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 - 미암일기 1567-1577
정창권 지음 / 사계절 / 2003년 1월
평점 :
워낙 역사 관련 책을 좋아하기도 하지만, 16세기 조선시대 양반네들의 일상적인 삶이란 어떠했을까라는 호기심+남의 일기를 훔쳐본다는 즐거움을 갖고 이 책을 읽게 되었다.이 책은 미암 유희춘이라는 한 개인이 꼼꼼하게 기록한 일기를 현재의 우리가 읽기 쉽게 풀어쓰며, 그 당시 상황을 재현해 낸 책인데, 미암은 우리가 잘 아는 허준이라든가 송순, 이황 등의 당대 학자들과 교유하였고, 전라감사, 사헌부 대사헌, 홍문관 부제학 등을 지냈다.
이 책의 장점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데, 우선 너무나 재미있어서(역시 남의 일기를 읽는다는...^^;;) 마치 소설처럼 손에서 놓을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양반들의 시시콜콜한 실생활에 대한 정보를 통해 우리가 그동안 잘못 알고 있었던 조선시대 사람들의 삶을 다시금 생각해보게 하는 재미 또한 만만치 않다.
일례로 많은 사람들이 힘들어하는 지금과 같은 가부장적 가족 관계도 이때는 전혀 없었다. 유교적 폐습에 의한 현재와 같은 사회 전반적인 지독한 가부장적 제도는 17세기 이후, (개인적인 판단으론 인조반정 이후) 집권 세력의 자기 정당성을 획득하고자, 사회 전반적으로 엄격한 유교적 윤리를 판단의 잣대로 이용했기 때문에 생겨난 결과인 셈이다. 결혼을 하면, 관직에 있는 남자들은 대부분 떠돌아 다녀야 했기 때문에, 처가에 들어가 살았고, 제사 역시 똑같이 지냈으며, 남녀 간의 관계가 대등한 동반자로서의 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사실 이러한 내용인지 모르고 그냥 읽게 되었는데....어찌나 속이 다 시원하던지...) 그러나, 이 책을 단순히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보기만 한다면 이 책의 가치를 폄하(?)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가 미처 몰랐던, 그 당시 사람들의 생생한 삶...이사는 어떻게 다녔으며, 목욕은 어떻게 했고, 결혼하고, 제사 지내고, 생일 잔치하고, 책꽂이 정리는 어떻게 하고...등등..진짜 시시콜콜한 내용까지 정리된 이 책을 보면서...때론 웃음도 나고(주인공이 목욕하기를 싫어한다거나, 한동안 이가 많이 없어졌다가 다시 생기니까 좋아하는 대목 같은 거<-옛사람들은 죽을 때가 되면 이가 없어진다고 생각해서 기뻐했다고 한다) 때론 동감도 하고(병을 핑계로 궁궐에 안 가는거...--;) 하면서 읽다보면 시간이 금새 지나간다. (이러한 책들을 읽고, 사극 등의 고증을 많이 고쳐야할 것 같다)한번 쯤 읽고, 지금 우리의 삶을 다시 한번 돌아볼 필요가 있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