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굿바이 클래식 - 조우석의 인문학으로 읽는 클래식 음악 이야기
조우석 지음 / 동아시아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후배가 베를린 필하모닉 내한공연 티켓을 구해주는 바람에 팔자에 없는 클래식 콘서트를 관람한 적이 있었다. 난 평소 클래식 음악을 아주 즐겨듣는 편도 아닌데다 클래식의 엄숙주의를 불편해했기 때문에 클래식 공연에 가는 일이 드물지만, 공짜표가 생긴데다 레퍼토리가 내가 좋아하는 브람스 교향곡이었기 때문에 즐거운 마음으로 공연장을 찾았다(게다가 사이먼 래틀의 베를린 필 아닌가!)
내게는 공연이 어땠는지 평할만한 예민한 귀가 없기 때문에 그 날 공연을 평하기는 어렵다. 기억나는 것이라고는 '나 이 정도 고급문화를 향유하는 사람이오'라고 써붙인 것 같은 잘 차려 입은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는 것과(이회창 총재도 있었다), 그리고 대중 가요 콘서트장에서는 볼 수 없는 엄숙한 무게감이 느껴졌다는 것 정도다.
사실 40분이 넘는 교향곡의 전 부분을 즐기는 사람들이 몇이나 될지 솔직히 난 매우 의문스럽다. 나도 브람스 교향곡 1,2번을 좋아하긴 하지만 1번은 4악장, 2번은 1악장을 좋아할 뿐 나머지는 지루하게 느껴질 때도 있다. 때문에 콘서트 당일 1부에서 브람스 교향곡 1번이 울려퍼지는 40분 동안 내가 한 순간도 빼놓지 않고 음악에 집중하고 있었다면 그건 거짓말일 것이다. 그래서였을까. 2부가 시작하기 직전 내 뒤에 있는 사람이 내 어깨를 쳤다.
"저기요, 자꾸 고개를 갸웃거리시면 제가 연주에 집중할 수가 없거든요. 조심해주세요"
이건 뭔 !@##%$%인가. 아니 콘서트 장에서 고개도 갸웃거리지 말고 정자세로 40분을 앉아 있으라는건가? 클래식 공연에서는 고개도 갸웃거리면 안된다는 룰이라도 있나? 내가 거기서 도리도리 디스코를 추고 있었던 것도 아닌데, 이게 뭔 X같은 요구인가. 당시 너무 어이가 없었지만, 와이프와 후배, 후배의 어머니까지 옆에 계시고, 그 사람의 얼굴이 너무 진지해서 뭐라고 말을 할 수가 없었다. 더 어이없는 건, 2부에서 난 말그대로 부동자세로 공연을 관람할 수밖에 없었다는 거다. 혹시나 그 사람이 내 뒤통수를 후려갈기지 않을까 걱정하면서!
'클래식 울렁증'이라는 게 있다. 클래식은 뭔가 고급스럽고 고상하고 우아하며, 뭔가 엄격하고, 숙연한 것이라는 느낌, 내가 클래식을 모르는 것이 왠지 무식함의 반증인 것 같은 느낌, 클래식 작곡가들은 궁극의 예술혼을 지닌 천재들이므로 우리와는 다를 것이라는 그런 느낌 말이다. 이러한 클래식 울렁증은 우리 사회에 너무나 광범위하게 퍼져있어서, 아무도 클래식의 권위에 도전할 엄두를 내지 못한다. 과연 클래식 음악은 고상하고 권위있으며, 누구나 공부해야하는 음악의 최고봉일까. 누구에게나 컴플렉스를 안겨줄만한 그런 대단한 음악일까.
저자는 단호하고, 또 시니컬하게,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클래식은 단지 17,18세기의 유럽음악일뿐, 그 자체로 대단한 권위를 지닐 이유도, 다른 월드뮤직과 다른 취급을 할 이유도 없다는 것이다. 저자는 클래식 음악은 과거의 통속음악일 뿐이며 고급음악과 저급음악을 나눌 기준도 근거도 없고, 클래식 음악은 연주가 아닌 악보에만 집착하는 죽은 음악이라고 진단한다. 지나치게 엄숙한 국내 클래식 애호가들의 태도는 컴플렉스에서 기인한 것이라는 저자의 분석은 통쾌하기까지 하다. 저자가 포스트모더니즘 철학과 여러 가지 역사적 사료까지 동원하여 파헤친 클래식 음악 신화의 허구성과, 클래식 음악의 통속성, 클래식 권위의 모순성은 (클래식 매니아들에게는 안타까운 이야기겠지만) 대부분이 사실이다.
클래식을 특별하게 생각할 이유는 없다. 대금 산조를 모른다고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는 우리가 베토벤 교향곡 5번을 모른다고 부끄러워해야 할 이유는 없다. '오래된 음악이라니까, 바다 건너온 서양의 것이니까 이유도 모르고 죽은 모차르트, 베토벤의 관을 떠메고 다니는 것은 실로 우스꽝스런 노릇일뿐더러, 그러한 고정관념의 이면에는 화이트 콤플렉스가 숨어 있다'는 저자의 주장은 충분히 동감할만하다.
다만, 이 책은 그 내용에 동의하면서도 선뜻 이 책에 대해 호의적인 평가를 내리기는 어렵다.
일단, 저자가 인문학을 통해 클래식을 비판하면서 끌어오는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의 수준이 매우 조악하다. 들뢰즈를 철학자 중의 철학자라면서 인용하는 부분에서는 실소를 금할 수 없었고, 사회적 진화론을 클래식 음악의 배경으로 끌어붙이며 다윈을 비판하는 건 어이가 없었다. 글을 쓰면서 자신의 얄팍한 인문학적 지식을 자랑하려고 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뿐이라는 아주 정확한 사례가 되고 말았다.(책의 부제가 '인문학으로 읽는 클래식'이라는 걸 생각하면 저자의 낯이 약간 뜨거울 듯)
클래식에 대한 권위를 공격하는 것은 좋은데, 저자의 공격논리가 이중적이라는 느낌도 지울 수 없었다. 클래식 애호가에서 재즈 매니아로 변신해서 그런지 몰라도, 어쩐지 클래식보다 재즈가 훌륭하다는 뉘앙스를 강하게 풍긴다. 클래식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취향을 유치한 감정과잉으로 치부하는 것이나, 국악과 달리 클래식이 과장된 아름다움을 담고 있을 뿐, 인간의 내면을 건드리지 못한다는 저자의 비판은 위험 수위를 넘나든다. 저자가 너무 흥분한 나머지 클래식 지상주의를 타파하고 클래식에 제 몫을 찾아주는 것을 클래식을 땅에 파묻어 버리는 것으로 오해한 것일까.
마지막으로 정제되지 않은 문체. 일부러 쉽게 쓰려고 했던 것인지는 모르겠는데, 글이 너무나 투박했고, 불편할 정도로 구어체를 남용한 부분이 있었다. 지나치게 격정적이고 과격한 단어 선택에 심심치 않은 오타와 비문까지 합하면 독서에 몰입하는 것을 방해하는 부분이 많았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 같다. 쓸데 없이 적을 양산한 부작용을 피할 수 없었음은 물론이고.
좋은 내용을 담고 있고, 기획도 훌륭했는데, 여러 모로 아쉬움이 남는 책이다. 그래도 한 번 쯤 읽어볼만 한 책이라는 건 확실하다. 특히 클래식 울렁증에 시달리는 사람이라면 꽤 통쾌할 것이다. 다만 어디서 이 책을 인용할 때는 적절한 수위 조절이 필요하다는 것을 명심해야겠지만.
p.s 클래식 음악의 인기는 지휘자들의 연봉만 봐도 알 수 있다. 돈으로 가치를 재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한 가지 힌트 정도는 될 수 있을 것 같다. 현재 세계 3대 오케스트라라는 뉴욕 필의 단원 평균 연봉은 10만불. 메이저리그 최저연봉은? 2009년 현재 39만달러. 평균이 아니라 최저연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