어.

덧붙임 2. 토모야와 결혼하려고 수작을 부렸던 그 34세 여자;;; 진정한 싸이코캐릭터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이 속이기 전까진 진짜 26인줄 알았는데 민증 깐 순간 나도 토모야랑 똑같은 대사를 쳤다. "34살로밖에 안보여" 거울을 보면서 새삼 느끼지만 여자의 나이는 팔자주름으로 알 수 있는건가...

덧붙임 3. 이와이 슌지의 영화중 역시 최강은 "릴리 슈슈의 모든것" 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릴리 슈슈만이 순전한 에테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