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비실록 - 숨겨진 절반의 역사
신명호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출산 전부터 읽으려고 했던 <조선왕비실록>(신명호, 역사의아침).
워낙 개인적으로 왕실의 여성들에 관심이 많아서 대개 이런 류의 책이 나오면 읽어보는 편이다.
이 책은 태조의 후비인 신덕왕후 강씨, 태종비 원경왕후 민씨, 세조비 정희왕후 윤씨,  인수대비 한씨, 광해군과의 악연으로 유명한 인목왕후 김씨, 한참 드라마에 출연중(--;;)이신 혜경궁 홍씨 그리고 명성황후 민씨 등 총 7명의 삶을 그려내고 있다. 

이 책은 제목에서 주는 느낌과 달리 딱딱한 정사류의 역사책은 아니다. 기존의 책들과 달리 인물의 심리나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것들에 대해 서술함으로써 다루고 있는 인물들에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아무리 왕비가 되고 왕을 낳았다고 하나 조선시대 여성의 기록은 남아 있는 것이 적기 때문에 저자로서도 자료를 모으고 책을 집필하는 데 숱한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다루고 있는 인물들의 가계도 분석과 그를 통한 성격 유추 등을 시도한 것은 이 책의 장점이라 하겠다.
특히나 7명의 인물들이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순간의 정점에 서 있던 인물들이기 때문에
그때 그녀들이 왜 그런 선택을 했는가를 이해하는 데 굉장히 많은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집필 스타일에 따라 꼼꼼한 사료 분석이 부족한 상황에서 아직 정확히 역사적 사실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들을 단정적으로 서술함으로써(독살설 같은 것들) 읽는 이로 하여금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가 있기도 하다.
또한 추측이나 가정에 의한 결론 도출이 많아서 이 책이 객관적이지 못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인용한 사료 등이 국한되었다는 느낌도 지울 수 없다. 

한국사책을 읽다보면, 아직도 우리는 선조들이 남긴 엄청난 기록들을 완전히 해독하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다. (연구자들은 도대체 뭘하는 걸까 싶지만....그 한자들의 압박을 생각하면..T_T)
한 인물들에 대한 기존의 평가를 뒤집을 만한 사료나 기록들이 아직도 끊임없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도(혹은 이러한 주제의 책들이) 좀 더 뒤에 후학이든지 저자에 의해서든지 추가되는 사료와 기록들을 토대로 좀 더 면밀하고 객관적으로 서술된다면 '실록'이라는 이름에 들어맞는 내용이 되지 않을까 싶다. 

이 책말고 신간으로 나온 <왕을 낳은 후궁들>까지 같이 읽는다면 조선시대 왕실 여성들 중 중요한 대부분의 인물들에 대한 간략한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PS: 이 책을 읽고 든 가장 개인적인 생각은 역시나 부모가 어떻게 자녀를 가르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왕비가 된 여성들이 사저에서 어떤 가정교육을 받았는지가 더 중요한 까닭은 역시나 그녀들이 한 나라의 리더의 어머니이기 때문이다. 물론 원자나 세자가 되면 따로 교육을 받지만 어머니의 영향력이 왕자와 모후 사이에서도 굉장했을 터. 그런 점에서 왕들을 이해할 때 모후들의 인성이나 성향 분석도 매우 필요하더란 말씀.

어쨌든 리더가 어떤 리더가 되느냐(그 리더가 리더 자격이 있는가 하는 문제는 관두고라도) 하는 데 영향력을 엄청 끼친 왕비들에 대해 지금까지 그닥 연구가 없으며, 또한 사극에서도 그저 궁중암투를 펼치는 것으로만 그려지고 있는 것은 너무나 안타까운 현실이다.

암튼 길어졌는데 애기를 낳고 나니, 내가 어떤 엄마가 되느냐가 우리 애한테 굉장히 중요하겠다, 그리고 우리 애가 사회에 나와서 활동할 때도 굉장히 영향을 끼치겠다...라는 생각이 매일 같이 든다. 부담스럽지만, 즐거운 고민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