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질문 - 2015 오픈키드 좋은어린이책 목록 추천도서 바람그림책 19
오사다 히로시 글, 이세 히데코 그림, 김소연 옮김 / 천개의바람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른한 오후.

커피를 한가득 담은 머그잔을 앞에 두고 사무실 테이블에 둘러 앉았다.

누군가의 제안으로 그림책을 읽게 되었다.

신간을 모아놓은 책꽂이에서 이 책 <첫 번째 질문>을 뽑아 들었다.

 

첫 번째 질문.

오사다 히로시 글, 이세 히데코 그림, 김소연 옮김.

책의 겉표지와 마지막 표지가 보이도록 펼쳐보였다.

벌써부터 여기저기서 감탄의 소리가 들린다.

흰색과 파란색의 청량감, 여자아이의 노란 장화에 마음을 뺏긴다.

아무것도 그려져 있지 않는 그저 하얀색의 면지에서 하늘을 보았다면 나만의 착각일까.

 

오늘 하늘을 보았나요?

하늘은 멀었나요, 가까웠나요?

 

재개발을 눈앞에 둔 5층짜리 오래된 아파트 1층에 자리한 <그림책도시> 사무실.

모두다 약속이나 한듯 반쯤 열어 둔 주방쪽 창문으로 하늘을 내다본다.

 

구름은 어떤 모양이던가요?

바람은 어떤 냄새였나요?

 

나도 모르게 숨을 들이쉰다.

 

좋은 하루란 어떤 하루인가요?

오늘 "고마워!"라고

말한 적이 있나요?

 

좋은 그림책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이런 하루.

고맙다.

 

창문 너머, 길 저편에

무엇이 보이나요?

빗방울을 가득 머금은 거미줄을 본 적이 있나요?

 

(중략)

 

몇 살 때의 자신을 좋아하나요?

잘 나이 들어 갈 수 있을까요?

세상이라는 말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풍경은 어떤 건가요?

 

지금 있는 곳에서 귀를 기울여 보세요.

무슨 소리가 들리나요?

침묵에서는 어떤 소리가 나나요?

가만히 눈을 감아 보세요.

무엇이 보이나요?

 

질문과 대답,

지금 나에게 필요한 것은 어느 쪽인가요?

이것만은 하지 않겠다고

다짐한 것이 있나요?

 

당황스럽다.

그동안 수없이 많이 고민한,

고민한 줄도 모르고 했던 그런 생각의 조각들이 여기 흩어져 있었다.

 

세상은 말을 가볍게 여기지요.

당신은 말을 믿나요?

 

믿고 싶다......고 말하고 싶다.

 

책장을 덮고 우리는 잠시 말이 없었다.

아주 짧은 일초, 이초의 침묵이 많은 것을 이야기해 준 느낌이다. 

그리고...

봇물 터지듯 이 책에 대한 느낌이 쏟아졌다.

 

<첫 번째 질문>

진정한 4D 그림책이 아닐까 싶다.

구름을 보고, 바람의 냄새를 맡고, 빗방울을 느낄 수 있는...

게다가 오늘 하루도 잘 보냈다는 위로의 말을 들은 것도 같다. 

 

<나의 를리외르 아저씨>로부터 시작하여 <커다란 나무 같은 사람>, <구름의 전람회>, <나의 형 빈센트>로 이어진 이세 히데코의 그림은 정말 나를 황홀경에 빠지게 했다.

하지만 어느 순간 이세 히데코의 그림에서 색이 자꾸 빠져 나가는 느낌을 받았다. 수분을 너무 많이 머금어서 짜면 물이 뚝뚝 떨어질 것 같은 그런 느낌 말이다.

<첫 번째 질문>은 그런 나의 흔들리는 마음을 다시 잡아주었다. 역시 이세 히데코였다.

그리고 좋은 그림책은 함께 나눠야 그 기쁨이 배가 된다는 것도 다시 한번 알게 되었다.

 

아름다운 시와 그보다 더 아름다운 그림으로 채워진 <첫 번째 질문>

오늘 나는 아이들에게 질문을 해볼까 한다.

오늘 하늘을 보았니? 라고...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

마지막 페이지를 꼭 그렇게 처리했어야 했는지 하는 의문이 든다.

더 깊이 생각할 수 있도록 마지막 면을 그냥 빈 공간으로 두었으면 훨씬 좋지 않았을까.

굳이 그 자리에 판권을 표시해서 독자의 생각의 흐름을 방해해야 했을까 하는 아쉬움이 크게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앵무새 돌려주기 대작전 - 제18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대상 수상작(고학년) 창비아동문고 276
임지윤 지음, 조승연 그림 / 창비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걸 우연이라고 해야 하나...

<앵무새 돌려주기 대작전>을 읽자 마자 새가 내 눈에 보이기 시작했다.

뒤이어 읽은 책이 데이비드 알몬드의 <내 이름은 미나>였는데 이 책에도 새 이야기가 제법 많이 나온다. 새 뿐만 아니라 <앵무새 돌려주기 대작전>의 마니엄마가 좋아하는 명언도 꽤 나온다.

또, 런던도서전에 참가하여 우리 그림책을 알리고 돌아오신 이상희선생님께서 선물로 챙겨주신 가방(출판사 홍보용)에도 아주 커다란 앵무새가 떡하니 인쇄되어 있었다. 런던에서 한국까지 내 품에 안기기 위해 날아온 앵무새~

아! 소름.... 이 정도면 우연이 아닌 필연? 좀 억지스러운가?

 

 겉보기에 평범해 보이는 마니네 집에 우연히(절대 우연이 아니었지만) 날아든 한 마리의 앵무새 덕분에 마니네 가족은 자신들의 문제를 들여다보게 된다. 가장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하는 마니아빠, 성공을 위해 매일 명언을 벽에다 붙여가며 스스로에게 긍정최면을 거는 마니엄마, 자기가 뭘 좋아하는지, 꿈은 무엇인지 자신에 대해 아무 것도 알지 못하는 마니, 입을 굳게 닫아버린 동생 차니.

게다가 우연히 날아든 앵무새 한비마저도 스트레스로 제 털을 스스로 뽑아대는 문제있는 앵무새였다.

 앵무새를 돌려주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속에서 마니는 많은 것을 깨닫게 된다. 가장 이해할 수 없었던 엄마를 이해하게 되고, 없어도 크게 상관없었던 '친구'라는 존재를 받아들이게 된다. 특히 어른들이 바라는 앵무새 같은 아이가 되기 보다는 '내 인생의 조언자는 바로 나' 라고 외치는 당당한 아이로 성장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좀 당황스러웠다. 마니의 눈에 비친 마니엄마의 모습때문이다. 마니엄마의 행동이 여러가지로 나와 중첩되는 부분이 많아 어쩌면 내 아이들도 나를 저런 눈으로 보고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엄마는 뭐든 엄마 식대로 말하는 버릇이 있다.

엄마는 동물을 싫어한다. 강아지는 커녕 물고기 한 마리도 못 키우게 한다.

엄마의 어릴 적 꿈이 선생님이었다며 대한민국에 그만한 직업은 없다고 했다.

아줌마들의 대화는 언제나 나를 당황하게 한다, 원래는 다른 이유가 있는데 그게 완전히 새로운 이유로 탈바꿈한다고나 할까.

우리 엄마가 수다쟁이로 보일지 모르지만 사실 집에서는 별로 말이 없다. 꼭 필요한 말(잔소리)만 한다.

엄마는 다른 사람 앞에서 꼭 내 흉을 본다.

엄마는 내 편은 안 들어주고 남의 편만 든다.

나는 엄마와 말하지 않는다. 그런데 엄마는 그런 줄도 모르는 것 같다.

 

어쩌면 동화는 아이들보다 어른이 먼저 읽어야 하는 게 아닐까.

명언을 좋아하는 마니엄마에게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를 강추한다. 꼭 벽에 걸어두기를 바란다.

 

즐겁게 살기 위해 태어난 새가

어찌 새장 속에 갇혀 노래할 수 있으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분 BOOn 2호 - 2014년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 편집부 엮음 /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월간지)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격월로 나오는 일본문학잡지. 창간호까지 구해 읽었다. 창간호에 실린 미야자키 하야오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2호에 실린 오쿠다 히데오 등 일본문학에 대한 갈증을 어느 정도 풀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생 1 - 아직 살아 있지 못한 자 : 착수 미생 1
윤태호 글.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이제서야 읽는 미생! 바둑을 알면 훨씬 재미있겠다는 생각~ 몰라도 이리 좋은 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이름은 미나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3
데이비드 알몬드 지음, 김영진 옮김 / 비룡소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첫 문장을 읽는 순간 저릿저릿! <스켈리그>의 마이클을 발견하면서 또 한번 저릿저릿!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