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날 좋아하는거야?
마담 보베리 - 세미콜론 그림소설 세미콜론 그래픽노블
포지 시먼스 글.그림, 신윤경 옮김 / 세미콜론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어제 눈이 빠지려고 하는데도 끝까지 다 읽은 (책 한권을 끝까지 다 읽은게 얼마만의 일인가) 책 이야기를 해봐야겠다. 너무 괜찮은 만화책 '푸른 알약'을 낸 세미콜론 출판사에서 나온 '마담 보베리'가 바로 그 주인공. 그린비 출판사 홈페이지에서 여성주의 글을 쓰는 분이 언급한 책인데 책을 읽고 나니 감상이 전염되듯 '과연 사람을 안다는건 어떤걸까'란 생각이 떠올랐다.

 플로베르의 '마담 보봐리'에서 마담 보봐리를 빵집 주인이 지켜본다면 어땠을까. '마담 보베리'는 그런 의문에서 시작한게 아닐까 싶은 만화책이다. 빵집 주인 주베르는 영국 여자인 보베리가 자기 마을로 올 때부터 비상한 관심을 보인다. 그녀의 몸매나 얼굴, 취향 때문이 아니라 그녀의 이름, 보베리 때문이다. 주베르는 보베리의 삶을 소설 속 여주인공의 것처럼 상상하고 소설에서 벌어진 비극을 막으려고 애쓴다.

 그렇다면 보베리는 소설 속 보봐리 부인과 비슷한 사람일까. 겉으로 보이는 면은 그럴지 모르겠다. 어쩌면 희극도 비극도 아닌 죽음까지도 닮았는지도. 하지만 보베리는 소설 속 보봐리처럼 단순명쾌하지 않다. 보베리는 애인과 헤어지고 찰리와의 관계에서 희망을 찾다가 서로의 진면목과 자신이 바란 시골생활의 지리멸렬함을 깨닫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할지 고민하는 여자다. 바람을 피우며 자신이 좀 더 너그럽고 남편의 아이들에게도 다정함을 보일 수 있어  활력을 얻는 여자이며 바람의 상대인 애송이 에르베가 갑작스럽게 결별 통보를 했을 때 그전 이별처럼 무너지는 대신 자신을 좀 더 추스릴 수 있는 여자이다. 기분을 낸다며 과소비를 한 덕에 밀린 카드빚은 집을 팔고 일을 더 많이 하는 식으로 정리 할줄도 아는 여자인거다.

 내가 인상깊게 본 것은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보베리 부인의 맘 상태와 쓱쓱 그린 듯 보이지만 촘촘한 글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는 그림이었다. 활자형 인간인 것도 아닌데 만화를 볼라치면 그림도 봐야지 글도 읽어야지 정신이 없었는데 이 책은 정말 푹 빠져서 한쪽 분량의 글을 읽은 다음 눈을 쉬게 하려고 그림을 보는식이어서 그 조합이 꽤 괜찮았다. 과장하지 않고 그렇다고 성의없는 것도 아닌 그림은 글이 가진 한계를 벗어나 소설적인 묘사를 제대로 보여준다.

 소설은 사람과 삶, 생각에 대해 거대하지만 조밀한, 세세하게 뻗었나 싶으면 중간은 과감히 생략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렇지만 소설 속 삶과 인물은 모종의 일관성을 보여야할 숙명을 갖고 있다. 독자들은 소설 속 인물들이 개연성 있는 행동을 통해 이야기를 끌어나갈 때 납득하기 때문이다. 주베르가 보바리 부인으로 재구성한 보베르 부인의 경우, 주베르가 바라는건 소설 줄거리와 비슷할 뿐 아니라 자신이 납득할 수 있는 이야기였다. 누군가를 잘 안다고 섣불리 말할 수 없는건 바로 이 때문이다. 인간을 일관성있는 잣대로 측정할 수 없는데다 모험이나 일상이란 말을 섣부르게 들이밀 정도로 구분이 안 되는 상황, 단계들이 있기 때문이다. 자신이 경험해본적이 있다거나 납득할 만하다면서 누군가에 대해 '안다'는 말로 내세울 수 있는게 뭐가 있단 말일까.

 좋아졌다, 싫어졌다, 어떤 감정일까, 내 감정 따위가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밀당을 해야만 긴장이 생기는 연애에서 진정성은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보베리 부인의 생각은 어느 소설 속 인물보다 더 직접적으로 감정이입을 불러일으킨다. 책의 일정 부분이 보베리 부인의 일기를 통해 이야기되는 이유도 있겠지만 그것보다는 이토록 사소한 서술은 소설적으로 그다지 주목받지 않았던 이유도 있었을 것이다.

 주베르가 소설을 통해 보베리 부인의 삶을 재구성한다면 나는 어떤식으로 누군가에 대한 판단을 내릴까. 줄리언 바지니의<가짜 논리>에서는 부모님 얘기만 나오면 오이디푸스니 일렉트라 컴플렉스 등의 얘기를 꺼내 그 사람을 '안다'고 하는건 엉터리란 얘기가 나온다. 결국 주베르의 촌극을 비웃었지만 내가 그렇지 않닸단 법은 없는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