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대출증을 만들었다. 처음으로 빌린 책은 두 권.  

 

 이곳 지자체 직원들이 공부를 한다는 책과 언젠가 한번 읽어보고 싶었던 김현의 책. '행복한 책 읽기'에 김현의 사진은 안 실렸다면 좋았겠다 싶다. 날카롭고 섬세한 비평을 읽다 작가 사진을 보니 왠지 어색했다. 작가의 얼굴을 상상한건 아닌데도 말이다. 거즘 내가 다 모르는 소설이라 김훈에 대한 이야기와 김현의 일상을 적은 부분에서 책 귀퉁이를 접었다. 직관적이고 아름다운 문체다. 치기로 가득찬 단문이 아니라 확신있지만 오만하지 않고 견고한 문장이다.

 

  얼마 전 한겨레 신문에서도 꾸리찌바에 대해 나왔다. 공유가치창출, 손으로 뭔가를 만드는 사람들 등. esc만 부지런히 본다. 꾸리찌바를 공부하던 사람들은 그곳으로 배낭여행을 간다.  관광이 아닌 여행을 그것도 태만해보이는 집단의 사람들이 간다는건 내 얘기가 아님에도 좀 설렜다.

 

 

 예전 한겨레21을 읽고 있다, 고 생각했는데 이 기사는 얼마 되지 않았다.

 

 

 

 

 

 

 

 

 파키스탄 총선 얘기가 흥미롭다. 무슬림 국가 가운데 유일한 핵무기 보유국인 파키스탄에는 100여개의 정당이 선거를 치뤘다. 총리로 당선된 펀자브의 사자 미안 무함마드 나와즈 샤리프는 강경한 외교정책을 고수하는 스타일이라고 한다. 얼마 전에 본 신문 기사에서 버락 오바마가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표적암살을 안 하도록 의회를 설득한다고 한다. 샤리프의 강경한 외교정책 영향으로 보인다. 파키스탄은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아프간 침공의 대테러 전쟁의 병참이자 전진기지였다. 만약 파키스탄이 미국을 돕지 않는다면 아프간에서 병력과 군사장비를 빼오는거나 탈레반의 복귀를 막고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도 없게 된다. 미국으로선 자구책으로 파키스탄이 원하는 '무인항공기 폭격 금지'(안)을 택할 수 밖에 없었을터. 오바마가 국제관계를 평화적으로 풀어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런 속내가 있는 듯하다.  

 

  과테말라 법원은 86살 먹은 몬트 전 대통령에 80년형을 선고했다고 한다. 30년전 집권 당시 저지른 학살과 반인도 범죄혐의를 인정한 결과라는 것. 재산을 빼돌리고 수억원의 경비비용을 쓰는 누구와 비교되는 대목. 그걸 계속 보도해가며 여론의 공분을 일으키지만 법적으로는 지지부진하기만 하다. '그것이 알고 싶다'를 보니 살인죄로 수감중인데도 지방의 재벌뻘이란 사람은 감옥을 수시로 드나들었다. 암수술 후에 고열에 시달리던 사람의 형집행, 그것도 부도나서 사기죄로 들어간 사람은 어떤 방법으로도 형집행정지가 어렵다는 말만 하더만. 유전무죄, 무전유죄만이 진리라고 생각하진 않지만 때때로 믿음이 굉장한 설득력으로 다가올 때가 있다.

 

  광주의 지혜학교 선생님을 인터뷰한 기사에서는 '지식은 많지만 타자에 대한 배려도 역사의식도 없다면 지식 괴물'에 불과하다는 말이 나온다. '윤창중들은 계속될 것이다' 연속 기사에서 이진경씨는 '뻔뻔한 사회, 한줌의 정치'란 책을 통해  '사적인 이익을 위해 노골적으로 권력을 이용하는 뻔뻔함이 위선을 대신해 권력 행사의 전면에 드러난다'고 진단했다. 그래서 나는 내 책도 아니고 내 사돈팔촌의 책이 아님에도 '조금은 삐딱한 세계사'를 모두에게 권하고 싶다. 나처럼 세상 돌아가는거 모르고 국정원 선거개입에 대해 인터넷 글로만 훓고 있는 사람도 이 책을 읽으면 다른 나라에 대한 안목이 생기니까. 다른 나라를 앎으로써 우리를 알고, 역사를 앎으로써 지금의 상황을 지혜롭게 바라볼 수 있다. (뭔가 좀 두서없는 책 광고다)

 

  윗글과 관련은 없지만 이 책의 많은 미덕 중 한부분을 옮긴다.

 

 우리는 인공위성을 쏘아올리고 컴퓨터를 사용하고 핵무기를 보유했다는 사실을 근거로 마치 과거와는 다른 존재로 진화한 듯 여긴다. 하지만 진보한 것은 사회에서 주창되는 가치일 뿐 개인의 덕성이 아니며 인간 개개인의 자질은 수천 년 전이나 지금이나 달라진 것이 없다. 개인의 주변을 둘러싼 사회의 가치관이 바뀌어 통제력을 발휘하고 있을 뿐, 그것이 효력을 발휘하기 힘든 전장이나 혼란 상황에서 인간의 심리는 쉽게 중세로 회귀하고 만다.

특히 사회가 성숙하지 못할수록 이런 특성은 자주 전면에 표출된다. 우리 사회도 공개적, 사회적으로 증오의 발산이 용인된 대상인 북한과 일본 등이 있다. 이들은 무조건적으로 저주해도 무방하고 때로는 무고한 시민마저 죽어 마땅한 존재로 전락하기도 한다. 이는 우리 스스로의 인간성과 영혼을 훼손하는 짓이다. 비판해선 안 되는 대상은 없지만 마음대로 증오해도 되는 대상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 사실을 잊었을 때 우리는 쉽게 증오 자체의 포로가 되고 만다.

한 문명의 수준은 그 문명이 증오를 얼마나 통제하고 있느냐에서 결정된다. 부의 재분배라든가 사회적 기회의 확보와 함께, 증오를 현명하게 통제하는 문명에서는 일상에서의 평화와 행복을 구가할 가능성이 크다.

중세는 과연 끝났는가. 십자군과 마녀사냥은 과거의 역사일 뿐인가. 나의 증오가 이데올로기.신념으로 포장되어 미움과 폭력으로 발휘되는 일은 이제 다시 없을 것인가. 이 질문의 답은 우리가 앞으로 만들어갈 세상이 던져줄 것이다. 이념이나 이론, 슬로건이나 명분이 아닌 삶 자체가 말이다.

 

 

 그리고 보자마자 설레고 고마웠던 개정판.

 

 정희진이 연재하는 '어떤 메모'에서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에 얽힌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 피해자에게만 평화와 용서를 강요하는 문제의식을 접했다.

 우리 사회에서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암묵적으로든 노골적으로든 용서를 강요하는 상황은 낯선 일이 아니다. 광주민주화운동이 대표적인 예다.

 나는 용서가 저주보다 바람직한 가치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가해자의 권력은 자기 회개와 피해자의 용서를 같은 의무로 간주하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여성주의는 여성우월주의나 얌체 여성을 변호하기 위한 입장이 아니다. '다른 목소리'는 우리 인식이 지평을 넓혀주고 풍요롭게 해주며 자기 중심주의를 돌아보게 한다. 여성주의는 양성평등에 관한 주장이 아니라 사회 정의와 성찰적 지성을 위한 방법론이다.

 

논쟁은 승부가 아니라 참여하는 사람의 입장(지식)과 그러한 입장이 형성된 과정을 교환하는 것

 

 '페미니즘의 도전'은 이번에 읽으면 세번째이지만 여전히 곱씹을만한 책.

 

 아직 책을 읽고 앞으로도 읽을 것이다.

 

 마스터쉐프코리아와 무한도전, 최근엔 진행이 뻔해보이지만 첫회가 인상적인 드라마까지. 책에서 눈을 떼게 만드는 재미는 많다. 그렇지만 좋아하는 책의 개정판이 나오고, 하나의 팩트를 다양한 시각에서 다루고 나를 여전히 설레게하는건 책 밖에 없는 것 같다. 책을 읽고 같이 얘기할 수 있어 서재가 좋았는데 같이 놀던 친구들은 머리카락 한올 보이지 않는다. 해 저무는 날,  나 홀로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는 기분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orgettable. 2013-06-08 18: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혼자 타는 그네는 역시 재미 없죠. 그곳 생활은 어때요?? 난 여기가 너무 싫어요.

Arch 2013-06-10 16:40   좋아요 0 | URL
난 여기가 너~무 좋아요. 이러면 미움 돋을테니 좀 가감하자면 살짝 좋아요.
일이 좀 되긴 하지만 저를 믿어주는 상사와 말 편하게 해도 괜찮은 할머니 할아버지들.
지네에 물려서 식겁하긴 했지만 전반적으로 아직 괜찮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