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나는 그런 말들로 포장되는 게 너무 싫어요. <아프니까 청춘이다> 같은 책을 봤을 때 처음 드는 생각은 "내가 왜 아파야 해?" 였어요. 아파야만 청춘이라면, 아파도 괜찮대도 난 그런 청춘이기 싫어요. 왜 이런 상황을 청춘으로 규정하는지 모르겠어요. 포장하는 느낌이 드는 거죠. "너희는 청춘이니까 조금 힘들어도 되는거야"하는 설정이나 이야기들이 짜증 났어요. 이런 것들을 청춘이라고 이야기한다면 난 이런 청춘이 싫고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피코: 책을 읽은 건 아니고 읽을 생각도 없지만 일단 제목부터 기분이 좋지 않았어요. 아프면 아픔에 대해서 보상하는 사회 체계나 그 아픔에 의미가 있어야 하는데, 한국 사회에서 고통이 무슨 의미가 있어요?

김슷캇: 얼어 죽으니까 청춘이다

 

병훈: (청년유니온 비판에 대해) 저는 청년유니온 조합원이지만 기본적으로 청년 문제에 접근하는 그들의 방식에 비판적이에요. 청년유니온의 기본 기조를 보면 청년이 극악한 상황에 처해 있음을 '호소'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더라고요. 호소하는 것과 권리를 찾는 것은 다르죠. 그러니까 권리르르 주장하면서 호소하면 '저들도 권리가 필요한 동등한 시민이구나'하고 여기게 되지마나 호소만 하면 시혜를 베풀어야겠다고 여기게 되겠죠. 관점이 다르잖아요? 사람들에게 먹히는 건 당연히 시혜적인 관점이에요. 그러니까 <아프니까 청춘이다>같은 책이 팔리는 거잖아요. 청년유니온이 다소 그런 쪽에 초점을 맞춰요. 슬로건도 '아프니까 소리쳐'까지만 가는 거예요.

(단계론, 현실론과 어긋남)

 

운동 바깥의 운동을 모색하는 조병훈

모두에게 기본소득(재산, 소득이 많든 적든, 일을 하든 하지 않든, 일을 하고 싶어 하든 하기 싫어하든 상관없이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개별적으로 균등하게 지급되는 소득)!

땅값을 똥값 만들어라!

쓸데없는 도시계획은 때려치우고 녹지 조성에나 힘써라!

사회는 젊은이들에게 취업을 강요하지 마라!

결혼 언제 할 거냐고 묻지도 좀 마라!

모든 사교육을 철폐하고 공교육을 혁명하라!

공교육 5대 중점 과제를 문학, 철학, 예술, 농업, 체육으로 삼아라!

비정규직으로 살고 싶은 모든 이들의 취향을 존중하라!

충분한 콘돔을 지급하라!

연인들에게 모텔 말고 집을 줘라!

여성에게 겨드랑이 털 기를 권리를 보장하라!

최저임금 시급 1만 원!

우리 인생 대신 재벌을 해체하라!

혁명가에게 임금salary을! 점령자에게 샐러드salad를!

포기란 배추를 썰 때나 쓰는 말이다!

 

 

 

 

청춘도 아닌데 자꾸 청춘 관련 책을 읽고 있다. 다른 책에 비해 좀 더 왼쪽으로 간 이야기와 걔 중 좀 더 설레였던 제안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3-03-02 08: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애들이 도시 떠나 시골로 가면 얼마나 재미난 이야기 더 길어올릴까 궁금하기도 해요.
arch 님이 청춘이니 청춘 책을 읽으시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