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을 걸어두는 나무 / 아이는 어떻게 말을 배울까>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아이는 어떻게 말을 배울까 - 아기 안에 잠든 언어 능력 깨우기
로버타 미치닉 골린코프 외 지음, 문채원 옮김 / 교양인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나에게는 4년 6개월(54개월)된 아들이 있다. 아들이 한글과 영어를 알아가는 과정을 지켜 보면서 우리 부부는 놀라움과 기쁨을 경험했다. <산골소년 영화만 보고 영어 박사 되다>라는 책을 보면 소년의 부모가 너무 기뻐 자다가도 깨어나서 키득키득 웃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우리 부부도 그랬다. 어떻게 우리 아들이 이렇게 쉽게 한글을 깨우치는지, 영어의 파닉스는 어찌 이해를 하고 읽고 말을 하는지 그저 놀라울 뿐이었다. 

<아이는 어떻게 말을 배울까> 이 책을 보면서 해답을 찾았다. 아들을 뱃속에 갖고 있을때 나는 밤마다 그림책을 읽어줬다. 물론 뱃속의 아이한테 읽어준 것이 아니라 첫째아이에게 읽어줬었다. 매일밤 5~6권의 그림책과 달콤한 자장가로 큰아이를 재웠던 것이 작은아이에게도 영향을 끼친 것이다. 지금도 그림책 읽기는 잠들기 전 하나의 의식으로 아이들은 받아들인다.  

텔레비전은 진정한 의사소통이 아니라고 말한다.(243쪽)  내가 읽은 교육서에서도 하나같이 텔레비전의 나쁜 점만을 이야기했다. 그래서 난 되도록이면 TV앞에 아이를 앉혀 놓지 않으려고 애를 썼다. 그런데 남편은 나의 생각과 달랐다. 많이 보여주지만 않으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었다. 내가 잠시 외출을 하고 돌아오면 남편은 어김없이 아들과 함께 '한글이 야호' 'Between the lions' 같은 언어 프로그램을 함께 보고 있었다. 중간 중간 아이에게 말을 걸어주고 가끔은 stop 버튼을 눌러놓고 그 장면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는 식으로 말이다. 

245쪽을 보면 이렇게 씌여있다 "아이들에게 텔레비전을 보게 하는 것이 좋을까? 털레비전이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적절하게 이용하고 주의를 하면 어휘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상호 작용할 수 없는 이 매체가 부모나 양육자와 나누는 대화와 상호작용을 대신 할 수는 없다."  남편은 어찌 알았을까? TV를 보면서도 아이와 대화를 나눠야 한다는 것을.  

나는 이 책을 첫아이를 임신한 부모와 24개월 미만의 아이를 가진 부모에게 추천한다. 내가 이 책을 미리 알았더라면 첫 아이한테도 이렇게 해줬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축구가 으랏차차 앗, 이것만은 내가 최고! 93
클리브 기포드 지음, 구동회 엮어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축구광인 친구아들(초5,까칠남)한테 선물했는데 저를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걱정을 걸어두는 나무 / 아이는 어떻게 말을 배울까>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걱정을 걸어 두는 나무 모퉁이책방 (곰곰어린이) 3
마리안느 머스그로브 지음, 김호정 옮김 / 책속물고기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이 참 예쁘다. '걱정을 걸어두는 나무'   

왠지 그 나무에 걱정을 걸어두면 다시 꺼내기 전까지는 아무 걱정없이 지낼 수 있을 것 같다.  

이 시점에서 원제목이 궁금해진다. 'The Worry Tree'  

'걱정나무' 보단 '걱정을 걸어두는 나무'라는 표현이 훨씬 좋다. 걱정을 거는 사람 입장에서도 나무입장에서도 말이다. 

  

줄리엣은 늘 걱정을 달고 사는 여자아이이다. 걱정이 생기기 시작하면 온 몸에 붉은 두드러기가 생기며, 손톱을 물어 뜯는다. 늘 무언가 정리를 하고 있어야 하고, 자신이 정해놓은 체크리스트대로 하루를 지내야 마음이 편하다.그러고 보니 줄리엣 자체가 '걱정나무'이다. 

줄리엣이 드디어 자기 방을 갖게 되었을 때, 방 벽에서 커다란 나무 그림을 발견한다. 그 나무는 100년전 줄리엣의 고조할머니가 그린 것으로 밤마다 그 나무에 걱정을 걸어 놓으면 걱정나무에 사는 동물들이 아침까지 대신 걱정을 해준다는 것이다. 친구때문에 걱정이 생겼을땐 웜뱃에게,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기 힘들땐 오리에게 걱정을 걸어두는 것이다. 

그때부터 줄리엣은 밤마다 걱정나무에게 자신의 걱정을 이야기한다. 항상 나만 참으면 아무 문제 없을 거라고 생각했던 줄리엣은 걱정나무에게 자기의 이야기를 하면서 조금씩 변해간다. 참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줄리엣은 자신의 의사를 친구에게도, 부모님에게도 당당히 밝히게 된다. 등을 돌릴 줄 알았던 친구도, 부모님도 오히려 줄리엣에게 다가선다. 

줄리엣은 늘 걱정을 달고 사는 아이였지만 그 걱정들을 밖으로 꺼내놓으면서 자신의 문제를 바로 보게 된다. 그러면서 해결방법도 스스로 찾게 된다. 중요한 건 꺼내놓는 것이다. 자신의 상태가 어떤지, 기분이 어떤지 표현해야 상대방도 알 수 있다. 안으로 자꾸 쌓아 놓으면 곪아서 터질 땐 감당하기 힘들다. 곪기 전에 자꾸 터뜨려 줘야 한다. 

늘 하는 이야기지만 어린이책 보면서 참 많이 배운다. 나에게도 저 걱정나무가 필요하다. 가족, 친구, 자아, 미래....불안하고 걱정되는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나도 나의 걱정들을 꺼내서 걸어봐야겠다. 그러면 답이 보일까? 

아이들에게 '걱정을 걸어두는 나무'에 대해 간단하게 이야기해줬다. 그러면서 물어봤다. 혹시 걱정나무 말고 갖고 싶은 나무 있냐고. 난 참 예쁜 답을 기대하고 물어봤는데 돌아오는 답은 참 현실적이다. 4학년 딸아이는 '돈나무'가 갖고 싶다고 하고, 6살 아들은 '돼지나무'를 갖고 싶다고 한다(삼겹살을 좋아한다). 특히 딸아이는 '돈나무'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 했다. 돼지는 만원짜리, 개는 천원짜리, 공작새는 백원짜리....하면서. 게다가 걱정까지 한다. 그 돈나무를 누가 가져가면 어떡하냐고...그래서 내가 한마디 해줬다. 그 나무는 네 방 벽에 있는 거여서 아무도 가져갈 수 없다고...ㅋㅋㅋ(그 엄마에 그 딸이다) 

난 아이들에게 소원나무를 갖고 싶다고 했다. 가슴속에 품고 있는 소원을 조심스레 꺼내 걸어두면 꼭 이뤄질 것 같기에...아이들도 덩달아 소원나무로 바꾼다고 한다. 그렇지? 돈나무 보다는 소원나무가 좋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 아빠 함께 놀아요 - 遊ぼう, 遊ぼう, お父さん! (1993)
하마다 케이코 지음, 김창원 옮김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05년 3월
평점 :
절판


아이들과 나를 기쁘게 해준 책! 하지만 아빠도 그럴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 엄마 함께 놀아요 - 遊ぼう, 遊ぼう, おかさん! (1993)
하마다 케이코 지음, 김창원 옮김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05년 3월
평점 :
절판


아이들이 제일 좋아하는 책! 내가 제일 싫어하는 책! 그대로 따라해야 하기 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