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난 열차
헤미 발거시 지음, 크리스 K. 순피트 그림, 신상호 옮김 / 동산사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어릴 때는, 전후 세대이며 이산 가족도 없는 내게 6.25는 사실 역사책에나 나오는 먼 과거, 예를 들면 조선시대나 고려시대의 어느 사건과 별반 다를 바 없다고 여겨졌다. 게다가 어릴 때 받아온 반공 교육은 남북의 화해 무드보다는 남과 북의 대치 상황을 다행하게 여기게 할만큼 강력하지 않았던가.
그러다가 마음으로 우리 민족의 이 아픈 과거사를 느낀 것은 이산 가족의 만남이 현실화 되고 자주 반복되면서 그에 대한 TV 다큐멘터리나 방송들을 보게 된 뒤였다. 내가 이산 가족 당사자도 아닌데 나오는 눈물...그것은 내가 아무리 우리 역사를 객관적으로 또는 정치적 이해 관계에 따라 판단하려 해도 나 역시 우리 민족임을 느끼게 해주는 그런 눈물이었다.
우연히 읽게 된 이 책, 피난열차는 점점 더 남북간 현실에 대해 나처럼 생각하게 될 수많은 아이들과, 나처럼 생각하고 있는 어른들에게 공감대를 형성케 하는 책이다.
피난 열차라는 소재를 이용하여 과거의 우리 역사와 그것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한 고찰, 또한 과거의 역사가 현재에 어떻게 이어지는가에 대한 내밀한 이음새가 돋보이는 작품이라고나 할까.
얼마 안 되는 사람들의 이해득실 관계에 의해 벌어지는 전쟁 등의 권력 다툼으로 피해보는 건 힘없는 일반인들의 화목한 가정일 뿐이다.
하지만 이 책이 주는 감동에도 불구하고, 이 책의 한계도 명확하다. 작가와 그린 이 모두 외국에서 어려서부터 산 교포들이기 때문에, 이 책이 나온 미국에서는 어떨지 모르지만 정말 이 전쟁으로 인한 아픈 기억이 여전히 산재한 우리나라에서는 이 책이 주는 어딘가 모를 어색함(특히 그림)이 문제가 될지도 모른다. 그래서인지, 본격적으로 외할머니의 이야기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이 책의 주인공 소녀가 현재 우리나라에 사는 아이인지, 미국에 사는 아이인지 헷갈렸다. (사실 다 읽고나서도 헷갈린다)
그러나, 이 책의 그런 단점이 내가 이 책을 읽고 느낀 감동을 줄여주진 못했다. 아, 또 한가지. 이 책을 읽고 한가지 더 좋았던 점은 아동용 도서에 엄하게 있는 아동문학평론가들의 글이 없다는 것도 이 책의 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