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제목의 고전적인 분위기 때문이었을까, 나는 이 하얀 책을 앞에다 두고 뜬금없이 <운수좋은 날> 이라는 옛 소설을 떠올리고 있었다. 아내를 위해 설렁탕을 사들고 들어온 남자의 찌든 얼굴과 이미 죽어버린 그 아내의 비루한 삶이 어째서 갑자기 떠올랐는지. '허삼관'이라는 촌스러운 이름과 '매혈'이라는 아픈 단어가 스르륵 머리 속으로 입력되자 자동으로 가난이라는 이미지가 떠올라버렸던 것일까. 하지만, 나의 뜬금없는 예상을 비웃기라도 하듯 허삼관은 곧 단순한 어투로 남얘기나 하듯 실실 웃으며 그 실체를 드러냈다. [허삼관 매혈기]는 현진건의 반어적인 비극과는 전혀 달랐다. 허삼관은 찰리 채플린의 후예였다. 그는 진정 페이소스의 대가였다.
가난해서 몸 속의 피를 팔아야만 하는 이야기는 결코 유쾌하지 않다. 피를 팔아서 결혼을 하고 피를 팔아서 가뭄을 이기고 피를 팔아 쓰러지면서 아들을 살리는 이야기는, 가련하고 무겁고 그래서 버겁다. 심지어 작위적이라는 생각까지도 들 수 있고 결국엔 그 눈물겨운 부성에 감동까지 받아줘야하나 고민 될 수도 있다. 하지만 허삼관은 눈물의 신파극에는 관심이 없다. 철지난 슬랩스틱 코미디도 그의 것은 아니다. 그저 그는 조금 짖궃다. 피 판 돈은 큰 일에 쓰겠어요! 라고 말할 땐 언제고 뜬금없이 그 돈으로 장가나 가는 주제에, 나를 가만 내버려두질 않았다. 그저 눈으로 그를 졸졸 쫓아가기만 했을 뿐인데 어느새 나는 의자다리를 부셔먹으며 자빠질 듯이 웃고 있거나 또는 가슴을 부여잡고 아아 이건 너무 감동적이잖아 하며 스스로 신파의 주인공을 자처하고 있었다.
읽는 동안 내내 나는 엉거주춤한 자세로 웃다 울다 하느라 정신이 없었고 그 사이 간간히, 울다가 웃으면 생기는 민망한 일이 일어날까 신경이 쓰이기도 했지만
어쩌면 나는 그런 그가 얄미워서 불과 세 시간만에 그를 다 읽어버렸는지도 모르겠다.
피는 힘이고 곧 돈이었다. 하지만 그 힘을 자꾸 써서 소진시켜 나가면 피는 곧 온기이고 생명과 같은 것이 된다. 그가 한창때 피를 팔아 그 돈으로 부인을 얻고 가뭄 때 국수를 사 먹고 한 것은 그에게 아직 스스로 대한 애정과 힘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공장에서 번 돈으로는 의붓아들인 일락이에게 옷 사주고 밥도 사줄 수 있지만, 피를 판 돈으로는 절대 그럴 수 없다!는 어설픈 고집도 부려보는 것이다. 하지만, 그는 점차 힘이 아닌 그의 온기와 생명을 내다 팔며 일말 남아있던 자신에 대한 애정까지도 모조리 자식들에게로 돌린다. 석달에 한 번씩 이라는 불문율을 깨고 한달 걸러 한 번, 심지어 사나흘에 한 번씩 피를 팔아 대며 휘적휘적 걸어가는 그의 뒷모습에, 더이상 피를 팔지 못하게 될 때까지 '건강하게' 살아 남아 있어야하는 그의 삶에, 어찌 가슴이 북받치지 않으랴.
어디선가 볶은 돼지 간 냄새가 났다. 허삼관이 탁자를 탁탁 치며 나에게 말한다.
"사람은 양심이 있어야 한다. 난 나중에 네가 나에게 뭘 해 줄 거란 기대 안한다. 다만 내가 늙어서 죽을 때, 그저 내가 널 키운 걸 생각해서 가슴이 좀 북받치고, 눈물 몇 방울 흘려주면 난 그걸로 만족한다."
나는 조금 머뭇거리다, 그래도 양심이 조금은 있다고 우겨본다. 당신이 관통해 살아나간 그 시절을, 그 속의 변화와 그 가난을 잘 알지도 못하며 안다해도 뭘 해줄 순 없을 테지만, 그래도 이 소설을 읽는 동안 가슴이 많이 북받치고 눈물 여러 방울 흘려대었으니, 이 정도면 만족하지 않았나 눙을 쳐본다.
허삼관이 궁시렁거리며 데운 황주를 마시는 동안 나는 한 모금도 달라 할 수가 없었다. 아니, 나는 피를 뽑지도 팔지도 않았으니 그건 넘보면 안되는 것이었다. 하지만, 나는 오히려 그에게서
아주 신선하고도 따뜻한 피를 잔뜩 수혈받았으니 내내 그저 든든한 마음으로, 그에게 술을 따라 주고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