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적의 독서,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이란 말이 있다. 뜻은 한 권의 책을 백번 읽으면 그 뜻이 통하게 된다이다. 비슷한 말로 독서백편의자통이라고도 한다. 이것이 과연 가능할까 의구심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알지 못하는 책을 백번을 읽으면 뜻이 통한다게 말이나 되는 것일까? 아무래도 억지스러워 보인다. 

중국 후한 말기 사람인 동우는 글을 배우겠다고 찾아오는 사람에게 늘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내게서 배우기보다는 집에서 자네 혼자 읽고 또 읽어 보게, 그러면 저절로 뜻을 알게 될 것이네."라고 하면서 가르침을 거절했다고 한다. 같은 글을 백 번을 반복하게 되면 그 의미가 저절로 통하게 된다는 것이 요지다.

조선시대 교육 방식은 무식할 정도록 단순하고 간단했다. 그 방법은 한 권의 책을 반복해서 읽고 또 읽는 것이다. 읽을 때는 눈으로만 읽지 않고 입과 귀로 읽는다. 낭독을 통한 독서법이 그것이다. 서당을 생각해보자. 훈장님이 앞에 앉아 계시고 천자문을 날마다 소리내어 읽도록 가르친다. 아이들은 모두 앉아서 소리내어 천자문을 읽기 시작한다. 한 목소리로 소리내어 말이다.
"하늘 천 따지 검을 현 누루 황..." 이런 식으로 말이다. 비록 초급에 해당되는 공부법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낭독 독서는 고대 그리스와 헤브라이즘과 라틴사상의 기초과정에 속한다. 그리스 이후 철학사를 집대성하고 기독교 철학을 완성한 어거스틴은 그의 스승인 암브로스가 소리내지 않고 묵독으로 책을 읽는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다고 한다. 그만큼 낭독 독서법은 보편화 되어 있었고 누구나 그렇게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낭독 독서법은 현대에 와서 소외되고 구시대적 교육법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유는 근대화 되면서 '속도'의 개념으로 학습에 대한 이해가 변화 되었기 때문이다. 속도와 양을 중요시하는 근대 교육에서 낭독은 느리고 시끄럽고 효율적이지 못했다. 효율과 양이 곧 질이라는 이해가 팽배했기 때문에 한 권의 책을 백번 읽는 것이 아니고 백권의 책을 읽는 것을 선호했다. 이러한 학습에 대한 이해가 달라지자 공부도 효율적이고 양적인 것을 절대화 시키며 본질적인 부분들을 소외 시키는 방식으로 진행 되었다. 그러한 결과가 바로 공교육이며 잡학식 커리큐럼을 지향하는 근대적 교육의 근간을 이루게 된 것이다. 벤덤의 '절대 다수의 절대 행복'은 영 다른 개념이 아니라 '옅은 행복을 모두에게'이다. 공부도 그렇다. '잡다한 지식을 모두에게'이다. 둘은 함께 생각하고 함께 통하게 된 것이다.

아래의 책들은 잘 나라가는 낭독의 이론과 실천책들이다. 낭독에 대한 이해를 다시 행각해 보기를 권면한다.














이제 기적의 독서법인 독서백편위자현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자.
-다음 시간에

기적의 독서법, 독서백편의자현!(1)

기적의 독서법, 독서백편의자현!(2)

기적의 독서법, 독서백편의자현!(3)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차트랑 2012-01-31 22: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성독은 정말로 좋은 독서법입니다.
특히 동양의 고전을 성독할 때 오는 이점은 말할 수 없이 좋은 것입니다.

동양의 고전은 대구와 논리로 가득 차 있어,
예를 들어 명심보감 한권을 성독하여 암기할 경우
대입 논술은 저절로 이루어질 뿐 아니라
대화에서도 매우 논리성을 스스로 갖추기 때문에
그 설득력이 대단히 좋아집니다.

한가지 참고할 사항은 동양의 고전은 성독을 하되
암기를 기본으로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작성해주신 성독법에 관한 페이퍼는
트리플 추천에 해당하는 좋은 내용입니다 ㅠ.ㅠ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순화 2013-05-24 16: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 창작과비평 계간지를 발행하는 (주)창비 저작권팀 이순화입니다.
낭만인생님의 위의 글을 저희가 발행하려는 문제집에 수록하고자 합니다. 제게 연락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31-955-3369

G 2014-05-09 16: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 좋은 글 잘 알아갑니다.
다만 한자의 독음이 독서백편'의자현'이 아닌 '의자견'으로 읽어야 한다는 것이 아쉽습니다. 더 많은 분들에게 좋은 의미로 소개될 수 있도록 수정되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현現X -->견見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