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기를 이끈 17인의 명암
이희근 지음 / 휴머니스트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통해서, 새로이 알게 된 사실은 세종로 한복판에 서계신 '이순신' 장군의 '성웅화'에 박정희 정부의 개입이 있었으며, 그 역시 논공행상을 다투던 한 인간이었다는 것. 그리고, 현실주의자인 견훤에 대한 새로운 느낌. 총 7장으로 되어 있는 이 책은 제목에선 17명이라고 하지만 실제적으론 더 많은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펼치고 있다.

개인적으로 가장 재미있었던 부분은 6장의 인조 vs. 광해군의 부분이었고, 이 부분을 읽으면서 '잘못된 쿠데타'가 왜 역사적인 질책을 받아야 하며, 그것의 폐해가 왜 문제가 되는지를 두고두고 생각하게 되었다.

인조는 '자신의 권력욕'에 휘말려 현실주의적이고 정치를 잘 하고 있었지만, 정치적 기반이 약했던 광해군을 내쫓았던 것이다. (그리고 그 이후엔 역시 현실주의적인 소현세자도 죽이고 만다) 그리고, 자신의 쿠데타를 정당화하기 위해 내세웠던 여러가지 논리들이 결국은 병자호란 및 정묘호란, 그리고 그 이후 끊임없이 벌어진 '말도 안되는 유교적 논리에 입각한 사대주의적 사상'으로 무장된 당쟁의 심화, 그리고 결국엔 조선의 멸망과 일제의 침략이라는 엄청난 결과에까지 이르게 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최근 TV에서 방영되는 <장희빈>의 남인 vs. 서인의 갈등상의 역사적 배경도 확실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렇게 재미있던 책이 마지막 장 7장에 가서는 그 재미가 조금 반감되었다. 왜냐하면,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에 대한 비교 분석에 대해서 '명성황후'를 '나라를 망친 여자'쯤으로 기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당시대의 평가라고 하면서 서술하고 있지만, 명성황후가 실제적으로 잘못을 했다고 하더라도, 과연 대원군이 구국의 영웅이 될 수 있었을지에 대한 의문과(시대적인 변화를 제대로 읽고 있지 않았다는 생각) '마녀 사냥'과 같은 명성황후에 대한 평가가 아닌가 싶기 때문이다.  

어쨌든, 간만에 읽은 역사책으로 너무 재미있었다. 별점을 매겨보자면, 별 네개..^^ 참고로, 이 책의 가장 큰 실수는 '역성혁명'을 '역성혁성'이라고 쓴 3~4번의 오타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