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한사전 비판
이재호 지음 / 궁리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정부가 과거사를 청산하네 어쩌네 하며 정말 시끄러운 지 꽤 됐다(말만 시끄럽고 제대로 하고 있지도 못한 지도 꽤 된 셈이다). 그리고 한일 우정의 해라는 슬로건이 무색하게도 일본쪽 상황은 연일 우경화로 치닫고, 과거사 문제에 대해 연일 왜곡해대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우연하게 읽게 된 이 책은 정말 많은 것을 시사하게 해주었다.

그 어떤 외국어 개념이 들어올 때 만들어지는 번역어 하나하나가 바로 그 나라의 역사와 문화적 유산인데도, 우리는 너무나 쉽게 그런 개념이 우리말 혹은 우리 사상화 되지 않고 들어온다. 지금은 영어 개념 그대로 직수입되고 있고, 얼마 전까지만 해도 서양의 개념은 거의 다 일본어를 그대로 번역하여 수입되었다. 그러니, 우리의 문화나 역사, 철학 등 정신 문화적 측면을 다루는 우리 말이 사실은 일본어이자 일본식 개념이라면 과연 우리는 어디서부터 과거사를 청산할 수 있는 것일까.

예를 들어, 우리가 낭만주의라고 알고 있는 한자어는 일본식 한자어이다. 일본은 낭만이라고 한자를 써놓고, '로만'이라고 읽는다고 한다. 그렇다면, 낭만주의는 사실 로만주의의 잘못된 번역어이다. 그런데, 식민지 시대 이후 지금까지 100년 가까이 우리는 낭만주의라고 알고 배웠다.

king이라는 말에 임금이라는 말이 빠져있는 등의 우리 말이 없거나, 우리의 존대말 개념이 없거나 뭔지 모르게 어색하고 이상했던 사전들의 원인은 바로 우리 스스로 영한사전을 만든 것이 아니라, 일본의 영일사전을 그대로 번역해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옥스퍼드 영어사전의 편찬 역사를 다룬 <The Meaning of Everything>을 보면 하나의 사전이 만들어지기까지, 한 단어를 사전의 표제어로 올리기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여러 사전 편찬자들의 노력끝에 사전이 만들어졌고, 지금도 늘 개정판을 위해 전 국가적 사업으로 매달리고 있다. 그런데 과연 우리는 우리가 만든 영한사전 하나도 없으면서......

참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작지만 이런 노력들이 모여 하나씩 바꿔나간다면 우리가 은연중에 길들여져 있는 일본에 대한 사상적 종속이 점차 사라질지 모르겠다. 그런 의미에서 필독을 권한다.

ps: 다만 한 가지 안타까운 점은 이런 책을 만드는 출판사가 더 공들여 책을 만들지 않았다는 점이다. 인쇄상의 실수도 보이고...출판사가 좀 더 잘 만들어주었음 하는 아쉬움 때문에 별 다섯 개를 주지 못했다(필자의 반복적 서술도 좀 쳐냈으면 더 좋았을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